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현 양상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Order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Arguments (논항의 배열 순서와 실현 양상)

  • Shin, Seo-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37-141
    • /
    • 2003
  • 본고에서는 동사 '주다'의 논항에 대해 논항의 배열 순서와 논항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논항을 추정하는 원리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다' 동사의 경우 요구되는 세 개의 논항 중 두 개의 논항이 실현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논항이 생략되는 경향은 GOL>AGT>THM 순이다. 논항들 간의 배열에는 지배적인 순서가 있는데, 대개의 경우 [AGT-GOL-THM]의 순서를 따른다. 모든 논항을 추정하기 어려운 경우는 사실 많지 않으며 논항들간의 배열 순서와 실현 양상을 고려하면 기준이 되는 표지를 바탕으로 논항을 추정할 수 있다. 논항 추정 원리는 구문 분석에 있어서 어순 변이와 논항 생략을 처리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어 합성 동사성 명사의 어휘구조와 다중 동사성명사 구문

  • 류병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1.06a
    • /
    • pp.141-144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다중 동사성 명사 구문’(Multiple Verbal Noun Construe-tions)의 논항실현 양상을 이론 중립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 분석을 제약기반 문법 이론인 최근의 핵 심어주도 구구조문법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틀 안에서, 특히 다중계승위 계를 가정하는 제약기반 어휘부를 기반으로 형식화해 논항의 실현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우선 일본어의 유사한 현상을 분석한 Grimshaw & Mester (1988)의 격실현 양상에 관한 일반화를 기반으로 한국어 동사성명사구문의 논항실현 양상을 ‘논항전이’ (argument transfer)라는 이론적 장치를 이용해 형식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동사성 합성명사의 논항구조를 만들기 위해 ‘논항합성’(argument composition)이라는 이론적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서 다중 동사성 명사구문의 논항실현 과정에서 보이는 겹격표지 현상을 ‘격 복사’(case copying)를 제안해 동사성 명사의 격표지가 합성 명사에서 분리되어 문장단위에서 실현될 때 동일한 격을 복사해 실현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동과 능동 등 문법기능의 변화현상에서 하위범주화된 요소들의 격변화가 자의적이 아님을 실례를 들어 보여 주고자 한다. 일본어의 경동사 (light verbs)에 관한 분석 인 Grimshaw Meste, (1988) 이래 한국어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문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Ryu (1993b), 채희락 (1996), Chae (1997) 등 참조). 한국어에서 ‘하다’와 동사성명사(verbal nouns)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동사성명사구문’ (Verbal Noun Constructions)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대부분 하나의 동사성 명사가 ‘하다’나 ‘되다등 소위 문법기능을 바꾸는 ‘경동사’들과 결합하여 복합술어가 되는 문법적 현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와 비교해서 동사성 명사의 어근이 두 개 이상 결합하여 동사성명사들끼리 합성명사(compound nouns)를 이루고 그 동사성 합성명사가 문법기능의 변화를 바꾸는 ‘경동사’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술어에 대해서는 논의가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이 지적은 핵심어주도 구절구조문법틀 내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

  • PDF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Predicative Noun (한국어 서술성 명사의 실현 양상)

  • Park, Hyun-A;Kang, Beom-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117-124
    • /
    • 2006
  • 본고는 서술성 명사의 실현 양상을 말뭉치를 통해 살펴보고 실제로 서술성 명사의 서술성이 나타나는 정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서술성 명사의 서술성을 측정하기 위해 서술성 명사의 술어적 쓰임과 비술어적 쓰임을 구분하였는데, 이를 토대로 서술성 명사의 빈도와 서술성, 서술성 명사의 논항구조와 서술성, 서술성 명사가 가지는 구체물의 의미와 서술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편 서술성 명사와 동사의 공기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우선 서술성 명사와 공기하는 동사들 가운데 기능동사와 일반 동사의 사용 비율을 살핀 다음, 서술성과 기능동사 결합률, 기능동사의 어절별 분포, 기능동사별 구성 비율을 구하였다.

  • PDF

Flexion im Koreanischen - Allomorphie und Konkatenation - (한국어의 굴절 : 변이와 상호결합)

  • Kim Soora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3
    • /
    • pp.185-209
    • /
    • 2001
  • 필자는 이 논문에서 LA-MORPH 개념에 바탕을 둔 한국어 어형 분석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한국어 동사의 활용 현상을 기술하였다. 한국어 동사 활용의 특징인 동사의 다형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서 관찰할 수 있다. 하나는 동사 및 어미의 변이형 형성과 관련된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이들 동사 및 어미 변이형의 상호 결합에 관련된 측면이다. 관찰의 출발점은 동사가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나타나는 단어 형태이다. 규칙 활용 및 불규칙 활용 동사의 실현 형태를 어간 및 어미로 분절하고 이 작업을 통해 얻어진 동사 및 어미의 변이형과 그 기본형 사이에 존재하는 규칙성을 토대로 변이형 유도 모형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어미를 어간과의 결합 유형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동사 변이형과의 결합 양상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정서법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동사 활용현상 중 특히 동사 변이형 및 어미 변이형들 간의 결합 양상 및 규칙 등 기존 문법 및 사전이 완전히 기술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ㄹ' 불규칙 활용, '으' 불규칙 활용 등 기존 문법에서 불규칙적이라고 간주되는 활용 현상에도 일정한 정도의 규칙성이 존재함을 보였다.

  • PDF

Aspects of Realization of the Korean Poetry Genre Based on Chohan-gosa (초한고사를 소재로 한 국문시가 장르의 실현 양상)

  • Yook, Min-su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4
    • /
    • pp.183-211
    • /
    • 2014
  • This article is to search the aspects of re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Gasa, Sijo, Japga among the Korean poetry genre based on Chohan-gosa. Chohan-gosa is a basic literary and historic discourse for the medieval intellectuals. The story had been realized its own literary value at almost every genres such as Chinese literature, novels, Gasa, Japga and Sijo etc. I focused on Gasa, Sijo and Japga among the genres in this article. First of all, I subjected to Wumiin-ga enjoyed in a area of boudoir culture from Gasa based on Chohan-gosa. I catch the meaning that the text has a characteristic that popularized history and normative ideology are mingled in through it. In the case of Sijo, I focused on the Sijo which Xiang Yu is appeared in because Xiang Yu has been most quoted person from people of Chohan-gosa. Xiang Yu was described as a strong man[hero] or a man who part with the beauty Wu. I understand that this point is caused by the theatricalized characteristic of the place where Sijo have been played. For the last time, Japga is played with the characteristic of stimulative reediting of the familiar normative ideology. Chohan-ga is based on contexts of former discourse eohan-yeonui but it was not plagiarized. Chohan-ga was organized for the way which attracted the interest of the public and stimulated the emotion of the public through using popular imagery or intensifying the sorrow.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use groups and breath groups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 연구)

  • Yoo, Doyoung;Shin, Jiyou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2 no.1
    • /
    • pp.19-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alization of pause and breath groups from adult speakers and to examine how gender, generation, and tasks can affect this realiz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forty-eight male or female speakers. Their generatio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 old. Task and gender affected both the realization of pause and breath groups. The length of the pause groups was longer in the read speech than in the spontaneous speech and female speech.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breath group was longer in the spontaneous speech and the male speech. In the spontaneous speech, which requires planning, the speaker produced shorter length of pause group. The short sentence length of the reading material influenced the reason for which the length of the breath group was shorter in the reading speech. Gender difference resulted from difference in pause patterns between genders. In the case of the breath groups, the male speaker produced longer duration of pause than the female speaker did, which may be due to difference in lung capacity between genders. On the other hand, generation did not affect either the pause groups or the breath groups. The generation factor only influenced the number of syllables and the eojeol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speech rate between generations.

Acoustic Phonetic Study about Focus Realization of wh-word Questions in Korean (국어 의문사${\cdot}$부정사 의문문의 초점 실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Park Mi-young;Ahn Byoung-seo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89-292
    • /
    • 2002
  • 국어에서 wh-단어가 포함된 의문사 의문문과 부정사 의문문은 통사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지지만 의미적으로는 중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두 의문문은 문장으로 발화될 때 음성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운율 특징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발화 차원에서는 더 이상 중의 관계를 유지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의성의 해소는 두 의문문의 초점이 달리 실현되기 때문이라고 본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의문문의 억양 연구를 초점의 작용 범위와 문말 억양의 차이, 강세구 형성의 유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의문사와 부정사의 의미는, 이에 후행하는 서술어와 형성하는 강세구 유형에서 우선적으로 그 의미가 구분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국어의 wh-단어가 초점으로서 작용하는 운율적 돋들림을 좀더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하였다. 그리고 의문사${\cdot}$부정사와 후행하는 언어단위의 강세구 형성(accentual phrasing) 유형, 의문사${\cdot}$부정사 의문문 전체 문장 억양의 실현 양상, wh-단어 자체의 음의 높낮이(pitch contour) 실현 유형, 문말 억양(boundary tone)에서 음의 높낮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Institutional Repository through an Analysis of Developmental Aspects of Japanese (일본의 전개 양상을 통해서 본 한국 기관 레포지토리의 과제)

  • Cho, Jan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1
    • /
    • pp.35-55
    • /
    • 2009
  • IR(Institutional Repository) is an indispensable instrument for not only long time preservation of intellectual products but also for shifting commercial publishing company-dominated academic communication stream. In Korea, dCollection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contributed on immediate, integrated circulation of distributed research products. dCollection is already one of the few integrating instrument for distributed academic resources, but it has not been university's voluntary instrument to announce their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to realize open access. On the other hand, Japanese government has promoted universities' IR operation through "Next gener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Even though distributing speed is relatively low, each university made ripe operating skill by their selves and realize its own purpose.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policy and current statu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in Korea and Japan from various viewpoints. And also it proposed directions of development about Korean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e Semantic Structure and Argument Realization of Korean Passive Verbs (한국어 피동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실현)

  • 김윤신;이정민;강범모;남승호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1
    • /
    • pp.25-32
    • /
    • 2000
  • Korean passive verbs are derived from their corresponding active verbs by suffixation or by adding endings and auxiliaries to their stems. Therefore. we assume p passive verbs share some lexical informations with their active counterparts. This paper extending the Generative Lexicon theory of Pustejovsky (995). aims to characterize the argument realization patterns of Korean passive verbs focusing on the case alternation a and to propose their lexical semantic structures which account for the syntactic behavior.

  • PDF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is of Korean Verb 'Kat-' ('같다'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

  • Nam, Yun-Jin;Han, Young-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385-402
    • /
    • 1992
  • 용언 '같다'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는데, 그 가운데 [동일]이나 [유사]를 나타내는 '같다' 구문은 '비교'의 논리가 적용되는 문장들로서 문장을 이루는 명사구의 의미 특성, 명사구 사이의 의미관계, 문장 유형등의 요소에 따라 의미 해석이 달라진다. 이 유형의 '같다' 구문은 특정 문형의 실현이 명사구들의 의미 관계에 따라 제약을 받으며, 또 실현되는 경우에도 [동일]이나 [유사]라는 [비교]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비유]의 의미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의미범주의 변화는, 특정조건하에서의 '비교'가 현실논리에서는 성립할 수 없는 반면 언어논리에서는 수용될 때 나타나는 두 논리간의 괴리를 보완하는 기제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동일]이나 [유사]를 나타내는 '같다'와 [추측] 혹은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내는 '같다'는 통사구조와 의미해석 논리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들은 항상 '(-ㄴ/ㄹ) 것 같다'와 같은 구성양식을 갖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문구조로 해석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