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제주의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33초

실제 수업 및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변화 분석 (Analyzing the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ual class and learning community)

  • 정혜윤;서유민;한주호;서민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79-30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수업 및 수업 전후 진행된 학습공동체 회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특징의 변화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인 초등 예비교사와 연구진들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분석 자료로 초등 예비교사의 실제 수업과 학습공동체 사전, 사후회의 과정 전체에 대한 녹화 및 녹음 자료와 이들에 대한 전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일지와 사후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학생의 학습지 등이 수집되었으며, 분석 방법으로 해석적 사례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의 특징이 주의 기울이기, 해석하기, 반응 결정하기의 각 요소에서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으며, 이와 같은 변화에 학습공동체가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주의 기울이기 대상이 과제 결과물에서 학생의 통계적 사고로 변화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해석하기가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근거의 다양성과 구체성이 갖추어진 상태로 변화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의 반응 결정하기가 생산적이지 못한 반응 결정하기에서 생산적인 반응 결정하기로 변화하였다.

해체주의(Deconstructionism) 경향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ography Style by Deconstructionism)

  • 신청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5-196
    • /
    • 1999
  • 문학, 건축 순수미술, 영화 산업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마치고 있는 해체주의(Deconstruction)는 디자인 분야에도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보여지는 모습도 매우 광범위하며 표현에 있어서도 많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해체주의 디자인은 포스트 모던한 상황과 다원화된 후기 산업사회, 데리다(J. Derrida)의 해체 이론과의 관계성을 통해 접근하고 있다. 특히 기호와 텍스트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타이포그래피와 시각 디자인 분야는 해체 철학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철학적 영향을 받고 있는 해체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해체 철학이 타이포그래피에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소비생활 이야기에 반영된 소비자의 사회문화적 경험 분석: Narrative 분석의 실험적 적용 (An Analysis of Consumers' Socio-Cultural Experiences Expressed in Consumption Stories :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a Narrative Analysis)

  • 김기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1-84
    • /
    • 1999
  • 지식의 근원과 내용에 관한 인식론적${\cdot}$철학적 연속선의 양극에 위치하는 물질결정주의와 정신결정주의의 사이에 물질과 정신의 상대적 수용정도에 따라 존재하는 다양한 철학적 입장 중에서 소비자학과 가정학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20세기의 학문세계에서는 물질결정중의에 속하는 경험주의와 실증주의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사회가 후기산업시대로 들어가고, 문화가 포스트모던시대로 진입함에 따라 물질결정주의에 입각한 과학적 지식만으로는 인간행동에 조직원리를 이해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면서 사회경제구조주의에 의한 민속학적 연구방법이나 이해주의에 의한 화술학, 해석학, 기호학, 구조적비평주의 등 다양한 철학적 입장이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주의와 실증주의에 입각한 연구로 일관해오면서 과학의 수행성 안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연구자 스스로의 한계로부터 비롯된 갈등에서 출발되었다. 특히 소비자행동을 사회${\cdot}$문화적 현상으로 파악해야 하는 문화적 경험을 통해 관점의 전환에 대한 강한 문제인식을 갖게 된 시점에 기존의 질적 연구방법보다도 더욱 일정한 형식과 틀을 벗어나는 narrative분석을 접하면서 소비자의 생생한 생활이야기에 숨어있는 관습적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되었다. Narrative분석이란 이해주의에 속하는 연구방법으로서 사회경제구조주의에 속하는 기존의 질적 연구방법과는 다른 철학적 관점에서 출발한다. 사회경제구조주의는 인간세계가 사회적으로 형성되고 누구나 공감하는 타당한 지식체계로 구성된다는 가정아래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공감하는 사실들로부터 추출한 하나의 공통된 지식구조를 가지고 연구자료를 체계적으로 해석한다. 이해주의는 사회경제구조주의와 마찬가지로 연구자료를 종합된 사회적 공감대의 결과물로 간주하지만, 사회경제구조주의와 달리 다양한 문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해석을 인정함으로써 하나의 공통된 지식구조가 아니라 다양한 지식구조에 의한 다양한 해석을 시도한다(Hirschman & Holbrook, 1992). 본 연구는 이해주의에 속하는 narrative분석을 시도하기 위해 11명의 화자를 대상으로 가장 최근에 구입한 소비경험을 묻는 최초의 질문을 제외하고는 화자에게 완전한 자유를 주며 소비생활이야기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화자의 집에서 대부분 진행된 인터뷰는 1시간 35분부터 2시간 20분 정도 걸렸고, 인터뷰의 전 과정을 녹음한 테이프를 토씨 하나 빠뜨림 없이 필사본으로 옮겨 구술자료를 마련한 후, Labov(Riessman, 1993, 재인용)의 구조분석을 이용한 Bell(Riessman, 1993, 재인용)의 '연결된 이야기와 그 의미(linked stories and meaning)' 의 narrative분석모델에 적합한 11가지의 narrative plots을 4명의 화자의 구술자료로부터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11가지의 소비생활이야기로부터 소비자들이 사회${\cdot}$문화적 영향을 받으며 관습적으로 형성되는 욕구를 경험하고 있음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다. 새로운 거주지로의 이주로부터 경험하는 문화적 충격과 상대적 빈곤감은 새로운 사회에서 통용되는 상징물인 유명상표에 대한 선호를 낳고, 적정수준의 혼수에 대한 이상과 혼수관습의 현실간의 부조화는 의례(ritual)에서의 관습적 신념의 강력한 영향력으로 인해 관습을 수용하게 만들며, 가정환경에의한 소비자사회화보다도 소속 집단의 사회${\cdot}$문화적 영향에 의한 소비자사회화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소비경험들은 소비가 사회${\cdot}$문화적 현상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가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소비현상이 개인적인 영향 변수보다는 사회${\cdot}$문화적 영향을 더 받는 다는 점과 이것은 기존의 양적${\cdot}$질적 접근방법보다는 Narrative기법을 이용할 때 더욱 명료해진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Narrative분석을 통해 개개인이 과거에 실제로 겪은 경험이 그에 대한 사회${\cdot}$문화적 맥락에서의 의미부여와 해석으로 되살아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실증주의의 연구결과물이 연구자료에 담겨있는 내용을 통계분석으로 일반화시키고 추상화시켜 무미건조한 결과를 담고 있는 것과는 달리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며 체험적인 결과물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가정생활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가정학과 소비자를 생활자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소비자학이 타학문과 차별되는 실천주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물질결정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정신결정주의적 관점을 수용하여 생활의 체험적 결과물을 구축해나가야 함을 시사한다. 가정학자들이 후기산업시대와 포스트모던시대가 요구하는 관점을 수용하고 그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짜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용돌이의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는 가정생활의 생생한 내용과 맥락을 포착해야 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천년을 열며 멈추지 않는 인간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가정생활의 변화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지식에 대한 새로운 인식론적${\cdot}$철학적 관점을 수용하고 보다 생활과 밀착된 체험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의 지극히 작은 시작에 불과하지만, 관점의 전환과 사고의 폭을 넓히는 하나의 계기가 된다면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달성되는 셈이다. 마지막으로 narrative분석의 실험적 적용을 함에 있어서 연구의 전 과정을 생소한 관점과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 없이 추진해야하는 연구자의 한계가 본 연구의 가장 큰 제한점이었음을 강조하며,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관점과 연구방법을 시도하는 실험적 분위기를 고조시켜 본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우리 나라 고유의 사회${\cdot}$문화적 환경 속에 담겨있는 가정생활의 맥락(context)을 완성해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 PDF

운동 중 이럴 때 주의하라

  • 송상욱
    • 월간당뇨
    • /
    • 통권208호
    • /
    • pp.25-28
    • /
    • 2007
  • 운동요법은 인슐린이 발견되기 수세기 이전부터 당뇨병의 치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운동이 당뇨병환자의 신체 대사에 미치는 단기 및 장기 효과에 대해서도 이미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어 그 유용성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많은 당뇨병환자들이 막상 운동을 시작하려해도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어떤 점을 유의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당뇨병환자에게 있어서 실제적인 운동 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실 운동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당뇨병환자는 적절한 진단 검사와 자세한 의학적 평가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여기에는 운동에 의해서 악화될 수 있는 혈관성 합병증의 유무도 자세히 살펴보아야만 한다. 심장, 혈관, 눈, 신장,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의 증상과 증후에 초점을 맞추어 세심한 병력과 신체진찰을 받고 환자 개개인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개별화된 운동처방에 따라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인지적 구성주의에 따른 수학과 교육 현장 적용 연구 (Classroom Practice for Mathematics eased on Cognitive Constructivism in Primary School)

  • 김판수;박성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39
    • /
    • 1999
  • Piaget 이론을 근거로 수학과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를 알아보고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에 적용하는 지도 원리를 분류 활동, 수의 대소 비교와 부등호, 합이 10인 경우의 덧셈, 뺄셈의 기초, 세 수의 덧셈, 덧셈과 뺄셈의 관계, 덧셈과 뺄셈의 혼합 계산, 길이의 단위 도입, 0이 있는 나눗셈, 삼각형의 넓이 단위의 문제 등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소개하였다.

  • PDF

편심축하중을 받는 구속 RC장주의 거동 해석 (Behavior Analysis of Eccentrically Loaded Restrained Reinforced Concrete Slender Columns)

  • 박재운;정경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24
    • /
    • 1990
  • 본 연구는 RC 뼈대구조물의 실제적인 단부경계조건을 고려한 RC 기둥에 대한 인접부재의 강성을 비선형 거동과 부합시켜 해석하였으며, 인접부재의 단부구속 효과를 고려한 편심축하중을 받는 장주의 극한강도와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정립하여 반복법을 이용한 수치적분법에 의하여 1차로 이론 해석을 하였다. 그리고, 계속 RC 기둥의 극한강도와 거동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를 해석모델을 이용 연구하고져 한다.

  • PDF

운전자 정보처리 특성 분석을 위한 운전 시뮬레이션 (Driving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Driver Information -Processing Characteristics)

  • 이재식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1-25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운전자 행동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운전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 및 이러한 운전 수행 능력과 관련이 가장 깊은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이 밝혀왔던 기본적인 지각적/인지적/운동적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운전자 수행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운전자의 운전 수행 및 운전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신/운동 수행 능력은 정보 처리적 관점에서 측정되고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능력의 패턴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속도 유지와 차선 유지에 대한 측정치와 더불어 운전과 관련한 인간 수행 중에서 단순 반응 능력, 선택 반응 능력, 속도 추정 능력, 청각적 주의나 시각적 주의의 분산 능력 등이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운전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운전자들의 실제 운전 수행 및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 활동에 대한 표준화된 준거를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중심축하중을 받는 구속철근콘크리트 장주의 극한강도해석 (Ultimate Strength Analysis of Restrained Reinforced Concrete Slender Columns Under Concentric Load)

  • 박재윤;김진성
    • 전산구조공학
    • /
    • 제4권1호
    • /
    • pp.121-132
    • /
    • 1991
  •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뼈대구조물의 실제적인 단부경계조건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인접부재의 강성을 비선형거동과 부합시켜 해석하고, 인접부재의 단부구속효과를 고려한 중심축하중을 받는 장주의 극한강도를 해석하고저 해석모델을 정립하여 보-기둥의 2차강성매트릭스 해석법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해석하는데 있다.

  • PDF

패턴 스펙트럼 성분 함수와 주의 교통 표지 인식 (Pattern Spectrum Component Function and Warning Traffic Sign Recognition)

  • 김회진;장강의;최태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01-409
    • /
    • 1997
  • 기존의 방향성 패턴 스펙트럼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게 방향성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패턴 스펙트럼 성분 함수를 도입하고 그 성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패턴 스펙트럼 성분 함수에 의하여 잡음성 형상을 식별하고자 적응 거리 함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패턴 스펙트럼 성분 함수를 주의 교통 표지 식별에 실제 응용하여 적응 거리 함수에 의하여 평가한 본 결과 방향성 패턴 스펙트럼에 비하여 보다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구성주의를 적용한 비대칭 2차원 그룹학습 모델 (A Model of Asymetric Two-Demention Collaborative Instruction System using Constructivism)

  • 김갑수;김현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592-594
    • /
    • 2000
  •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개인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하기보다는 여러 사람과 함께 열린 사고로 일을 처리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학습에서도 마찬가지로 협동학습은 지식뿐만 아니라 인성적인 면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에 입각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실제 학습 수업에서 활용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학습내용을 구성하는 부분과 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부분들이 교수자간 및 학습자간에 협동을 한다. 이는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해결학습을 통해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고, 학습 성취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그동안 부족했던 웹상에서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면대면 교육과 같은 즉각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