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환경 평가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stimation of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in Rainfall-Runoff Modeling Based on Soil Water Balance Model (Soil Water Balance 모델을 이용한 강우유출 모형의 초기함수 조건 추정)

  • Lee, Ye-Rin;Kang, Subin;Shim, Eunjeu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7-307
    • /
    • 2021
  •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에서 토양수분과 관련된 물리적 거동은 간략화 된 형태로 강우 및 온도자료를 활용하여 중간변량(state variable)으로 간접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강우-유출모형에 초기함수 조건은 선행함수조건을 고려하여 수문지질학적 평가를 통하여 결정되어야 하나, 일반적으로 가정되거나 모형에서 간략화 된 분석과정을 통해 추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Water Balance 모형 기반의 개념적 토양수분 추정모형을 활용하였다. 토양수분의 시간적 변동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연속적으로 측정된 In-situ 토양수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Green-Ampt 방법과 중력식 침투방법과 온도를 활용한 증발산 추정기법을 연계한 토양함수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In-situ 토양수분 자료와 유역의 강수량 및 온도자료를 이용한 관련 매개변수를 Bayesian 기법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매개변수의 민감도를 평가하여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모형의 활용측면에서 강우-유출모형의 초기함수 조건으로써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첨두유량 및 유출고와 초기함수조건과의 관계를 제시하고 강우-유출모형에서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진공주형형 몰드변압기의 난연성과 NAF S-III에 의한 소화시간에 관한 연구

  • 신효섭;이수경;정용기;하동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303-308
    • /
    • 1997
  • 전기설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유압변압기는 연소성과 환경오염의 문제등으로 인하여 에폭시 수지를 주재로한 진공주형형 몰드변압기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현재는 건축물의 옥내에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진공주형형 몰드변압기를 시료로 사용하여 전기실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소시험에 의한 난연성과 자기소화성을 확인하여 몰드변압기로 인한 소화설비의 불필요성을 입증하였고, 청정소화 약제의 하나인 NAF S-III소화제로서 소화실험을 시행하여 그 소화시간을 측정하고 연소 시험의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중략)

  • PDF

Assessment of Practical-performance for Domestic 25.8 kV Gas Switchgear (국내 25.8kV 가스개폐기의 실용성능 평가)

  • Kim, Dong-Myung;Kwon, T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351_352
    • /
    • 2009
  • 개폐기는 검수 규격을 통과하였더라도 실선로에서 사용시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합요인에 의해 내용년수 이전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25.8 kV 가스절연개폐기에 대해 실계통 성능, 취약점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품, 사용품, 수명시험을 완료한 제품에 대해 전기적, 기계적, 환경시험 전 후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Elastomeric Insulators in Different Mixing Environments (탄성내열재 배합 환경에 따른 내열 성능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Namjo;Seo, Sangkyu;Kang, Yoongoo;Go, Cheong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3 no.1
    • /
    • pp.108-115
    • /
    • 2019
  • The thermal response of elastomeric insulators used as protection against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mbustion gases varies depending on their composition and thermal environment conditions. In this paper, the thermal response characteristics of elastomeric insulators in different mixing environments were compared. Tests to determine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using a thermal protection rubber evaluation motor(TPREM), combustion gas velocities of 20 m/s and 100 m/s were tested at a chamber pressure of 1,000 psig. The pressure time curve of the chamber, the temperature time curve of the internal materials, the residual thickness and the thermal destruction depth of the test specimens were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ermal protection performance of elastomeric insulators in different mixing environments was similar.

Analysis on Application of Limit State Design Method for Bridge Evaluation Considering PSC Beam Bridge Experiment Results (PSC Beam교의 실측실험을 반영한 한계상태설계법 기반 교량 평가법 적용 분석)

  • Kim, Kyunghyun;Yoo, Minsun;Paik, Inyeol;Shin, Soob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6
    • /
    • pp.235-244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the applicability of limit state design method on bridge evaluation by considering the experiment of the existing bridge. The test strength of the member is obtained from the PSC beam bridge experiment. The test strength is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strength obtained from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est strength and the two values are almost the same.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and dynamic impact factor are obtained from the vehicle loading test. The rating factor is calculated by applying limit state design method as well as current evaluation metho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he reliability index of the test bridge is calculat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member strength obtained from material test and simulation. When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PSC beam tested in this study are applied, the reliability index with a larger value was obtained than the reliability index obtained with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design code.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Plan of the Bed Material Management System (하상재료관리시스템 구축 현황 및 관리방안)

  • Lee, Han Yong;Lee, Sung Ho;Kim, Seon Woo;Lee, Chung D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32-432
    • /
    • 2022
  • 하천의 하상재료는 토양 유실량 및 유사량 산정, 유사이송, 하상변동, 하천환경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하상재료는 강수 및 유량 등 여러특성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하천 분야의 각종 해석 및 영향 평가 등에 이용되는 활용성을 감안하여 하상재료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효율적인 하상재료 관리를 위하여 한국수자원조사기술에서 수행한 하천유역조사, 유사량조사, 하도변화 모니터링 사업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내 109개 하천(한강권역 39개 하천, 낙동강권역 23개 하천, 금강 34개 하천, 섬진강 5개 하천, 영산강 8개 하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하상재료관리시스템(Bed Material Management System, BMMS)을 구축하였다. BMMS는 GIS 기반으로 구축된 시스템으로 관리, 표출 및 분석이 가능하며 하상재료의 위치정보, 하상재료 성분비 및 유효경 등 총 11개로 구성되어 있다. 하상재료조사는 시료채취 방법과 표층조사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시료채취는 체가름 시험과 비중 시험을 이용하였고 표층조사는 BASEGRAIN 프로그램을 이용한 표층 영상분석을 통해 입도분포, 입경가적곡선 등을 나타내었다. 향후 이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 중에 있으며, 하천별 하상재료 분석자료를 정기적으로 축척하여 국내 하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매개변수 산정 및 최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Rainfall image DB construction for rainfall intensity estimation from CCTV videos: focusing on experimental data in a climatic environment chamber (CCTV 영상 기반 강우강도 산정을 위한 실환경 실험 자료 중심 적정 강우 이미지 DB 구축 방법론 개발)

  • Byun, Jongyun;Jun, Changhyun;Kim, Hyeon-Joon;Lee, Jae Joon;Park, Hunil;Lee, Jinw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6
    • /
    • pp.403-417
    • /
    • 2023
  • In this research, a methodology was developed for constructing an appropriate rainfall image database for estimating rainfall intensity based on CCTV video.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in the Large-Scale Climate Environment Chamber of the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which can control variables with high irregularity and variability in real environments. 1,728 scenarios were designed under five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36 scenarios and a total of 97,200 frames were selected. Rain streaks were extracted using the k-nearest neighbor algorithm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each image and the background. To prevent overfitting, data with pixel values greater than set threshold, compared to the average pixel value for each image, were selected. The area with maximum pixel variability was determined by shifting with every 10 pixels and set as a representative area (180×180) for the original image. After re-transforming to 120×120 size as an input data f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model, image augmentation was progressed under unified shooting conditions. 92% of the data showed within the 10% absolute range of PBIAS. It is clear that the final results in this study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the accuracy and efficacy of existing real-world CCTV systems with transfer learning.

Evaluation of Standard Uncertainty for Velocity Coefficient in Discharge Measurement using Floats (부자를 이용한 유량측정법의 유속계수 표준 불확도 평가)

  • Ahn, Myeong Hui;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2-72
    • /
    • 2017
  • 하천의 유량 측정 자료는 수자원 개발 및 하천 방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며 정확한 유량 측정자료를 얻기 위해 많은 수자원 전문가들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하천 유량측정 기술들이 선진화되고 있으며 유량 측정 성과의 양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유량 측정 결과에 대한 질적 평가 즉, 측정 불확도 평가에 대한 기준이 미흡하기 때문에 유량 측정 성과의 신뢰도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홍수 시 하천 유량측정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자법의 경우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방법이 ISO 748:2007 지침에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ISO 748:2007 지침에서는 측선 수에 대한 불확도, 하폭 측정의 불확도, 수심 측정의 불확도 그리고 부자 유속계수, 유하경로 이탈, 유하시간 측정 등으로 발생하는 평균유속 측정 불확도를 고려하여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불확도를 평가한다. 하지만, 부자유속계수의 불확도, 유하경로 이탈에 따른 불확도, 유하시간 측정의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정량적인 불확도에 대한 기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는 이와 같은 불확도 인자들의 표준불확도를 무시하고 유량 측정 불확도를 제시하고 있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유량 측정 불확도 보다 작게 제시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시 평균유속 불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기여도가 크다고 판단되는 부자 유속계수에 대한 표준불확도를 실규모 실험을 통해 산정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를 위한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Verification of Breach Delay Effect of River Levee treated with Bio-polymer by Real-scale Experiment (실규모 실험을 통한 바이오폴리머 처리 제방의 횡월류 붕괴지연효과 검증)

  • Ko, Dongwoo;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0-220
    • /
    • 2021
  • 2020년 장마는 6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전국적으로 평균 687 mm의 강수가 내려, 1973년 이후 역대 2위 강수량을 기록하였으며, 연이은 태풍으로 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섬진강 및 한탄천 등에서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홍수로 인해 상당수의 제방이 월류로 인해 붕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연평균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집중호우로 인한 제방 붕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도화된 기술 개발을 통한 선제적 재발 방지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바이오폴리머라는 새로운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하여 제방의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안동하천연구센터에서는 실규모에 준하는 제방모형(높이 3 m, 사면경사 1:2, 길이 10 m 이상)을 제작하고, 제방 표면에 바이오폴리머 신소재를 처리하여 전방 월류 흐름 유도에 따른 실규모 제방붕괴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신소재 보강 및 무보강 조건에 따른 영상분석 기반 붕괴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신소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기존에 수행된 실험은 댐 붕괴 흐름과 같이 홍수파가 발생하여 제내지로 퍼져 나가는 형태로 진행되어, 보강공법의 검증에 있어 실제 하천에서 발생하는 횡월류 흐름을 재현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횡월류 흐름(0.6 m3/s 이상)을 발생시켜 수리실험에 따른 축척효과(scale effect)를 최소화하고, 현장에 대한 충분한 자연성을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1) 신소재가 처리된 식생 제방, 2) 신소재가 처리되지 않은 식생 제방으로 각각의 조건에 따른 횡월류 흐름 및 제방 붕괴를 유도하여 영상분석 기법(이미지 픽셀분석 및 3D 포인트 클라우드 모델링)을 통한 침식 저항에 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River Main Flow Direction Search Method using Spatio-Temporal Volume analysis (시공간체적 분석법을 활용한 하천 주흐름 방향 탐색방법의 비교 분석 및 적용성 평가)

  • Lee, Yun Ho;Yu, Kwon Kyu;Yoon, Byung Man;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5-15
    • /
    • 2022
  • 우리나라 홍수 발생은 강수량이 집중되는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어 홍수피해 방지에 주의가 필요하다. 보와 제방 등 이러한 홍수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계를 위해서는 하천의 유량 조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홍수기 직접적인 유량 조사는 안전상의 이유로 거의 이루어지지지 않고 있으며,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유량 관계를 만들어 유량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 규모의 하천의 경우 하도 경사가 급해 사류가 발생하거나 하도 단면이 급변하는 경우가 있어 수위-유량 관계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진입하지 않고 유속을 측정 할 수 있는 영상유속계와 같이 흐름 영상을 사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영상유속계의 측정 방법중 Spatio Temporal Image(시공간 영상)을 사용하는 방법은 일정시간의 시간평균 유속을 산정할 수 있고 한 장의 시공간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유속 산정에 걸리는 시간이 작은 장점이 있지만 영상 내 흐름 방향을 정확히 설정하지 못하면 오차가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주 흐름 방향을 정확히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시공간 체적을 만들어 주흐름 방향을 찾아내는 기법들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안동 하천실험센터의 실규모 하천수로에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고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수로에 추적자를 살포하여 영상으로 녹화하였으며 녹화된 영상을 자기상관법과 시간적분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 흐름 방향을 판별하였다. 또한 두 방법을 통해 결정된 주흐름 방향을 적용하여 시공간 영상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속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주흐름 방향을 산정하는데 생기는 오차가 유속 계산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하천에서 시공간 영상을 활용한 표면영상 유속계측 방법을 활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