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리경향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43초

시스템다이내믹스 컨설팅에 있어서 연구자와 고객의 심리적 격차

  • 김동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63-7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인과지도의 작성자와 독자 간의 심리적 격차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소산효과(dissipation effects)와 희석효과(dilution effects)는 인과지도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인과지도를 이해하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심리적 경향이라는 점을 이 논문에서 지적한다. 소산 효과란 인과고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인과관계의 강도를 낮게 인식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희석효과는 여러 개의 인과관게가 존재할수록 특정 인과관계의 강도를 낮게 인식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이들 심리적 경향과는 달리 집중 효과(concentration effect)가 인과지도 작성자의 심리적 경향을 보다 잘 설명하는 것으로 실험 결과 분석되었다. 집중 효과란 주의를 집중하는 영역에 대하여 많은 인과관계를 생각하고, 인과관계의 강도 역시 강하게 생각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인과지도의 작성자 즉 시스템 컨설팅을 담당하는 사람들에게는 소산효과나 희석효과 보다 집중효과가 더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비대칭성이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자와 그의 고객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야기 시킨다는 점을 본 논문에서 지적한다.

  • PDF

자기고양 편파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Cross-cultur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Bia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79-99
    • /
    • 2003
  • 자기고양 편파와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자기고양 편파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척도를 제작한 후,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고양 편파 경향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대학생들에게서 자기고양 편파와 심리적 적응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대상에 노동자를 포함시켜 개인주의 문화권인 독일과 비교한 연구 2에서도 한국인의 자기고양 경향과 심리적 적응의 상관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문화권에서는 자기고양 편파 경향이 나타나지 않으며, 심리적 적응과도 관련이 없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것으로서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고양 편파 경향의 문화적 차이를 좀더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욱 세련된 측정 방식과 다양한 비교문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관계: 외로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ion Tendency, Smartphone Game Addiction by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Loneliness)

  • 고민정;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00-310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SNS중독경향성,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 관계를 살펴보고, 남녀중학생의 외로움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A지역 중학교의 남녀청소년 259명을 대상으로(남학생 134명, 여학생 125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여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가 남녀중학생 모두 유의하게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에게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심리치료에서 상호주관성 개념의 의미 탐색 (Study on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in Psychotherapy)

  • 최이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69-5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호주관성에 대한 연구경향성과 심리치료로서의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리치료에서의 상호주관성이 어떻게 중요한지에 대한 이론적 개념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상호주관성의 개념 및 연구경향성 과 둘째, 발달과정으로서의 상호주관성, 셋째, 애착과 상호주관성, 넷째, 심리치료에서의 상호주관성으로 나누어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발달에서 상호주관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심리치료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 이론적인 기초와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대한 소외감의 영향에서 스트레스를 통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lien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 이성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심리적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지각의 매개 역할과 마음챙김의 조절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Hayes의 PROCESS Macro 4.0의 모델 7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충청남도의 대학생 217명이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소외감은 스트레스 반응을 매개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준다. 이때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외감이 스트레스 반응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과정을 밝혔다는 점과, 마음챙김이 스트레스 반응 완화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출 수 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이다. 향후 스마트폰 중독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 김윤성;이지민;박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89-196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486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온라인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남자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으로 인한 SNS 중독경향성이 남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 집단에서 SNS 중독경향성을 확인하는데 거부민감성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인쇄산업의 악취 문제와 관리 대책 - 인쇄인 사고방식 전환이 먼저 각사맞는 저감법도입해야

  • 윤승진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4호
    • /
    • pp.96-101
    • /
    • 2013
  • 악취는 사람의 후각을 자극해 심리적, 정신적 피해와 건강상의 피해를 주는 감각오염의 한 형태로 생활환경과 사람의 심리상태에 따라 악취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최근 악취민원 경향을 살펴보면 과거 주요한 악취발생원이었던 산업시설과 축산시설보다 음식점, 세탁시설, 인쇄사 등 주거지역 주변에 위치한 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로 인한 민원 건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는 국민의 소득증가와 더불어 쾌적한 생활환경의 요구로 인해 지금까지 신경쓰지 않았던 생활환경 주변의 냄새를 악취로 느끼는 경향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 PDF

생활한복 디자인 교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지 이미지와 만족도

  • 양정화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동계 세미나 및 논문 디자인 콘테스트 시상 수상작품 전시회
    • /
    • pp.61-75
    • /
    • 2003
  • 청소년기로 대변되는 중ㆍ고등학생은 자기가 평가한 자아상이 아닌 타인이 평가한 자아상을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심리적 불안 또는 신체적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복과 같은 구체적인 외형을 통하여 소속감을 형성하고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인정을 얻고자 한다. 이러한 경향은 자칫 의복에 대한 지나친 관심을 낳기도 한다. 의복에 대한 필요 이상의 관심을 억제시키고, 의복을 통일함으로써 건전한 학교생활을 하도록 하기 위해 교복 착용을 하고 있다. (중략)

  • PDF

대북심리전 연구동향 분석 - 2000년~2023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North Korea -Focused on academic papers from 2000 to 2023-)

  • 이정훈;송경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63-268
    • /
    • 2023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연구된 대북심리전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북심리전 관련 논문의 부족한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고 그나마 부족한 연구 또한 남북관계가 경색되어 대북심리전이 전개되던 시기에만 미약하게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연구 분야 또한 정책제안과 심리전 매체로 한정되어 있어 변화하는 심리전 환경을 고려할 때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 연구방법면에서는 문헌연구가 대부분이어서 면접, 설문,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양적연구 등의 필요성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현재도 여전히 진행중인 대북심리전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설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