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험 및 모델링 검증

Search Result 42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lectromechanical Modeling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Differential Vibrating Accelerometer (차분 진동형 가속도계 전기적 모델링 및 실험적 검증)

  • Lee, Jung-Shin;Rhim, Jae-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6
    • /
    • pp.517-525
    • /
    • 2011
  • Differential Vibrating Accelerometer(DVA) is a small and accurate resonant device to sense the change in natural frequency in presence of acceleration input. Both mathematical modeling for the electromechanical dynamics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designs of precision controller and high Q-factor structure. In this paper, electromechanical modeling of the resonator of DVA, electrode module, and pre-amplifier is presented. The presented method is experimentally verified by measuring the resonance frequency, effective mass, effective stiffness and Q-factor. The direct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displacement and the actual pre-amplifier of DVA also indicates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Dynamic Characteristics Prediction of Liquid Rocket Engine for the Transient Sequence Part-II : Propellent Feeding System Modelling and Validation (액체로켓엔진 천이 동특성 예측 Part-II : 추진제 공급 시스템 모델링 및 검증)

  • Ko, Tae-Ho;Jeong, Yu-Shin;Yoon, Wo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1-189
    • /
    • 2010
  • 개방형 액체로켓엔진 시스템에 대한 동특성 예측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펌프 시동 시 시간에 따른 압력 및 유량 변화 결과를 수류실험장치를 구축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수류실험장치는 실제 액체로켓엔진 추진제 공급 계통에서 구성품의 형태와 배치위치, 가스발생기와 주연소실로 분기되는 유량비를 기준으로 모사되었다. 측정 시 관로가 채워진 상태에서 펌프를 시동하였으며 펌프는 전동기로 구동된다. 동특성 예측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해 구성품별 동특성 모델링을 수행하고 엔진 시스템을 기준으로 각 모델링을 순차적으로 통합하였다. 구성품의 동특성 파라미터를 측정 반영하였고 압력 밸런싱을 통해 수렴 조건이 결정된다. 수렴된 밀도와 유량을 가지고 다음 시간에서의 초기 입력 값으로 대체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천이 작동 상태에서 엔진 시스템 내의 물리량 변화를 전산 예측과 더불어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 PDF

PSPICE modeling of commercial ICs for Flyback converter Multi Mode PWM. (Flyback 컨버터 Multi Mode PWM을 위한 상용 IC의 PSPICE 모델링)

  • Lee, Yoon-min;Park, So-young;Kim, Byeong-seok;Roh, Ch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360-36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ower Integration사의 플라이백 컨버터 제어 IC인 TOP258YN의 주요 기능을 PSPICE로 구현 및 검증하였다. PSPICE를 이용한 IC 모델링을 통하여 제한적으로 제공되던 IC의 모델링을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델링를 이용하여 실시한 시뮬레이션과 회로 실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을 검증한다.

  • PDF

Effect of Design Factors on the Vibration of the Steering Wheel of a Passenger Car (승용차 조향계 진동에 미치는 제인자)

  • 박철희;홍성철;송상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5
    • /
    • pp.37-45
    • /
    • 1991
  • 일반 소형 승용차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 중 조향휠의 원주방향의 진동인 shimmy 현상을 연구하였다. Shimmy 현상은 쾌적한 차량 설계단계에서 예측할 수 있고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도록 조 향계의 모델링 및 이론해석을 하였으며 실험결과치와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모델링에 대한 타당성을 검 증하였다. 검증된 모델링을 이용하여 조향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감쇠, 강성, 타이어의 트레일 및 stabilizer bar 의 강성등의 변화가 조향휠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shimmy 현상이 타이 어의 편마모등에 의한 unbalance mass에 얼마나 민감한가를 실험 및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 PDF

지반하중조건에 따른 숏크리트 거동의 수치해석적 검증

  • Yu, Gwang-Ho;Jeong, Ji-Seong;Park, 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7.10a
    • /
    • pp.365-374
    • /
    • 2007
  • 본 논문은 터널의 지반-지보재 상호 거동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서 주지보재인 숫크리트의 균열, 파괴하중 및 변형거동을 실물크기의 갱도모형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3차원 수치 해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갱도모형 실험은 실제 터널과 유사한 크기의 터널을 제작하여 11개 실린더에서 측압조건에 따라 하중을 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차원 수치해석 모델링은 갱도모형실험과 가능하면 같은 조건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으로부터 로드셀 및 LVDT를 통해 얻은 하중-변위곡선이 수치해석 시에도 재현되도록 하여 수행되었다.

  • PDF

Modeling and Validation of a Liquid Propellant Supply System in Steady States (액체 추진제 공급시스템의 정특성 모델링 및 검증)

  • Lee, Juyeon;Ki, Wonkeun;Huh, Hwanil;Roh, Tae-seong;Lee, Hyou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4 no.6
    • /
    • pp.143-154
    • /
    • 2020
  • The mathematical modeling applying experimental coefficients to a conventional model was validated through the hydraulic test for the components and the full system of a small-sized liquid rocket engine's propellant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simulations, pressures difference for the fluid resistance components and the pump were mainly predicted. In order to improve the modeling accuracy, the loss coefficients obtained by the empirical method were applied to the modeling. Based on the governing equation of the flow or the well known empirical equation, the method of deriving the empirical coefficients was summarized and the coefficients were presented for the commercial products used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results by modeling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were analyzed and improving methods of the accuracy was proposed.

Application of Fault-Tolerant Schemes for the Rapid Thermal Processor Using DES modeling Techniques (DES 모델링을 통한 고장포용 기법의 Rapid Thermal Process에의 적용 방안 연구)

  • Shim, Yeung-Tae;Lee, Seuk-Joo;Kim, Hag-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b
    • /
    • pp.624-626
    • /
    • 1999
  • 실제 공정상에서는 웨이퍼에 열을 가하는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여러 공정도중에도 다양한 종류의 예측 불가능한 고장 또는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고속열처리장비(RTP)의 throughput과 수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RTP 공정의 일부분뿐만 아니라 전체 공정에서의 장비의 상태변화를 기반으로 성능인자를 향상시킬 수 있는 modeling기법의 구축이 절실하다. 각각의 에러 수준과 발생 빈도에 의해서 시스템의 동작과 성능이 결정되며 높은 신뢰도(reliability)가 요구되는 시스템일수록 필수적으로 모든 부분의 기능 및 동작상태를 고려한 모델링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스템의 많은 부분은 분석 및 실험을 바탕으로 한 정확한 상태 방정식을 구할 수 없으므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상태변화 또한 전체 모델링에 포함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DES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RTP의 동작 운용상태를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성능평가를 하고, 이를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주된 연구내용으로 한다.

  • PDF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Semiconductor Breaker for DC Distribution (DC 배전용 반도체 차단기 구현 및 검증)

  • Bae, Hyungjin;Jo, Jongmin;Ahn, Taepung;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132-133
    • /
    • 2017
  • 본 논문은 DC 배전용 반도체 차단기를 모델링하고, 바리스터 동작 특성을 MATLAB/SIMULINK를 이용해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단락 전류 차단을 위한 반도체 소자는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인 IGBT를 이용하였으며, 회로 차단 시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차단기를 보호하기 위해 바리스터를 IGBT에 병렬 연결하였다. 바리스터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로그 스케일에서 파라미터를 산출하였으며, 비선형 저항 특성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표현하였다. DC 반도체 차단기는 MATLAB 기반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산출된 파라미터는 바리스터 모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또한, 1kV/1.5kA 차단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제안된 DC 배전용 반도체 차단기의 모델의 특성을 검증하였다.

  • PDF

Model-Based Interpretation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ECT Signals of Steam Generator Tubes (증기발생기 세관 와전류 탐상신호의 모델링기반 해석 및 실험적 검증)

  • Song, Sung-Jin;Kim, Eui-Lae;Yim, Chang-Jae;Lee, Jin-Ho;Kim, Young-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4 no.1
    • /
    • pp.8-14
    • /
    • 2004
  • Model-based inversion tools for eddy current signals have been developed by combining neural networks and finite element modeling, for quantitative flaw characterization in steam generator tubes. In the present work, interpretation of experimental eddy current signal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alidate the developed inversion tools. A database was constructed using the synthetic flaw signals generated by the finite element model. The hybrid neural networks composed of a PNN classifier and BPNN size estimators were trained using the synthetic signals. Experimental eddy current signals were obtained from axisymmetric artificial flaws. Interpretation of flaw signals was conducted by feeding the experimental signals into the neural networks. The interpretation was excellent, which shows that the developed inversion tools would be applicable to the Interpretation of real eddy current signals.

Differential mode noise modeling and verification of single phase inverter for BESS (BESS용 단상 인버터의 차동모드 노이즈 모델링 및 검증)

  • Kim, Woojung;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224-226
    • /
    • 2019
  • 본 논문은 BESS용 단상 인버터의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차동모드 노이즈에 대한 모델링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이 방법은 적절한 노이즈원과 전달 임피던스 경로를 통해 구현되고, 단상 인버터의 개발 초기 단계에서 EMI 설계 과정을 최적화하여 개발 비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노이즈원 전류는 단상 인버터의 IGBT 스위칭에 대하여 모델링하였고, 차동모드 등가 회로를 통해 임피던스 경로를 해석하여 이 두 값의 곱으로 입력에 영향을 주는 차동 모드의 노이즈 전압을 도출하였다. 차동모드 노이즈의 모델링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