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증선박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troduction of Testbed Vessel for MASS Technologies (자율운항선박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 개발 및 운용)

  • Songman Jeon;Seunghyeon Lim;Dongwon Han;Hae-Seong Ahn;Geun-Tae Y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36-337
    • /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의 상용화를 위하여 개발되는 요소 및 통합기술의 성능시험과 실증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테스트베드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서 개발되는 기술의 성능검증을 위하여 울산시 고늘지구 인근에 성능실증센터가 구축되고 있으며, 성능실증센터는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를 비롯한 육상테스트베드와 시험해역과 시험선을 포함한 해상테스트베드로 구성된다.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자율운항기술의 해상 실증 및 성능시험을 고려하여 건조되었으며, 본 논문을 통해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의 기능과 구성요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선박용 SCR 시스템 상용화 (운항 선박 실증 테스트 및 적합성 인증)

  • Yang, Hui-Seong;Park, Jae-Hyeon;Park, Chan-Do;Lee, Seong-Yeong;Go, Jun-Ho;Song, Seok-Yong;Lee, Jae-U;Ryu, Seung-Ho;An, Gw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0a
    • /
    • pp.41-41
    • /
    • 2011
  • 국제해사기구(IMO)에서2016년에 건조되는 선박부터 Tier III 규제를 예고하고 있다. 이 규 제를 만족하기 위하여 엔진 전처리 기술 및 후처리 기술 개발과 실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반응을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이 80% 이상의 Tier III NOx 규제치를 만족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다. 육상 플랜트에서 실증과 검증이 확보된 SCR 기술의 선박 엔진에 대한 적용을 위해서는 선박의 급격한 운전조건 변화와 엔진에 의한 저주파 진동에 대한 촉매 내구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기공 분포면에서 마이크로 기공보다는 메죠 및 매크로 기공쪽으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촉매 사용시 우려되는 배기가스중의 Soot 또는 2차 합성물질에 의한 촉매기공 막힘을 최대한 방지한 상용 SCR 촉매를 개발하였다. 또한 촉매에 대한 내구성 실증을 위하여 현재 운항 선박(한진피츠버그호)에 장착하여 실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존 corrugate 타입의 촉매보다 40% 정도의 부피 감소와 차압 감소를 달성하였고 이로 인하여 선박내 제한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SCR 시스템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가이드 베인 설치 없이 유동 균일화를 달성하여 반응기 전체의 크기 축소가 가능하다. 이는 추가적인 비용 및 압력 손실 저감, 유지 보수 공간 확보 등의 장점이 있다.

  • PDF

자율운항선박 관제 실증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기본연구

  • 김대원;김소라;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30
    • /
    • 2023
  • 2020년부터 진행중인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연구와 함께 2021년부터는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외부 지원 및 관련 육상 서비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중 선박교통 안전 및 항만 운영 효율성 확보 등을 위하여 시행 중인 선박교통관제 서비스에 있어 자율운항선박의 출현에 따른 대응 방안을 함께 연구 중이다. 지난 2년간 자율운항선박의 VTS 센터 혹은 유인선박과의 의사교환방법에 대한 개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향후 각 사례별 세부 시나리오 설정 및 부산항 일대에서의 실증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 시나리오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자율운항 실증선 탑재를 위한 통신기술 시제품 개발 현황 및 시사점

  • 유진호;박개명;김원용;김정현;구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96-198
    • /
    • 2023
  •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의 Ship2Ship2Shore 데이터 교환 및 통신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현황과 시사점을 소개한다. 2024년 자율운항선박 실증선에서 개발된 시제품을 탑재하여 실증 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시제품 개발 현황과 연구과정에서 식별된 문제점 분석을 통해 미래형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본다.

  • PDF

Establishment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MASS Sea Trial Area (자율운항선박 시험해역 관리를 위한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 Dongwon Han;Geun-tae Yim;Songman Jeon;Seunghyeon Lim;Hae-seong Ahn;Hye-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38-340
    • /
    • 2022
  • 미래 선박시장을 주도하게 될 자율운항선박의 기술개발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의 고도화와 단계적인 실증을 위해서 체계적인 성능시험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시험해역을 포함한 육·해상 성능시험 인프라가 울산시 고늘지구 인근에 구축되고 있다. 시험해역의 안전관리와 시험선박을 지원하기 위하여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에는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되며 자율운항선박 기술 및 연계 기술의 개발과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본설계를 통하여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장비를 구성하였다.

  • PDF

Analysys of results of demonstration test of remote control system for unmanned ships for detecting marine and fishery disasters (해양수산재해 탐지용 무인선의 원격관제 시스템 실증시험 결과 분석)

  • 강은구;한정욱;김선영;박한솔;표춘선;박규린;박재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36-138
    • /
    • 2021
  • 본 논문은 경남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육성 실증 사업의 일환으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주관으로 수행한 연구 개발 사업의 실증 시험 수행 및 성과에 관련된 내용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무인선 아라곤2호와 3호에 적용한 원격관제 시스템의 고도화 및 성능개선 관련 연구개발 수행 중이다.

  • PDF

중소형선박 안전 서비스 정의서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Gang, Won-Sik;Choe, Chung-Jeong;Kim, Yeo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77-78
    • /
    • 2019
  • 인천시는 2017년 12월에 발생한 진두항 낚시어선 충돌사고 등 선박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선박충돌경고, 해상안전정보 제공, 실시간 자동 입출항 관리, 해상 e-Call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선박안전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확화고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며, 이러한 서비스 정의서 개발을 통해 향후 다양한 서비스 설계를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안전 실증사업 서비스 정의서를 개발하기 위해 대상이 되는 중소형선박 운항자 및 유관기관 종사자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도출된 사항을 바탕으로 서비스 정의서 개발 및 적용할 경우,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선박안전운행 시스템이 구축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Basic Concept Design for Digital Twin Ship Platform (디지털트윈 선박 플랫폼 설계를 위한 연구)

  • Yoon, Kyoungkuk;Kim, Jongsu;Jeon, Hyeonmin;Lim,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1086-1091
    • /
    • 2022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s establishing international agreements on maritime safety and security to prepare for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ships. In Korea, the industry is focusing on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reduce accidents involving coastal ships, research on autonomous ship technology application plans for coastal ships is in progress. Interest in autonomously operated ships is increasing worldwide, and maritime demonstrations for verification of developed technologies are being pursued. In this study, a basic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design of a demonstration ship and an onshore platform (remote support center)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for application to coastal ships. To apply digital twin technology, an 8-m small battery-powered electric propulsion ship was selected as the target. The basic design of the twin-integrated platform was developed. The ship navigation and operation data were stored on a server system, and remote-control commands of the electric propulsion ship was achiev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hip and the onshore platform. Ship performance management, operation and operation optimization, and predictive control are possible using this digital twin technology. This safe and economical digital twin technology is applicable to ships responding to crisis scenarios.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 실증결과

  • 정우리;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74-275
    • /
    • 2022
  •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스템의 실증을 위하여 원격제어시스템 실증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는 크게, 원격추종테스트, 원격제어테스트, 원격조종테스트 세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제어시스템 실증을 위하여 실습선 한나라호와 육상제어센터 내 원격제어시스템을 통신네트워크(LTE, VSAT)을 통해 테스트하였다. 실습선을 활용하여 연안항해(부산-여수-부산) 중 안전수역(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부근)에서 10°/10° 지그재그 및 20/°20° 지그재그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실증 결과에 따라 원격제어시스템 내 핵심모듈의 부분적 문제점을 식별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선박운항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실험조건 도출 연구

  • Gong, In-Yeong;Gwon, Se-Hyeok;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81-83
    • /
    • 2007
  • 항만이나 항로에서의 심층적인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선박운항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해상에서 선박이 조우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매우 다양한 반면, 비용이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실시간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은 극히 한정 된 경우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험 조건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이 기법을 실제 선박 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에 적용한 실증 분석 결과를 사례 연구로 기술하였다. 실증 분석에는 주성분을 이용한 종합 운항 난이도 산정 방법과 누적 확률분포 개념을 이용하여 선박 운항 난이도가 높은 실험 조건을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험 조건으로 선택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