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험실규모

Search Result 45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야외규모 TCE 질량전이 모델의 개발

  • Park Eun-Gyu;Parker John C.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72-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야외규모 TCE (trichloroethylene) 질량전이역학을 평가하기 위해 TCE의 대수층 내 유입 및 용해상 거동을 고해상도 수치 모사를 실시하였다. 공간적으로 불균질한 대수층 $10{\times}10{\times}10m$ 도메인 내부의 유입된 TCE 분포를 모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성적 침투모델(percolation model)이 이용되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연계되어진 (coupled) 지하수 유동 및 용해상 거동 장기 (long-term) 모사를 실시하였다. 지엽적으로 일어나는 질량전이는 기존 연구를 통하여 발표되어진 실험실규모 연구에 기초하였다. 지하수가 도메인을 지나 흘러나가는 경계면에서 측정되어진 용해상 (aqueous phase) TCE의 질량선속 (mass flux)을 통해 실질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가 계산되었다. 관찰된 바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는 실험실 연구를 통해 측정된 값에 비하여 휠씬 작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지하수 유속 및 TCE의 불균질한 분포에 기인한다.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는 평균 지하수 유속에 직접 비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는 기존 실험실 연구를 통해 알려진 평균 지하수 유속의 0.7승이라는 결과와 대조되는 것이다. 또한 모사를 통해 관찰된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는 상대 TCE 질량의 고갈상수 승에 비례함을 보였다. 이러한 고갈상수는 TCE가 측방으로 퍼지는 현상이 강한 대수층, 즉 저투수성 층의 발달이 양호한 대수층, 에서는 1보다 작은 값을 갖고 그렇지 않은 대수층, 즉 저투수성 층의 발달이 미약한 대수층, 에서는 대체적으로 1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DNAPL의 측방 퍼짐이 강한 대수층에서는 용해로 인한 시간에 따른 오염원 부근에서의 농도 감소가 미약하기 때문인 것이며, 그와 반대로 DNAPL의 측방 퍼짐이 약한 대수층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해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염원 부근에서의 농도가 감소 또는 소멸함으로 인하여 측정되는 용해상 DNAPL의 질량 선속 역시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Reviews on the Operation of Lab-scale Waste Landfill Simulation Reactor (실험실 규모 폐기물 모의매립조 운전에 관한 고찰)

  • Yoon, Seok-Pyo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7 no.1
    • /
    • pp.23-32
    • /
    • 2019
  •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lab-scale waste lysimeter or landfill simulation reactor, whi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and abroad for the last 20 years, were investigated for the type of operation parameter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the size of the device. From the results,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lab-scale lysimeter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i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rther research.

이중 백필터 시스템에서 가스상/입자상 다이옥신류의 거동 특성

  • 이종길;서성석;김상윤;라돈섭;차진선;동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429-430
    • /
    • 2001
  • 소각시설에서의 다이옥신류의 거동에 대한 연구는 유입폐기물의 성상이나 운전 조건, 공정 특성 둥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실험실규모에서의 기초연구가 실규모의 시설에는 조건 및 환경의 차이로 인해 적용될 수 없는 등 자료해석의 일반화를 도모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도시 고형폐기물 소각시설 후단의 배출가스 처리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다이옥신류의 거동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략)

  • PDF

Study of Bench scale Chemical Absorption Process for $CO_2$ Separation ($CO_2$ 분리회수를 위한 Bench 규모의 화학흡수분리공정 운전특성 연구)

  • 남성찬;박성열;이종섭;민병무;임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97-702
    • /
    • 2003
  • 실험실규모(0.5Nm$^3$/hr)의 이산화탄소 연속흡수분리장치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Bench규모(5Nm$^3$/hr)의 이산화탄소 연속흡수분리장치 설계하였다. MEA용 이산화탄소 연속흡수분리 장치를 4개의 흡수탑과 2개의 탈거탑을 연결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실험할 수 있도록 장치를 제작하고 실험변수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흡수분리효율을 측정하였다. 설치된 실험장치에 대하여 주어진 실험범위에서 실험한 결과, 이산화탄소 제거율이 45~100%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와 설계기준을 고려한 scale-up factor는 설계결과와 실험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각각 1.00~1.85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생물공정에 유동층 반응기의 이용

  • 박영훈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6 no.2
    • /
    • pp.34-37
    • /
    • 1990
  • 본고에서는 항생물질 생산을 위한 실험실 규모의 유동층 반응기 이용 예를 중심으로 이 반응기 시스템의 생물공정에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Norovirus Food Poisoning and Laboratory Surveillance for Viral Gastroenteritis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법)

  • Jee, Young-Mee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1 no.3
    • /
    • pp.6-11
    • /
    • 2006
  • 바이러스성 식중독은 장염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체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해 흔히 발생하며 이외에도 아스트로바이러스나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집단 설사 사례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있다. 노로바이러스는 식중독과 관련하여 특히 오염된 식수와 굴 등 어패류의 생식을 통한 감염 사례가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사람 간 전파도 흔히 일어나는 전염력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이다. 국내에서는 1999년 이후 보고가 되고 있으며 최근 집단 급식과 관련된 대형 식중독 사례들이 보고되면서 학교급식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2000년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바이러스성 설사의 국내 발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17개 시도보건환경 연구원과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4종의 바이러스성 장염원인 병원체에 대한 전국적인 실험실 감시체계를 운영한 결과 바이러스성 병원체가 확인된 사례의 약 18%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집단설사 사례에서는 대부분 노로바이러스가 원인병원체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로바이러스의 조기 검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2004년 중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kit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이를 전국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을 연계한 감시체계에서 적극 활용함으로써 노로바이러스 집단설사사례의 조기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고 지역내 노로바이러스 검출율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03년과 2006년에 발생한 대규모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례 이외에도 산발적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례들을 조기에 탐지하고 국내에서 검출되는 설사바이러스 유전형 분포양상과 새로운 유전자형이나 변이주를 조기에 검출하고자 전국적인 노로바이러스 실험실 감시망을 강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집단설사 발생시 각 사례의 연관성을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분자역학적 유전자 분석체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실험실 감시체계 운영과 함께 집단 식중독 유발 병원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질병관리본부는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설사 유발 병원체를 신고대상 병원체로 지정(2006.06.12)하여 병원체 검출시 보고하도록 하고 관련 지침을 마련하였다. 노로바이러스가 지정전염병 병원체로 추가로 지정됨에 따라 집단 사례 및 실험실 감시사업을 통해 검출되는 병원체에 대한 보고가 강화되고 전파 방지와 2차 감염 사례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전국의 실험실 감시망을 연결하는 국가 차원의 노로바이러스 실시간 분자역학적 분석체계 도입을 통해 노로바이러스 2차 감염을 줄이고 대규모 집단발병 및 유행의 조기 차단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Pilot scale Coagulation system Design for CSOs treatment (CSOs 처리를 위한 실증규모 응집침전시스템의 설계평가)

  • Lee, Seung-Chul;Ha, Sung-Ryo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1
    • /
    • pp.1-8
    • /
    • 2013
  • A pilot scale coagulation system, which has a function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was developed to treat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This coagulation system requires evaluation of optimum design factors whether it has reflected those of lab scale system, moreover, the pilot scale system can b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t CSOs even though it has reflected lab scale's design factors. We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lab scale system that could treat $1m^3$ of CSOs in a day, and also pilot-scale system with $100m^3/day$ CSOs flowed into the Cheongju sewage treatment plant.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hydraulic similarity between the design factors of pilot scale and those of lab scale coagulation system, and to evaluate feasibility of the coagulation system for the CSOs treatment with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From the result of pilot-test, we drew the optimum operation factors of in line mixer and flocculator having similarities with those of lab scale system as well as the optimum coagulant dose. Finally we confirmed that the coagulation system has feasibility to treat the CSOs with high removal efficiency.

Preparation of Magnesium from Magnesite using Fused Salt Electrolysis (마그네사이트 광석으로부터 용융염전해법에 의한 마그네슘 제조)

  • Park, Hyungkyu;Kang, Jungshin;Lee, Jinyoung
    • Resources Recycling
    • /
    • v.26 no.3
    • /
    • pp.69-78
    • /
    • 2017
  • Magnesium has been used as parts of vehicles, case materials of notebook PC and mobile phone, and its demand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ts extraction technolog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wo major reduction methods: the fused salt electrolysis and the thermal reduction method. A research on the extraction of magnesium from magnesite which has been being carried out at KIGAM was briefly introduced here. Magnesium was prepared using a fused salt electrolysis method through preparation of anhydrous magnesium chloride with lab scale experiments.

Serratiopeptidase 국산화와 우리의 경험

  • 노용택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3 no.3
    • /
    • pp.37-38
    • /
    • 1987
  • 1983년 부터 3년여에 걸쳐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에서 우수 균주 개량및 발효법에 의한 효소생산을 확립시켜 산업화 가능 수준까지 도달하였다. 그러나 당사에서 생산시 국제가격하락및 품질경쟁을 예상할때 실제 생산에서는 실험실 수준의 2배 이상의 역가향상과 회수율 향상이 필요하였고, 실험실에서 손쉽고, 경제적인 생산방법들이 규모가 큰 공장 설비에서는 경제적이지 못했으므로 별도의 산업화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scale-up 실험은 연구소의 여러 기초 실험결과를 토대로, 기존설비들에 적합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작업이 안전하게, 생산성의 변동이 적게, 공정속도가 빠르게, 경제성이 높게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시켰다. 이미 항생제 Rifamycin 발효생산을 통하여 축적된 기술 경험을 최대한 되살려 발효및 회수 정제의 산업적 기술개발에 응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