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방

검색결과 650건 처리시간 0.033초

오류 역전파 기반 ECG 특징을 이용한 심방조기수축(PAC) 분류 (Classification of Premature Atrial Contraction using Feature of ECG Signal based on Error Back-Propagation)

  • 전은광;남윤영;이화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69-672
    • /
    • 2017
  • 최근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부정맥이 부각되고 있다. 심방조기수축(PAC:Premature Atrial Contraction)은 심방이 동방결절의 명령이 있기 전에 수축해 버리는 것이다. 심방조기수축은 일시적으로 유발하였다 사라지곤 할 수 있기 때문에 심한 증상이 없다면 생명에 위협을 가하진 않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조기에 부정맥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상의 ECG 신호로부터 QRS패턴에 해당하는 특징들을 추출하였고 특징들을 이용하여 심방조기수축 파형을 분류한다. 오류 역전파 기반으로 특징들을 훈련하며 가중치와 바이어스값을 구한뒤 이를 이용하여 정상파형과 심방조기수축 파형을 분류한다.

흰쥐의 적출심장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유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Inflenece of Some Factors on the Secre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in the lsolated Rat Heart)

  • 김성주;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
    • /
    • 1991
  •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의 유리기전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흰쥐의 적출심장 관류모형을 사용하여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방을 확장시켰을 때 ANP의 유리는 촉진되었다. 그러나 과용량을 부하하면 확장기간보다 회복기간에 ANP의 유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 Epinephrine과 phenylephrine을 주입하면 ANP의 유리 량이 증가했으나, isoproterenol을 주입하면 심박수와 우심방 내압이 현저하게 증가했는데도 ANP의 유리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3. 미주신경을 자극하면 심박수의 현저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ANP의 유리량은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볼 때 결론적으로, 심방의 용량부하에 의해 심방근의 신장수용체가 자극을 받아 ANP의 유리가 촉진되는 것은 분명하고, 심방근이 확장할 때 보다는 확장 후 다시 원래의 길이로 환원될 때 ANP가 유리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ANP의 유리에 대한 adrenergic조절은 o-receptor가 관련되어 있으며 심박수와 심방내압이 ANP의 유리를 변화시키는 데는 반드시 필수적인 인자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특히 미주신경의 자극으로도 ANP의 유리가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발견되었다.

  • PDF

전기유압식 좌심실보조기에 있어서의 좌심방 함몰방지를 위한 속도제어 방식의 개선 (The Improvement of Velocity Control Method for Prevention of Left Atrium Collpase in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 최재순;안윤호;이상우;정찬일;민명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1-255
    • /
    • 1995
  • 전기 유압식 좌심실 보조기에 있어서 현재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이완기에 좌심방의 혈액 유입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과도한 밀판 당김 속도로 인해 생기는 좌심방의 함몰현상이다. 논문에서는 좌심방의 함몰현상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좌심방의 함몰여부를 가늠하기 위해 외부에서 관측가능한 요소들과 좌심방의 상태와의 상관관계들을 고찰해 본 다음 이러한 함몰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완기 밀판 속도와 이동거리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식들을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경피적 카테타 심방중격결손 폐쇄술 후 발생한 상행 대동맥-우심방루 (Fistula of Ascending Aorta and Right Atrium Following Percutaneous Transcatheter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 임홍국;서홍주;김종한;김준석;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50-153
    • /
    • 2006
  • 심방 중격 결손에 대한 경피적 카테타 폐쇄술은 적절한 환자에서 치료적 대안으로 이용되며, 미용적으로 우수하고, 덜 침습적이며, 재원 기간이 짧으나, 응급 수술이 요구되는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Amplatzer septal occluder에 의한 심방 중격 결손의 경피적 카테터 폐쇄술 시행 후 발생한 대동맥-우심방루를 경험하였다. 시술 2개월 후에 호흡곤란, 심계항진과 용혈에 의한 황달로 발견되어, 대동맥의 무관상동맥동과 우심방 사이의 누공을 일차 봉합하고, 심방 중격 결손은 팻취로 봉합하는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합병증은 우심방 원반(disk)이 대동맥으로 침식(erosion)하여 발생하였다.

비-류마티스성 거대 좌심방의 심장 초음파 검사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Echocardiography of Non-rheumaic Giant Left Atrium)

  • 지명훈;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43-451
    • /
    • 2022
  • 본 증례에서는 비-류마티스성에 의한 GLA가 관찰되어 이를 초음파검사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증례 환자는 60세 남성으로 호흡곤란과 심계항진으로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영상의학적 검사는 흉부 엑스선 검사와 CT검사를 진행하였고 거대 좌심방을 확인하였다. 거대 좌심방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심장 초음파 검사 좌심방의 크기와 볼륨을 simpson's method로 평가하였으며 일반적인 거대 좌심방보다 LVEDVI가 6배 큰 거대 좌심방을 평가 할 수 있었다. 또한 류마티스성 심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발생한 거대 좌심방은 매우 드문 증례로 평가된다. 비-류마티스성 거대 좌심방은 기능적인 이첨판 역류증, 이완기 기능장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형태학 및 혈류역학적 검사가 모두 가능한 초음파검사가 유용한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백서의 심방관류모델에서 protein kinase C의 활성화가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on the regulation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 by isolated perfused left atria)

  • 강창원;강형섭;이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35-744
    • /
    • 1997
  • 심방근 세포는 심방이뇨호르몬을 합성, 저장 그리고 분비하며, 세포내외 이온의 농도, 수분균형 및 혈압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심방근의 인장자극에는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를 2단계(분비, 유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른 심방이뇨호르몬의 분비 조절기전에 대하여서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서의 심방근 적출관류 모델을 이용하여 protein kinase C와 ANP 조절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분비와 유리의 과정중 어떠한 과정을 이용하여 분비자극에 영향을 주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PKC 활성제인 PMA(phorbol 12-mystrate 13-acetate)는 ANP의 유리를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PKC 억제제인 H-7(1-(5-isoquinoline sulfonyl)-2-methyl piperazine dihydrochlo-ride)에 의해 유리를 억제시켰다. PMA와 H-7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PMA에 의하여 증가된 ANP의 유리가 H-7에 의하여 차단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백서의 관류 심방에서의 ANP 분비 증가는 PKC 활성화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ANP분비의 2단계중 ANP 유리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심방 점액종으로 오인된 우심방 혈전 (Right Atrial Thrombus Mimicking Right Atrial Myxoma)

  • 한종희;강민웅;유재현;임승평;이영;나명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32-135
    • /
    • 2007
  • 정상 심장에서의 우심방 혈전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흉부 불편감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66세 여자가 심장 초음파와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우심방 점액종으로 진단되었다. 종괴가 붙어 있는 심방 중격을 포함해 절제를 시행하였고 조직검사상 조직화된 우심방 혈전으로 진단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심방세동 수술의 중단기 결과 (The Influence of Simplified Surgical Procedures on the Surgical Treatment for Atrial Fibrillation with using the Cut-and-Sew Technique)

  • 최종범;김종헌;이미경;이삼윤;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13-319
    • /
    • 2008
  • 배경: 심방세동의 외과적 치료방법으로는 Cox maze-III 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수술시간이 길고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어서 수술시간을 단축하고자 좌측 심방의 maze수술이나 폐정맥분리술만을 시행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절개-봉합법을 이용한 심방세동 수술방법의 변형이 심방세동의 수술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기존 심장질환과 심방세동을 동반한 40예(남 17예; 여 23예)에서 심방세동 수술을 시행하였다. 23예에서 Cox maze-III 수술을, 10예에서 좌심방 maze 수술을, 7예에서 폐정맥 분리술을 시행하였다. 심방에 전도차단 병변을 만들기 위해 절개봉합법이 이용되었으나, 폐분리절개선에서 승모판륜까지의 심방벽과 관상정맥동의 전도차단에는 냉동프로브가 사용되었다. 결과: 심방세동 수술 후 $50.0{\pm}21.6$개월의 추적결과 Cox maze-III 수술을 받은 23예는 모두 정규리듬(동리듬이나 심방리듬)으로 전환되었고, 좌심방 maze 수술을 받은 10예 중 7예(70%)에서, 폐정맥 분리술을 받은 7예 중 4예(57.1%)에서 각각 정규리듬으로 전환되었다(p=0.002). 결론: 심방세동 수술에서 동리듬이나 심방리듬으로 높은 전환율을 얻기 위해서는 양심방에 Cox maze-III 수술을 시행해야 하며, 좌심방 maze 수술이나 폐정맥 분리술 같은 국한적인 수술방법은 심방세동의 치료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심장 수술 후 심방세동 발생의 예측 인자로서 혈중 BNP 농도 (Plasma Levels of Brain Natriuretic Peptide Predict Post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Undergoing Heart Surgery)

  • 권진태;정태은;이장훈;이동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6호
    • /
    • pp.407-413
    • /
    • 2007
  • 배경: 혈중 BNP 농도가 심방세동 발생과 관련 있다는 여러 보고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혈중 BNP 농도가 술 후 심방세동의 발생에 유용한 예견인자인지 알아보고 술 후 BNP 수치의 변화와 심방세동 발생시기 및 심방세동이 정상 동율동으로 돌아오는 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2월 28일까지 개심술을 받은 환자 중 심방부정맥의 병력이 없는 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BNP 농도 측정을 위한 혈액 채취는 술 전부터 술 후 7일째까지 매일 하였다. 술 후 심전도 검사는 퇴원 전까지 매일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는 술 후 심방세동 발생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다. 술 후 심방세동은 26명(31.7%)에서 발생하였다. 심방세동 없는 군과 발생군 사이에 나이, 성별, 술 전 좌심실 구혈률, 고혈압, 좌심실 비대, 베타 차단제 복용 유무에 대해 통계학적인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판막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술 후 심방세동의 발생이 많았다(39.3% vs 76.9%, p=0.002). 술 전 좌심방 크기는 심방세동 발생군에서 의미 있게 컸다($43.8{\pm}10.3 m$ vs $49.8{\pm}11.5 mm$, p=0.029). 술 전 혈중 BNP 농도는 심방세동 발생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144.1{\pm}20.8 pg/mL$ vs $267.5{\pm}68 pg/mL$, p=0.034). 심방세동군에서 술 후 BNP 수치는 술 후 3일째 가장 높았고 심방세동 발생은 술 후 3일 이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술 후 일주일 이내 대부분 정상 동율동으로 돌아왔다. 결론: 혈중 BNP 농도의 증가는 심장 수술 후 심방세동 발생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인자이다. 심방세동 발생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술 후 적극적으로 예방적 항부정맥제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잔여 하정맥동형 심방중격결손증의 재수술 (Reoperation for the Missed Inferior Sinus Venous Atrial Septal Defect)

  • 유병수;조태준;김건일;이재웅;홍기우;이원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54-156
    • /
    • 2006
  • 난원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정 맥동형 심방중격결손증(inferior sinus venclsus defect)은 매우 드문 선천성심질환으로 수술 전 이차공형 심방중격결손증과 감별이 어렵고 수술 중에도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저자들은 10세 때에 심방중격결손증으로 단순 봉합술 시행 후 별 문제없이 지내다가 이비인후과 수술 위한 사전 검사로 시행한 심장초음파 검사상 잔여 심방중격결손증이 발견된 24세 여자 환자에서 심방중격결손증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이차공형 심방중격결손증과 하정맥동형 심방중격결손증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으나 일차수술에서 하정맥동형 심방중격결손증을 발견하지 못하여 이차공형 심방중격결손증만 교정된 상태였고, 금번 재수술에서 하정맥동형 심방중격결손증을 확인하고 패취 봉합을 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