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심리적 회복탄력성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 of psychological resource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심리적 자원이 주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Park, Soo-Auk;Cho, You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21 no.3
    • /
    • pp.255-269
    • /
    • 2021
  • Objectives: Subjective well-being is a representative indicator of quality of life. Work and life are not separated, and work itself is a part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elf-esteem, self-efficacy, GRIT, and resilience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ental hygienists. Methods: From November 12, 2020 to December 30, 2020,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50 dental hygienists, and data from 630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independent two-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construct validity, construc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This was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PSS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p<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final model fit was found to be suita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with respect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characteristics, except for total career and number of turnov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areer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elf-esteem, self-efficacy, GRIT, and resilience were significant for subjective career success (p<0.05, R2=0.637).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significant for subjective well-being (p<0.05, R2=0.378). Among the psychological resources, self-esteem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p<0.05). Conclusions: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rather than external conditions, are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us, it is proven that work is a part of life.

A Study on Confucius' Resil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공자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고찰)

  • Jeum-Nam,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269-27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Confucius' resilience and the source of his strength through which he overcame and accepted numerous adversities and took a leap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reexamines Confucius' life as a human being, accepting his mental and physical limitations despite numerous trials, overcoming his misfortune, conveying the morals and values that people must protect, and presenting the positive character of being able to practice the truth among people through today's positive psychology. It was compared with the core concepts presented in. References were made to materials and literature related to Confucius. Through research, Confucius's greatest strengths were proven to be human relationships living together in love and consideration, with Confucius's core ideology, benevolence and loyalty.

Effects of Job burn-out, Emotional labor on Mental Health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Model of Resilience-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직무소진과 정서노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 Kim, Myo-Jung;Kim, Keun-Hya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4
    • /
    • pp.251-25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regarding job burnout,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Results from analyzing 1,020 mental health professionals(certified people with 1st, 2nd grade licence in nursing, social welfare, and psychology) collected in the academic service studies by the National Mental Health Education Research Center in 2014 showed that job burnouts and emotional labor both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but in cases of analyzing moderating effects in resilience, only job burnout presented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silience could buffer the danger of mental health of mental health workers from job burnouts and emotional laboring.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are about the mental health of not only the people who receive mental health care services, but also the mental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provide services. It also shows that the research has to be conducted with convergence considering both sides. Measures regarding the mental health care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ere further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 of Short-term Forest Therapy Camp on Youths with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Focused on the Biological, Neurocognitive and Psychosocial Aspects (인터넷중독 위험 청소년에 대한 단기 산림치유 효과: 생물학적, 신경인지적 및 심리-사회적 측면을 중심으로)

  • Chung, Ahn Soo;Choi, Sam Wook;Woo, Jong Min;Mok, Jung Yeon;Kim, Ki Weon;Park, Bum-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4
    • /
    • pp.657-667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FT)' from the biological, neurocognitive and psychosocial perspectives. Adolescents who were classified as potential internet addicts took part in a FT program for two (once or twice) or three day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TAI)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FT led to positive consequences, indicated by increased serum BDNF, improved CAT performance, reduced internet use desire, greater resilience, and better social relationship. In addition, FT was partially effective in alleviating state anxiety level, when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FT exposure length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FT reduces symptoms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and promotes various qualities required for well-being.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Recovery of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eon, Soon-Bo;Lee, Dong-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5
    • /
    • pp.306-31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mpirically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recovery of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research model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men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based on the ec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system perspectives in previous studies and checked their causal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ubjects include 112 clients at an institution for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Data was collected with an interview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lf-esteem,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excluding symptoms an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had positive(+) synergistic effects only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made proposals about practice strateg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systems to make an effective approach to recovery and the systemization of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ive strategies to promote the smooth recovery of people with a mental disorder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programs related to the confirmed positive elemen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Moon, Dong-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38-52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sizes of psychological burnout-related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pplying meta - analysis focusing on master '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for the past 20 yea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the factor group, the sub-factor,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factors of the inducing and inhibiting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Second, in terms of inducing factors, the task problem group showe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e negative relationship group. Third, among the lower factor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group, all the sub factors exclud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effect size showed a medium effect size. Fourth, task stress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task factor group, followed by role conflict, task overload, and role ambiguity. Fifth, resilience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mong the inhibition factors, followed by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 teacher efficacy factor, social support factor, and emotional factor. Sixth, all sub factors of the emotional labor factor group,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 group, general teacher efficacy factor of the teacher efficacy factor group, and all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factor Medium effect size. In addition, the lower factor of all the other factors showed a large effect size. Seventh, of the effect factors, job satisfaction factor, depression factor, and turnover intention factor all showed a large effect size.

Types of Educational Ministry for The Post Digital Generation (포스트 디지털 세대에 대한 교육목회 유형)

  • Lee, Wonil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70
    • /
    • pp.11-3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nine types of educational ministry based on the practical theology in Christian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article emphasizes an individual dimension including church, society dimensions. An individual dimension is based on the spirit of post digital era within sociocultural area in different with personal-existential area of the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and life cycle theology area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 Post digital era means the humanization of digital, digital friendly, and emotional digital cultural characteristics. Post digital generation means child, youth, young adults those who are accustomed with post digital cultural of the post digital era. The educational ministry for the post digital generations categorized into nine types according to correlation with individual, church, and society as a field of ministry and critical scientific method, critical confessional method, and critical correlational method as an interdisciplinary which are composed of Christian tradition and contemporary science. Representative key competencies of nine types in the educational ministry are media literacy, relational identity, communication, high touch, discipleship, making and using media, integrative vocation, collaboration abilities, and home, school, and social resilience in relation with multicultural generations.

A Study o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기능성위장질환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 및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 Kim, So-Won;Jang, Seung-Ho;Ryu, Han-Seung;Choi, Suck-Chei;Rho, Seung-Ho;Lee, Sang-Yeol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7 no.1
    • /
    • pp.25-34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FGID), adul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normal control group and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QoL) of FGID patients. Methods : 65 patients diagnosed with FGID were selected. 79 adults were selected as normal control group based on the Rome III diagnostic criteria, and 88 adults who showe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selected as "FGID positive group". Demographic factors were investigated. Psychosocial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II, Korean-Beck Anxiety Inventory, Korean-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WHO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A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among groups. Pearson correlation test was us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QoL and psychosocial factors in patients with FGID. Results :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level. Depression (F=29.012, p<0.001), anxiety (F=27.954, p<0.001) and Childhood trauma (F=7.748,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GID patient group than in both FGID-positive and normal control group. Social support (F=5,123, p<0.001), Resilience (F=9.623, p<0.001) and QoL (F=35.991, 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FGID patient group than in others. QoL of FGID pati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0.475, p<0.01),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0.641, p<0.01), anxiety (r=-0.641, p<0.01), and childhood trauma (r=-0.278, p<0.05). Conclusions : FGID patients have distinctive psychosocial factors compared to the both FGID-positive and normal control group. Therefore, the active interventions for psychosocial factors are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FGID.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