• 제목/요약/키워드: 심부근육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복벽에 발생한 데스모이드 종양의 급속 조영 CT 소견 : 2례 보고 (CT Findings of Desmoid Tumor arising at Abdominal Wall: Two Cases Report)

  • 조대현;조재호;장재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386-392
    • /
    • 1995
  • 데스모이드 종양은 섬유아세포양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심부 섬유종증으로 조직학적으로 양성이지만 침습적인 성장 양상과 높은 재발율을 보인다. 방사선학적으로 초음파상 경계가 비교적 뚜렷한 고형종괴로 보이며 내부의 에코는 비특이적이며 CT 소견상 근섬유의 주행방향을 따라 길쭉한 모양을 보이고 조영제 주입전에는 주변 근육과 비슷한 등음영 또는 약간 저음영을 보이고 조영후에는 시간이 감에 따라 점차 조영증강되는 소견을 보인다. 저자들은 급속조영 CT를 시행하여 시간에 따른 조영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종괴의 조직학적 구성을 짐작할 수 있었고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데스모이드 종양 2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배양한 근육세포를 확장성 심근증을 가진 햄스터 심장에 이식 후 심장기능의 변화연구 (The Effects of Muscle Cell Transplantation into the Hearts of the Hamsters with a Dilated Cardiomyopathy)

  • 유경종;임상현;송석원;홍유선;박현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36-342
    • /
    • 2002
  • 배경: 최근 들어 심부전증을 가진 심장에 세포이식을 이용하여 심장기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확장성 심근증을 가진 햄스터 심장에 배양한 평활근 세포와 심근세포를 이식한 후 심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근세포와 평활근세포는 BIO 53.58 햄스터의 심장과 옃션 deferens에서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실험군은 각각 10마리로서 심근세포 (1군)와 평활근세포 (2군) 및 배양액 (3군)을 17주된 BIO 53.58 햄스터의 좌심실에 이식하였고 Cyclosporine (5mg/Kg)을 1군에 한하여 수술 직후부터 매일 피하주사하였다. sham군 (4군) 은 세포나 배양액의 이식 없이 단순 흉부수술만을 시행하였다. 세포나 배양액의 이식 4주 후에 Langendorff 체외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좌심실기능을 측정하였다. 결과: 조직학적 검사상 모든 군에서 심한 심근괴사가 있었고, 1군과 2군에서는 수여심장의 심근 내에서 새로운 근육조직이 형성되었다. 좌심실기능의 평가에서 1군과 2군은 3군과 4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고 (p<0.01), 2군은 1군에 비해 수축기 좌심실압과 발생기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p<0.05). 그러나 3군과 4군 사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절론 확장성 심근증을 가진 햄스터 심장에 배양한 평활근 세포와 심근세포를 이식한 결과 수여심장의 심근 내에서 근육조직을 형성하고 좌심실기능을 개선시켰으며, 이 중 평활근세포를 이식한 심장이 수축기 좌심실압과 발생기압이 더 우수한 좌심실기능 개선효과를 보여주었다.

경추안정화운동과 경추관절가동술이 경부의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ervical stabilized exercise and joint mobilization on maximum muscle strength and static muscle endurance of cervical region)

  • 공원태;정형재;이경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1호
    • /
    • pp.33-42
    • /
    • 2010
  • 경추안정화 운동과 경추관절가동술이 경부의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0명을 경추안정화운동군, 경추관절가동술군, 대조군의 3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20명씩 무작위 배치하였다. 경추관절가동술과 경추안정화운동은 일주일에서 3회씩 총 3주 동안 시행되었고, 경추안정화운동군은 선자세, 바로누운자세, 엎드려누운자세에서 경추심부근육의 등척성운동을 적용하였다. 경추관절가동술군은 칼텐본 기법을 이용한 관절내 운동을 적용하였다. 경추안정화운동과 경추 관절가동술 모두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이 증가하였고 그 중 경추안정화운동이 경추관절가동술보다 최대근력과 정적근지구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고양이 척수 총상 증례: 임상소견, 수술소견, 컴퓨터단층영상소견 (A Case of Gunshot Injury to the Spinal Cord in a Cat:Clinical, Surgical, and Computed Tomographic Features)

  • 안승엽;윤헌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7-190
    • /
    • 2015
  • 총상을 입은 18개월령 중성화된 암컷 고양이가 응급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및 신경검사에서 후지마비 및 심부통각소실을 보였으며 방사선사진 및 컴퓨터단층영상에서 1번 요추 왼쪽 근육에 한 개의 탄환(직경 3 mm)이 존재하고 척수강 안에 고신호 점이 나타났다. 탐색적 추궁절제술에서 요추1번 오른쪽 후방 관절돌기의 불완전 골절 및 척수 괴사를 확인하였다. 보호자의 동의하에 안락사 및 부검해 본바 1번 요추 왼쪽 척추뿌리(pedicle)에 균열이 존재했다.

압박성 신경병증 (Compression Neuropathy)

  • 김병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8-133
    • /
    • 2008
  • 신경 압박의 원인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것도 있고, 신체 내부 병리가 발생하여 신경 주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주관절 이하부에서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정중 신경, 척골 신경, 요골신경병증이 있다. 정중 신경은 굴곡 지대부위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대표적이며, 모든 신경 포착 증후군 가운데 가장 흔하다. 그 외 주관절 부위에서 스트러더스 인대, 상완 이두근 건막, 회내근, 천수지 굴근 기시부 그리고 비정상 근육들에 의한 회내근 증후군과 전 골간 신경 증후군이 있다. 척골 신경은 스트러더스 궁, 내측 상과 후방의 주관, 척수근 굴근 두 기시부 사이의 건막 등에서 눌리는 주관 증후군과, 수근부에서 결절종, 유구골 갈고리 골절 그리고 혈관성으로 오는 척골 관 증후군이 있다. 요골 신경의 심부 분지가 회외근속을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부위에서 눌리는 경우 요골 관 증후군이라고 한다. 치료는 초기에는 소염제나 야간부목, 스테로이드 주사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호전되지 않을 경우 전기적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수술적 감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 PDF

앉는 면의 각도가 정상성인의 심부 복근과 다리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ating Surface Angle on the Deep Abdominal Muscle and Lower Limb Muscle Thickness in Normal Adults)

  • 하성영;김경;임상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1-140
    • /
    • 2022
  • Purpose : Although many studies have explored the effect of seating side angles on the spinal curve and surrounding muscles during seating, only a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seating face angles on different lower limb and deep trunk muscl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ating surface angles (0 degrees, 10 degree anterior, and 10 degree rear) on lower extremity and deep trunk muscles in healthy adults. Methods : Thirty people were asked to sit once on each seating surface three times during the day, and their muscle thicknesses were measured by ultrasound while sitting. The method of sitting was the same when sitting on the three seating surfaces. Results :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muscle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seating surface angles,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the muscle thicknesses of the vastus medialis, vastus medialis oblique, vastus intermedius, soleus and gastrocnemius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ransversus abdominis, internal obliques, rectus femoris and vastus lateralis (p>.05). Conclusion : Our findings revealed that the lower back load decreases, the leg load increases, and the legs specific muscles are affected as the body tilts forward when sitting on the seating surface inclined forwa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ggest a forwardly inclined seating surface that reduces lower back loads and utilizes the posture-maintaining muscles of the legs when sitting in a person with a poor sitting posture or lower back pain at ordinary times.

동맥류와 혈전성 폐색이 동반된 양측 잔류좌골동맥: 증례 보고 (Bilateral Persistent Sciatic Arteries Complicated with Aneurysmal Dilatation and Thrombotic Occlusion: A Case Report)

  • 장서진;한윤희;권재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517-1522
    • /
    • 2020
  • 양측 잔류좌골동맥은 드문 선천성 혈관 기형으로 동맥류를 잘 동반하며, 이는 사례의 40~61%에서 발생한다. 본 증례는 알코올성 간경화가 있는 70세 남자에서 발생한 좌골동맥 잔존의 1예이다. 간경화와 관련된 응고 병증으로 인한 대퇴부 출혈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컴퓨터단층사진 혈관조영술 검사에서 양측 완전 좌골동맥 잔존이 우연히 발견되었다. 환자는 선택적 좌측 잔류좌골동맥 혈관조영술에서 좌측 잔류좌골동맥의 동맥류 및 혈전성 폐색이 있어 흡인 혈전제거술로 혈전 부분 제거를 시행하였으며 심부 대퇴 동맥의 경험적 혈관조영색전술을 통해 대퇴근육 내 출혈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폐국균종의 수술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Surgical Risk Factors in Pulmonary)

  • 김용희;이은상;박승일;김동관;김현조;정종필;손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81-286
    • /
    • 1999
  • 배경: 본 연구는 폐국균종으로 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술후 합병증의 종류 및 발생빈도와 이에 관련된 술전.후 위험인자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 폐국균종으로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위험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남녀비는 24대 18이였으며 평균나이는 46.6$\pm$11.5세(29~69세)였다. 술전 주요증상은 객혈(90%), 발열, 호흡곤란, 농담, 체중감소등이 있었다. 폐결핵 병력이 있는 경우는 34례(81%)으며, 동반질환은 기관지확장증(n=11), 활동성 결핵(n=9), 당뇨(n=8) 및 폐 유암종(n=1)과 급성골수아구성 백혈병(n=1)이 있었다. 발병 부위로는 우상엽 16례 및 좌상엽 10례로 대부분 상엽에 호발되었다(62%). 수술은 폐엽 절제술 32례, 폐구역 또는 설상 절제술 4례, 전폐 절제술 2례 및 폐엽 절제술과 폐구역 절제술을 병행한 경우가 4례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은 2%였으며, 술후 합병증의 발생률은 33%(n=14)로 지속적인 공기누출(n=6)이 가장 흔하였다. 폐국균종의 외과적 폐절제술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위험과 관련하여 나이, 성별, 폐기능검사 소견, 발열, 체중감소, 객혈량, 객혈기간, 국균종의 크기, 낭종벽의 두께, 활동성결핵 유무, 당뇨 유무, 기관지확장증 유무, 술전 스테로이드의 사용여부, 술전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시행여부 및 수술방법상의 차이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전 방사선 소견상 주위 폐조직으로 침윤이 심할수록 술후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p=0.04). 결론: 폐국균종의 술후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위 폐조직으로의 침윤 정도에 대한 정확한 술전 방사선학적 평가가 중요하다. 추적관찰, 8.1개월)동안 14례에서 모두 정상 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고, 9례(64%)에서 좌심방의 수축을 관찰할수 있었으며, 11례(79%)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하지 않고 있다. 결론: Maze III 술식에서 냉동절제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에 효과적인 수술임을 알 수 있었다.보관후의 이소 이식술시 적절한 면역억제제의 투여로 기관 내강 및 기관 상피세포가 잘 유지됨을 알 수 있어, 보다 장기간의 기관 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초냉동 보관의 시행 여부와는 상관없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폐색성 모세기관지염과 비슷한 양상의 기관 내강의 섬유조직 과잉 증식 및 기관 상피세포의 소실 등이 관찰되었다. 쥐와 같은 소동물에서의 이러한 시도는 폐이식술과 관련된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인 폐색성 모세기관지염의 병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에 있어 좋은 실험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로 변화한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의 변화의 폭을 비교하면 그룹 B에서 그룹 A에서보다 더 컸다(p<0.05). 그룹 A에서 유도된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가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수축을 목격할 수 없었던 반면, 그룹 B에서는 5마리 모두에서 광배근이 활발하게 수축하였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그룹 B에서의 더 큰 증폭 효과가 광배근의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 이상에서 역동적 심근성형술의 수축기 혈역학적 변화는 심부전 상태에서만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그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근육의

  • PDF

"굴비" 제조과정중의 지방의 이동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S OF FAT TRANSLOCATION IN THE TISSUE OF YELLOW CORVENIA DURING SALTING AND DRYING)

  • 변재형;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3-71
    • /
    • 1968
  • "굴비" 제조과정중 근섬유의 변화와 지방의 분포 및 이동상태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조기는 진피 밑에 피하지방층이 있으며, 혈합육이 지방조직으로 둘러 쌓여 있는 곳이 많다. 대부분의 지방질은 피하지방층에 축적되어 있고, 백색육에는 거의 지방이 분포하지 않았다. 또한 혈합육과 백색육간에 결체조직으로 경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떤 부위에는 혈합육과 백색육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것 등이 특징이었다. "굴비" 제조과정중 염장공정중에는 피하지방의 일부가 결체조직이나 근섬유간을 통로로하여 침투되어 들어간다. 그러나 건조공노중 침투된 지방은 결체조직을 따라 이동하여 복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굴비"의 심부백색육에는 거이 지방이 분포하지 않았다 . BHA 처리 "굴비"는 지방의 이동속도가 늦어, 내부에 침투된 지방이 상당양 그대로 잔존하였다. 그리고 "굴비"의 근육조직은 각섬유가 씨로 밀착하여 경계가 뚜렷하지 않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굴비" 제품중에는 상당량 지방이 주로 피하지방층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실험에 있어, 조개표본을 제작하는데 편의를 보아주신 부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박 해춘하 재청 양교수 그리고 현징경 사진촬영을 도와 주신 국립수산진흥원 김 성준 연구관, 김 복원 연구교사 몇 많은 조언을 주신 부산수산대학 김장양 교수, 신필현 교수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 PDF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Sleep-Related Respiratory Disturbances)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55-64
    • /
    • 1995
  •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