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박변동신호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심박변동 신호의 시-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스트레스 분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Mental Stress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

  • 성홍모;이주성;김원식;이현숙;윤영로;신태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81-587
    • /
    • 2004
  • FFT 나 AR 방법에 기초해서 파워스펙트럼을 구하는 방법은 생체신호와 같이 시간에 따라 그 특성이 빠르게 변화하는 신호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시-주파수 방법은 시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신호를 분석하기에 유용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주파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시-주파수 영역에서 심박변동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여러 종류의 시-주파수 커널 함수들 중에서 심박변동 신호에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해서 모의 HRV 신호를 이용하였다. HRV 모의신호를 이용하여 커널 함수들의 시간-주파수 분해 능력과 교차성분제거 능력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시-주파수 영역에서 심박변동신호의 주파수 성분들을 추출해 내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17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동전쌓기 실험을 3분씩 시행하여 심전도 실험을 측정한 다음 이를 심박변동 신호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피험자들에게 가해진 정신적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활성화 시켜 LF/HF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수행능력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는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업능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HRV와 안구활동(EOG) 신호의 BP알고리즘 이용을 통한 졸음운전 방지 기법 설계 (Drowsy - driving Prevention Techniques by BP Algorithm Using ElectroOculomoorGraphy and HRV)

  • 박원식;최진우;김태민;양영규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199
    • /
    • 2007
  • 최근 차량증가에 따라 교통사고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안전운전을 위한 보조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 원인중 운전자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가 30%에 달하고 있어 졸음운전 예방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음운전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졸음경보 장치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HRV와 안구활동 신호를 BP(역전파알고리즘)을 이용 보다 더 정확한 측정 및 판단을 행하여 운전자에게 음성경고를 보내주는 방식이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연구된 피부전기활동, 영상처리를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심박변동신호 분석 방법보다 훨씬 효율적인 졸음경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R모델을 이용한 심전도와 맥파의 심박변동 스펙트럼 해석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ECG and Pulse-wave using autoregressive model)

  • 김낙환;이은실;민홍기;이응혁;홍승홍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5-22
    • /
    • 2000
  • 선형 자귀회귀(AR) 모델을 근거로한 심박변동의 파워 스펙트럼 해석은 비침습적으로 자율신경의 반응을 정량화 하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본 연구는 짧은 데이터 저장(2분 미만)의 심전도와 맥파 신호의 심박변동에 대한 파워스펙트럼밀도을 추정한다 심박변동의 시계열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검출한 심전도와 맥파신호의 특징점 사이의 시간간격(RRI, PPI)으로부터 구하였다. 발생된 시계열은 다항식 보간법에 의해 AR모델에 적합하게 새로운 시계열로 재구성하였다 AR모델에 의한 파워스펙트럼 밀도는 Bur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AR 모델을 적용한 단 구간의 심전도와 맥파의 심박변동에 대한 파워스펙트럼밀도는 저주파수와 고주파수 영역에서 매끄러운 스펙트럼 파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통일한 피험자의 심전도와 맥파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비교한 결과 유사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 PDF

AR모델을 이용한 심전도와 맥파의 심박변동 스펙트럼 해석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Electrocardiogram and Pulse-wave using autoregressive model)

  • 김낙환;민홍기;이응혁;홍승홍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289-292
    • /
    • 2000
  • 선형 자귀회귀(AR) 모델을 근거로한 HRV 파워 스펙트럼해석은 비침습적으로 자율신경의 반응을 정량화하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본 연구는 단구간(2분 미만)의 심전도와 맥파 신호로부터 시계열 HRV의 파워스펙트럼을 추정한다. 시계열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검출한 심전도와 맥파신호의 특징점 시간간격(RRI, PPI)으로부터 구하였다. 발생된 시계열은 다항식 보간법에 의해 AR모델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으며, AR모델 계수는 Burg법에 의해 계산하였다. AR모델을 적용한 단구간의 심전도와 맥파의 심박변동에 대한 파워스펙트럼밀도는 저주파수(LF)와 고주파수(HF)에서 매끄러운 스펙트럼 파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일한 피험자의 심전도와 맥파의 파워스펙트럼밀도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 PDF

HRV 분석을 이용한 운전피로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riving Fatigue using HRV Analysis)

  • 성홍모;차동익;김선웅;박세진;김철중;윤영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03
  • 장시간 운전을 하는 동안 운전자는 외부상황을 계속해서 주시하고 경계하게 하므로 운전자에게는 정신적 부하로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운전피로는 자동차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박변동신호를 분석하여 운전시간의 증가에 따른 발생하는 운전피로도를 알아보았다. 심박변동신호의 분석방법에는 이전 연구들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던 선형분석방법들과 함께 ApEn, Poincare Plot등을 이용한 비선형 분석방법들을 이용하였다. 3년 이상의 운전경력을 가진 5명의 실험자가 참가하였으며 모든 실험자는 4대의 승용차를 2번씩 운전하여 총 4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운전구간은 고속도로 300km구간을 왕복해서 주행하도록 하였으며 약 3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운전하는 동안 30분 간격으로 심전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유도된 심박변동신호(HRV : heart rate variability)로부터 시간영역 변수, 주파수 영역변수, 비선형 특성 등을 구한다음, 안정 상태의 데이터라 비교하여 통계석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간영역의 변수인 평균심박동수는 운전시간의 증가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심박동율의 표준편차와 연속적인 RR간격의 차이는 90분 이후로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주파수 영역에서 구한 L $F_{norm}$, LF/HF는 운전시간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비선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ApEn, Poincare plot을 이용하였는데 모두 시간에 따라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변수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1시간 이후부터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원적외선 온열이 인체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ies by Far-Infrared Ray Hyperthermia)

  • 박찬욱;장윤호;민세동;강세구;이충근;이명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23-62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원적외선 온열효과가 자율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박변동(HRV)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다. 측정된 심박변동신호를 FFT 의한 전력스펙트럼을 구함으로써 자율 신경계의 반응 특성을 고찰하고 Poincare plot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을 통해 심박변동 신호분석해보면 원적외선 온열에 노출되기 전에 비해 노출된 후에 매우 복잡한 모습임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자율신경계가 관여하는 심혈관계 제어 메커니즘이 원적외선 온열에 노출되기 전보다 노출된 후에 더욱 복잡함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학습자의 교감/부교감 반응 분석에 의한 학습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earning preferenece using student's sympathetic-parasympathetic response)

  • 김보연;차재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55-363
    • /
    • 2007
  •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 선호도는 학습 성취의 주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의 성격 유형과 다른 콘텐츠로 학습을 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혈압이나 심박동수에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비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스트레스 량 측정에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정보를 이용하였다. 먼저, 13명의 유치원 아동들을 MBTI 성격유형의 감각/직관의 두 유형으로 파악하고 이들에게 동일한 학습 콘텐츠를 10분간 제시한 후, 이를 학습하는 동안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심박변동신호(heart rate variability: HRV) 신호로 재구성하였다. 이 HRV 신호를 주파수로 변환한 후에 저주파(LF: low frequency), 중간 주파(MF: middle frequency), 그리고 고주파(HF: high frequency)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주파수 영역비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학습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지는 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아동들은 자신의 성격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학습 콘텐츠를 선호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심박변동신호에 의한 자율신경 기능 해석시스템의 설계 (The desitgn of autonomic function analysis system by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

  • 이명호;정기삼;이정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639-1642
    • /
    • 1997
  • In this paper, the autonomic function analysis system was designed to noninvasively assess the autonomic function of cardiovascular system. Orthostatic stress protocol was designed to stimulat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designed protocol and analysis algorithm were evaluated by experiments for 25 normal subjects and 22 hemiplegia patients. Data were processed by usign the power spectral analysis. Nwe indexes of autonomic function, LF$_{N}$ and HF$_{N}$, were proposed and were compared with LF/HF ratio. New indexes of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activity, respectively. The IST and the DPT are balanced and have positive value for normal subjects during orthostatic stress but not for hempilegia patient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IST and the DPT are used as new criteria of normal autonomic function during orthostatic stress.ess.

  • PDF

기립경사도 검사에 의한 실시환자의 심박변동신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rt rate variability of patients with vasovagal syncope by tilt-table test)

  • 이정환;박찬석;이병채;김준수;이명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561-564
    • /
    • 1998
  • This paper evaluated autonomic nervous system function in 23 patients with syncope and a positive tilt test result, 21 with a negative test result, and 19 healthy controls. Indexes of heart rate variability were measured during supine resting, immediately afte rtilt-up, standing rsting, immediately before syncope and immediately after tiltdow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any of the indexes of heart rate varability over the 24-hour holter recordings. In patients with a positive tilt result, tilting gaused a decrease in low-frequency (LF) immediately before syncope and incsrease in high-frequency (HF) bands immediately before. In patients with a negative tilt result, tilting caused a decrease in low-frequency (LF) immediately before syncope and decrease in high-frequency (HF) bands immediately before, different from positive tilt results. Our findings showed that patients with vasovagal syncope have no chronic differences from normal subjects i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but that these patients respond differently to the orthostatic stimulus.

  • PDF

심박변동신호의 시변파워스펙트럼 추정을 위한 Time-Frequency 알고리즘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Time-Frequency Algorithm to estimate time-varying Power Spectrum of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s")

  • 박찬석;이정환;이준영;김준수;이명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5-186
    • /
    • 1998
  • The discrete Wigner-distribution(DWD) was implemented for the time-frequency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s. The smoothed cross-DWD was used to estimate time-varying power spectrum. Spurious cross-terms were suppressed using a smoothing data window and a Gauss frequency window. The DWD is very easy to implement using the FFT algorithm. Experiment show that the DWD follows well the instantaneous changes of spectral cont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s, which characterize the dynamic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