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험집단

검색결과 2,291건 처리시간 0.032초

온라인 강의에서 의사통방식의 효과: 질문에 대한 답변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Online Lecture: Focused on the Answering Way)

  • 채정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172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 강의에서 수강생들의 강의관련 질문과 답변 내용을 주간 단위로 모아서 수강생들에게 추가로 공지하는 상호작용이 학업성과와 강의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실험법 중 통제집단사후측정 비교설계 방식에 따라 진행하였다. 각 집단은 한 분반이 200명 단위로 분반되는 대형수강과목을 1개 선정하여 600명을 3개 분반에 무선할당 하여 각각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1에게는 이메일로 내용을 전달하고, 실험집단2에게는 과목공지게시판을 통해서 내용을 전달하며,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종속변수는 해당 과목에 대한 수강생들의 학업성적과 강의만족도이었다. 그 결과,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에서 학업성적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 중에서는 1집단이 2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학업성적은 높았는데, 강의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강의관련 질문에 대해 교수자가 수강생들에게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는데, 상호작용의 방식은 과목공지게시판보다는 학생에게 보다 편리한 이메일 전달방식이 더 효과적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PDF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 연구 : 대면 집단상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and Traits of Online Narrative Group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Modality : Comparing with face-to-face Group Counseling)

  • 오윤석;조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01-40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위한 이야기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을 대면 집단상담과 비교하여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대학생 18명을 각각 6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Zoom을 활용한 화상 집단상담을, 비교집단에는 대면 집단상담을 각 8회기씩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비모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자아정체감 및 대인관계 점수의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 검증을 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서 자아정체감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의 긍정적 변화는 실험집단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담자 경험을 묻는 사후면접자료 분석을 통해 화상집단상담과 대면집단상담 내담자들의 경험 특성을 비교하여 온라인 집단상담 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화상 집단상담이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면 집단상담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맥락이 나타났으며, 온라인 집단상담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TEAM Activiti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 채희인;노석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17-433
    • /
    • 2013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과학을 어려워하고, 과학에 흥미가 없으며, PISA 평가에서도 과학적 소양이 하락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고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 STEAM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31명(남자 15, 여자 16), 비교집단 31명(남자 17, 여자 14)의 두 집단을 선정하고,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 통합을 고려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하여 과학탐구능력(TSPS 검사지)과 과학에 대한 태도(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 평가지)를 검사하였다. 과학탐구능력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16.77, 비교집단이 17.81로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20.48, 비교집단이 18.00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과학탐구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13, 비교집단이 3.43 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50, 비교집단이 3.33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STEAM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STEAM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TEAM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고, 학생들은 STEAM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교육용 프로그램의 사용이 초등학교 수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use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mathematical thinking Effects)

  • 이원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58-260
    • /
    • 2012
  • 본 논문은 교육용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실험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I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총 6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처치는 2011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험집단에는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육을, 통제집단에는 교실에서 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측정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 PDF

미국교외학교 소수민족학생들의 과학과 수학 특별활동과 성취에 관한 연구 : "THE SCIENCE AND MATH FOR EVERYONE PROJECT"에 대한 특별 보고서 (Extracurricular Science and Math Activities and Achievement of Minority Students in an American Urban School : A special Report of THE SCIENCE AND MATH FOR EVERYONE PROJECT)

  • 이희자;백하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2
    • /
    • 2000
  •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소수민족학생들의 과학과 수학의 수행능력과 흥미를 갖도록 혁신적인 교육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준 실험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7학년과 8학년 학생으로, 과학과 수학에 흥미가 있고 성적이 우수하며, 신체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장애가 있고, 소수민족이고, 경제적으로 빈곤한 계층이며 여학생을 우선조건으로 실험집단 52명, 비교집단 28명이 무선표집되었다. 연구대상 대부분(72명)이 흑인이고, 나머지(8명)는 히스파니아인이다. 연구내용은 1) 방과후 학술활동 2) 사회적 기술활동 3) 현장학습 4)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실험집단의 자아개념과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평가를 분석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학업성취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과학성적(CRT)이 통계적으로 비교집단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프로젝트의 목표를 초과달성하였다. 비교집단도 자연적 성숙효과로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도는 실험집단보다 낮았다. 2. 학생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었다. 프로젝트 목적과 명확성, 현장학습의 적절성, 게임이나 학술활동보다 현장학습의 선호, 특히 자아존중감 활동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3. 실험집단의 자아개념은 프로젝트 기간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학업 성취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프로젝트의 한국적 상황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과학 I(하) 천문영역에 대한 STS 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S Program-Oriented Earth Science Instruction on the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류주현;유계화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73-479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STS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학습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뒤, 약 6주 동안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ST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강의 중심의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태도가 향상되었고, 과학학습 성취도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더 높은 성취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 PDF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on Exercise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 김희진;문소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5-49
    • /
    • 2018
  •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소속 유소년축구선수 80명(실험집단 39명, 통제집단 41명)으로, 편의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되었다. 실험집단은 소규모(8-11명)로 나누어 주 4회, 45분씩, 15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운동스트레스척도와 운동선수 긍정심리자원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통해 동질성검정과 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p < .01). 운동스트레스 사전 사후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5), 둘째, 긍정심리자원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p < .01). 긍정심리자원 사전 사후점수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자원 지지와 긍정정서 유도를 통한 운동스트레스 감소가 가능함을 시사하며, 향후 긍정심리자원 형성에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Inter-Species Validation for Domain Combination Based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Method

  • Jang, Woo-Hyuk;Han, Dong-Soo;Kim, Hong-Soog;Lee, Sung-Doke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5년도 BIOINFO 2005
    • /
    • pp.243-248
    • /
    • 2005
  • 도메인 조합에 기반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은 효모와 같은 특정 종에 대하여 우수한예측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인간과 같은 고등 생명체의 단백질에 대한 상호작용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여러종에 대한 기법의 적절성검증과 최적의 학습집단 구성 방안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파리 단백질을 이용한 예측 정확도 검증으로 도메인 조합 기법의 일반화 가능성을 타진 하고 이종간의 상호작용 예측실험 및 정확도 검증을 통하여 비교적 연구가 덜 되어진 종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을 위한 학습집단 구성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초파리 실험에서는 10351개의 상호작용이 있는 단백질 쌍 가운데, 80%와 20%를 각각 학습집단 및 실험집단으로 사용하였으며, 상호작용이 없는단백질 쌍의 학습집단은 1배에서 5배까지 변화시키면서 예측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이 결과77.58%의 민감도와 92.61%의 특이도를 확인하였다. 이종간의 상호작용 예측 실험은 효모, 초파리, 효모, 초파리에 해당하는 학습집단 각각을 바탕으로 Human, Mouse, E. coli, C. elegans 등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을 수행하였다. 실험 곁과 학습집단의 도메인이 실험집단의 도메인과 많이 겹칠수록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도메인 집단간의 유사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한 Domain Overlapping Rate(DOR) 는 상호작용 예측 정확도의 중요한 요소임을 찾아내었다.

  • PDF

텃밭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An The Effects of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of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 구자림;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92-301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텃밭 가꾸기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영양 지식과 식습관 형성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경기도 수원 H 어린이집과 화성 H어린이집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8명과 비교집단 18명으로 나누고,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거주하고 있는 두 지역 유아들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으며 비교집단은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하지 않는 시설이다. 연구 도구는 영양지식 측정도구와 식습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t-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만 3, 4세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영양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의 경우, 텃밭 가꾸기 활동을 실시하기 이전에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처치 후에는 실험 집단이 비교집단의 사후 검사에서 영양지식(음식을 먹는 이유, 식품의 종류 및 기능, 위생, 텃밭)에 대한 개념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만 3, 4세 유아는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식습관 태도 하위요소 중 식사예절과 식사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영양 지식과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유용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The Effect of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 박지현;현동걸;신애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23-34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의 공전 궤도와 $5^{\circ}$ 기울어진 달의 공전 궤도를 나타내는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교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시내 초등학교 6학년 110명의 학생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55명의 학생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55명의 학생은 현행 교과서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생들에게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지연 개념검사와 개념수준별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에 따라 '위상 인지', '우주적 관점', '지구적 관점', '인지 불가'로 개념 수준을 구분하였다. 사전개념검사에서 t-검정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개념검사와 지연개념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상위 개념 수준인 '위상 인지'에 속하는 학생 수가 많았다.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위상 인지'와 '우주적 관점'에 속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더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