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험치

검색결과 5,330건 처리시간 0.031초

공간적으로 보강된 복합재료의 강성예측 (Stiffness Prediction of Spatially Reinforced Composites)

  • 유재석;장영순;이상의;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5호
    • /
    • pp.25-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라드와 기지의 강성행렬의 중첩을 통해서 임의의 방향에서 공간적으로 보강된 복합재(SRC)의 강성을 예측하였다. 예측치를 실험과 비교하기 위하여 SRC의 물성치를 측정하였다. 라드방향에서는 강성행렬의 중첩을 통해서 예측된 물성치가 실험치와 일치하였고, 라드에서 벗어난 방향에서는 연성행렬의 중첩을 통해서 예측된 물성치가 실험치와 비교적 일치하였다. 이런 이유로 강성행렬과 연성행렬의 중첩을 공간적으로 조합한 물성치 조화함수를 이용하여, SRC의 모든 방향에서 물성치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물성치 조화함수를 이용한 결과, 예측치와 실험치가 라드방향과 라드에서 벗어난 방향 모두에서 일치하였다

동적하중에 의한 중력식 옹벽의 영구변위 (Parmanent Grayvity Retaining Wall Displacment Due to Dynamic Loads)

  • 김성교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51
    • /
    • 1984
  • Mononobe-Okabe에 의해서 옹벽에 대한 동적 토압계산법이 개발된 이래 본론두중 옹벽의 과동에 의한 변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Mononobe-Okabe식이 원래 옹벽 자체의 관성을 고려치 아니하였고 또 동적 하중의 작용점을 제시하지 않으므로서 전도모멘트를 계산할 수 없게 하므로서 옹벽의 전도에 의한 변위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지 아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석적 방법과 모형실험을 통해서 지진 및 폭파 등의 동적 하중에 의한 옹벽의 전도에 의한 변위를 고찰하고자 하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활동에 대한 항복가속도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도에 대한 항복가속도가 있다. 이 항복가속도는 옹벽의 안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2. 이론치와 실험치는 경향으로 보아 일치한다. 실험치가 이론치보다 작은 것은 모형실험에서 옹벽측면과 컨테이너 사이의 마찰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지며 마찰을 줄임으로써 이론치에 더 접근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옹벽의 회전각도의 크기는 지반가속도가 클수록, 옹벽저면이 작을수록 그리고 흙의 내부마찰각이 작을수록 크게 증가한다. 4. 실용적인 규격의 옹벽의 변위는 활동에 의한 것보다 전도에 의한 것이 훨씬 크며 전체 변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5. 옹벽 상단의 횡적 변위는 옹벽 설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 PDF

제진재 물성치 산출법 및 모델링기법 연구 (Study of damping material characteristics)

  • 서정범;윤희옥;김태정
    • 오토저널
    • /
    • 제16권4호
    • /
    • pp.32-3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제진재의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선행 단계로써 제진재 모델링에 필요한 제진재 물성치 산출법과 모델링 기법을 확립하였다. 1. 제진재 물성치(Loss factor ; .eta., Young's Modulus; E) 산출이론. 2. 실험을 통한 제진재 물성치 산출. 3. 제진재 모델링 방법 및 실험과의 비교.

  • PDF

단열 계면 마찰계수에 대한 준 실험식 (A Semi-Empirical Correlation for an Adiabatic Interfacial Friction Factor)

  • Nam, Ho-Yun;Chun, Moon-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08-118
    • /
    • 1994
  • 긴 수평관에서 공기와 물의 역성층류시 적용할 수 있는 단열계면 마찰계수에 대한 준 실험식을 개발하였다. 둥근관과 사각관으로 된 단열 역성층류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물의 수위 및 공기의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평으로 된 원형 및 사각형 실험관속으로 흐르는 유체의 주요 유동 변수들을 동시에 측정한 실험치들과 계면이 물결파에 의해 거칠어진다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성층류영역의 계면마찰 계수에 대한 준 실험식을 개발하였다. 이 해석에는 다른 연구자들의 병류실험치 15개를 포함하여 총 201개의 실험치들을 사용하였다. 이 실험치들과 여기서 제안한 준 실험식의 예측치와 비교하면 오차 범위는 $\pm$30% 정도이다.

  • PDF

Alloy 600/690 시제 전열관의 확관시험 평가 및 응력해석

  • 김우곤;장진성;국일현;김태규;김성수;이동희;주영한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3)
    • /
    • pp.85-91
    • /
    • 1996
  • 원전 증기발생기 시제 전열관으로 제조된 Alloy 600 및 690 에 대하여 ASTM 규정 (B163-86a)에 따라 확관실험을 실시하여 평가하였으며, 관 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을 해석하였다. 실험 결과 시제 전열관은 ASTM에서 요구하는 확관율 30% 및 그 이상의 35% 까지 확관할 경우에도 양호한 확관상태를 보였다. 확관에 따른 유동곡선의 축력은 Alloy 690 이 Alloy 600 에 비해 높았으며, 확관율의 증가에 따라 차이가 점진적으로 크지는 경향을 보였다. 얇은 벽 튜브의 확관에 대한 응력 해석식은 Modified Tresca's Yield Criterion를 도입하여 얻었으며, 소성변형식을 이용하여 확관율에 따른 응력을 예측하였다. 유동곡선의 이론 계산치와 실험치를 비교한 결과 Alloy 600의 경우 이론치는 실험치보다 약간 낮은 값으로 잘 일치되었으나, Alloy 690 경우는 Alloy 600에 비하여 확관율의 증가에 따라 차이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이론 및 실험에 의한 제체의 침윤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epage line of Dam body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Experiment.)

  • 신문섭;안상진
    • 물과 미래
    • /
    • 제14권2호
    • /
    • pp.53-62
    • /
    • 1981
  • 댐이나 제방과 같이 흙으로 축조된 수리구조물에 있어서, 자유지하수면의 최상부 침투선을 해석하였다. 자유지하수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대기압이고, 침투선은 유선이라는 원리에 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지의 침투선을 해석하기 위하여 Galerkin 원리에 기초를 둔 유한요소법에 의하여 다공체속을 흐르는 정류상태의 침투수를 해석하여 실험치와 이론치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이론치와 실험치가 거의 일치함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침투선해석에 있어서 유한요소법이 실험적인 방법보다 더 실용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 PDF

0.5~l.2-MeV 양성자빔에 대한 X-선 발생단면적의 측정 (Measurements of X-Ray Production Cross-Sections for 0.5¡­1.2-MeV Proton Beam)

  • Hae-ill BAK;Jun-Gyo BA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108-115
    • /
    • 1990
  • 0.5~l.2-MeV 양성자빔에 대한 X-선 발생단면적의 측정을 Cu와 Au에 대해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SNU 1.5-MV 탄뎀 반데그라프 가속기에서 얻은 양성자빔을 표적에 입사시켰다. 여기서 방출된 X-선과 후방산란된 양성자는 Si(Li) X-선 검출기와 SSB(Silicone Surface Barrier) 하전입자 검출기를 이용해 동시 측정하였다. 그리하여 측정된 X-선 발생단면적은 다른 실험치들 및 PWBA(Plane Wave Born Approximation)와 ECPSSR(Perturbed Stationary State corrected Energy loss, Coulomb deflection, Relativistic effects)인 이론치들과 비교하였다. 1.0-MeV근처의 양성자에너지에 대해 측정치는 PWBA 값보다는 ECPSSR(D.D. Cohen et al., 1985) 값에 더 잘 일치함을 보였다. 특히, Au의 측정치는 1.2-MeV 양성자빔에 대해 9.69$\pm$0.39 bams이었고, ECPSSR 이론치와는 5% 이내로 일치했으며, 0.5~l.2-MeV 양성자에 대한 실험치는 대부분의 다른 실험치들과 30% 이내로 일치했다.

  • PDF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SPACE CHANGES AFTER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FIRST MOLAR: A LONGITUDINAL STUDY)

  • 김지연;정다운;곽소연;유승은;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7-304
    • /
    • 2008
  • 본 연구는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공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3-Dimensional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예비논문이다. 6세-8세 사이의 제1대구치가 맹출하여 확실한 교합 관계를 이루는 혼합치 열기 어린이 중 편측 제1유구치의 조기 발치가 필요한 6명의 발치 전 후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구치 공간변화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하악은 실험군에서 3명 중 2명에서 공간감소가 관찰되었다. 2. 치열궁 너비, 치열궁 둘레는 초기모형과 최종모형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다. 3. 협설측 경사도 변화는 유견치에서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제2유구치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 하악에서는 3명중 2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를 보였다. 제1대구치는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4. 근원심 경사도 변화 측정에서 유견치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제2 유구치의 경우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근심경사도 증가가 보였다. 제1대구치는 상악에서 실험군, 대조군 모두 원심 경사도가 증가되었다.

  • PDF

Detection Power when outliers are present at or near the end of time series

  • 이종선;안미혜;이재준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1-283
    • /
    • 2003
  • 시계열 모형을 따르는 자료의 예측(Forecasting)이나 공정조정(Process Adjustment)의 경우, 자료의 마지막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Outlier)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이상치 탐지 방법은 주로 자료의 중간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를 검출하는데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마지막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에 대한 기존 탐지 방법의 검출력을 모의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검출력과 비교하였다.

  • PDF

스티렌 공중합체의 유변학적 특성 해석 (Analysis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Styrene Copolymers)

  • 한민현
    • 유변학
    • /
    • 제4권1호
    • /
    • pp.46-51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열가소성고무를 중심으로 한 스티렌 공중합체의 유변학적 특성을 Couette 보정치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재료로는 SBS(Styrene-Butadiene-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hylene-Styrene), SIS(Styrene-Isoprene-Styrene)을 사용하였고 탄성체의 성격을 비교하기 위하여SBS(Styrene-Butadiene Rubber)와 IR(Isoprene Rubber)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Couette 보정치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열가소성 고부 (SBS, SEBS, SIS)의 보정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무(IR, SBR)의 보정치는 열가소성고무에서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충진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충진제의 양 이 증가할수록 Couette 보정치는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