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외 환경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2초

광대역 CDMA WLL용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Smart Antenna System for Wide-Band CDMA WLL Channel)

  • 김미경;황현구;김종헌;박환석;김상태;최승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12-91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WLL신호환경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역방향 채널에서의 시스템 성능분석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 보여지는 모든 결과는 현재 상용화 된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실제 데이터로부터 얻어졌다. 웨이트 벡터로부터 계산되어진 빔패턴과 BER(Bit Error Rate)은 실내와 실외 환경 실험에서 관찰되었다. 실험의 결과로, 제안되어진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은 실외와 실내 신호 환경 모두에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차세대 HPS(Hybrid Positioning System) 기술동향 및 향후 전망

  • 김상일;김환기;이권우;김화성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7호
    • /
    • pp.44-51
    • /
    • 2011
  •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탑재된 스마트 단말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위치정보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위치정보는 다양한 맥락으로 해석 및 적용될 수 있으며, 교통, 군사, 공공안전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치정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 실외 환경의 경우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반면에, 실외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제약이 많은 실내 환경에서는 주로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 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측위 기술들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각 측위 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복합 측위 기술 동향을 알아보고 향후 복합 측위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OFDM 방식을 적용한 고속 무선 LAN 시스템의 채널 및 등화기법에 따른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for OFDM wireless LAN systems according to channel and equalizer characteristics)

  • 류은숙;이종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A호
    • /
    • pp.1099-110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a 표준안으로 확정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적용한 고속 무선 LAN의 최적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실내 채널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채널 모델링 및 JTC(Joint Technical Committee) 모델에서의 실내 및 실외 환경을 선택하여 채널에 따른 고속 무선 LAN 시스템을 모의 실험하였다. 또한 채널에 의한 열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무선 LAN 표준안에 따른 긴 훈련 신호를 이용한 채널 등화기법인 LS(Least Square) 방식과 LMMSE(Linear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LS 기법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LS 방식으로 채널의 지연 확산 rms(root mean square) 값을 추정한 후 LMMSE 기법을 사용한 경우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LMMSE 기법을 채택할 경우 LS 기법에 비해 실외환경과 같은 열악한 채널환경 하에서도 시스템 성능에 상당한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아동보육시설의 실외놀이 환경 디자인지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the Outdoor Play Settings in Child Care Center)

  • 최목화;변혜령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55-8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guideline for outdoor play settings in child care centers. From March to July, 2005, data were collected from 223 directors at child care centers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ield measurement survey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in seventee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Daejeon. The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sing data were frequency, percentage, mean, $X^2$ and F-test.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1)the existing outdoor playground area in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expanded more than $4\;m^2$ per child. 2) Outdoor play facilities should be equipped with two structured play sets, a play facility for unstructured play and an adventure facility to make child's various activities possible and to promote child development. 3)flooring materials for outdoor playground should be required to use more than three kinds such as solid coverings (cf. asphalt, standard concrete), wood, lawn, soil or sands. 4)to let children enjoy various activities, outdoor playground area should be composed of various play facilities like indoor play gyms and should be independent but have good connections between play faciliti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play activities. 5)Play spaces of outdoor playground should be composed of physical play space, unstructured and dramatized play space, rest space, space for nature and adventure space. In addition, appropriate play equipments should be provided in respective play space.

보육시설 실외놀이 환경과 실외놀이 프로그램 연계를 위한 기초 사례연구 - 대전시 A와 H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 (A Case Study of two Child-care Centers to Encourage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Play Programs in Daejeon)

  • 최목화;손승희;임효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75-794
    • /
    • 2010
  • This study is to provided a basic model to encourage environment and outdoor play programs. The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es of actual activities performed in two child care centers in Daejeon area and the way in which the programs for outdoor play were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th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Daily Report of the Outdoor Play Programs: Plan and Evaluation' paper conducted at each center performed from 2007 to 2009. Following Mockwha Choi et al., (2007), the play observed and described by teachers was analyzed to classify play areas and play activities within each area. The places, equipment and, playthings using in each play period were also examined as well as the limitation and inspiration caused by th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mpty and unfilled space tended to generate more types of non-structural play and role-pretend play 2)Adventurous play was rarely observed. More thoughtfully designed physical environments need to be provided for children to experience challenge and adventure through physical activities 3) Outdoor play environment should be suitable for the overall developments of infants and toddlers depending on their activities. A child care specialist should support the design such environment 4) Naturally, the programs of outdoor play will not be identical for all child care centers. Rather, they should go along with the programmatic characters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of each center. Therefore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as to the importance of must realize of outdoor play should be further increased.

광필터를 이용한 실험적 실외 가시광 통신 시스템 (Experimental Outdoor Visible Light Data Communication Systems with Optical Filter)

  • 김용현;정연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840-1846
    • /
    • 2014
  • 본 논문은 태양광 혹은 인공광이 존재하는 외부 환경에서 광필터를 적용한 실험적 실외 광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안한다. 광잡음의 효과적인 차단을 위해 마이크로루버 필름을 사용한 광필터를 광다이오드에 직접 적용하였으며 잡음광이 광다이오드에 정면으로 입사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입사각 30도를 초과하는 잡음광을 차단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을 낮시간 실외에서 데이터 전송을 통해 검증하였는데 지정한 입사각 혹은 그 이상의 입사 잡음광에 대해 거의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었으며 전송된 패킷데이터의 90%이상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 본 제안 시스템은 향후 실외 자유공간 광무선 데이터 전송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형에 따른 센서 탐지 영역 감소율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듈 설계 (The Simulator Module Design for Reduction rate Analysis of Sensing Coverage in Geography)

  • 류민우;김대영;차시호;이종언;조국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383-386
    • /
    • 2008
  • 기존 개발되어 왔던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외부 환경적인 영향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네트워크 중심적으로 설계 및 구현되어 왔다. 하지만 센서 네트워크의 사용 목적이 다양해지면서 센서 네트워크를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환경에도 적용하려 하고 있다. 실내보다 실외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초소형, 저전력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센서들을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센서가 배치되는 지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 센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지리적 요소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적용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차이점을 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 시 고려되는 핵심 영향요소 중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터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세분화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 구축 시 효율적으로 센서를 배치할 수 있도록 앞에서 분석한 지형 정보를 고려하여 센서 탐지 영역 감소율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터 모듈을 설계한다.

  • PDF

An Vulnerabil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for Security in Outdoor Risk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 Jee, Su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85-92
    • /
    • 2020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 발전에 따라서, IoT기술의 적용범위는 실내 환경의 생활 편의성 개선에서 벗어나 실외 환경에서의 발생가능한 위험을 사전에 감지·예방하는 산업안전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IoT서비스 확대는 많은 장점을 제공함에도 데이터 유출과 변조 등의 보안 문제도 함께 발생시키므로 이에 따른 보안 대응전략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외환경에서의 IoT기반 도로건설 위험방지시스템을 연구대상으로 IoT 보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연구대상에 적용한 저전력-광역(LPWA, BLE) 통신프로토콜의 보안취약점을 조사한 결과, 정보보안의 3대 요소인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측면에서 보안취약점을 확인하여 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취약점 별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 구현된 실외환경에서의 IoT기반 도로건설 위험방지시스템 운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조사·분석과 취약점별 실질적인 보안지침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실내환경 오염 측정장치 알람봇 구현 (Indoor environmental alarm robot)

  • 조해진;이혜빈;이기호;오민우;최지승;김수민;김성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9-551
    • /
    • 2016
  •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인들은 실외보다는 실내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과거에 비해 훨씬늘어 나고 있다. 최근까지도 실외 대기환경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연구와, 개선 노력이 진행 중에 있으나 실내에서의 공기의 질 문제는 상대적으로 가볍게 여겨져 온 것이 사실이다. 실내공기의 오염은 자연적인 희석률이 큰 실외 대기환경의 오염과 달리, 희석률이 매우 낮아 한번 오염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실내에 머무르고 있는 사람의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거주하는 사람의 이동특성, 생활 형태를 반영한 능동적 실내환경 제어체계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된 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공기측정기장치 알람봇과 운영 어플리케이션을 구현 하였다.

  • PDF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Sense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 유미경;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3-72
    • /
    • 2012
  • 현대 도시의 실내와 실외의 경계는 모호해짐과 동시에 서로 융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환경 설계가들에게는 실내와 실외공간에 대한 통합적 사고와 이에 따른 공간 설계의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설계의 기준이 되는 공간에 대한 감각(공간감)을 정량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63명의 실험자들이 서울대학교 캠퍼스 내 실내 15곳, 실외 14곳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어휘는 크기감(좁은-넓은), 개방감(폐쇄적인-개방적인), 온도감(따뜻한-차가운), 밝기감(밝은-어두운), 경연감(부드러운-딱딱한), 공간친밀도, 방문빈도였으며, 이를 통해 실내 외 공간감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실내 외 크기감의 차이는 약 2배로 나타났으며, 실내 외 친밀한 공간의 기준은 실내에서 W/H비가 약 5.71이면서 창문면적/입면적의 비율이 높은 공간으로, 실외에서 넓이 $3,800m^2$와 W/H비 5.57정도의 공간으로 정할 수 있었다. 실내 외 공간감의 차이는 심리적 감각에 의해 주도되는데, 실내에서는 규모가 커질수록 차갑고 어두우며, 딱딱하게 느낀 반면 실외에서는 따뜻하고 밝으며 부드럽게 인식하였다. 또한 실내의 심리적 감각은 공간의 규모와 지각에 크게 영향 받지 않았기 때문에 친밀한 공간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실외의 심리적 감각은 규모와 지각에 관계되었으므로 친밀한 공간의 크기와 비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은 서로 상대적인 차이를 가지며, 물리적인 기준 또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실내 혹은 실외공간 설계 시 환경설계가들에게 유용한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