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형상 측정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udy on deep Si etching mechanism using in-situ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 in $SF_6/O_2$ plasma

  • Im, Yeong-Dae;Lee, Seung-Hwan;Yu, Wo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05-405
    • /
    • 2010
  • Thermocouple 을 통해 Inductively coupled plasma 에 노출된 실리콘 기판 표면온도를 공정조건 변화 에 따라 실시간 (in-situ)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정변화에 따른 플라즈마 내 활성종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더 나아가 기판의 표면온도변화 및 활성종의 거동해석을 토대로 공정변화에 의한 딥 실리콘 구조형성 메커니즘을 해석하였다. 플라즈마에 노출된 기판표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주 활성종은 positive ion 이며 ICP power, Bias power, 플라즈마 압력 변화에 따라 positive ion 의 밀도 및 가속에너지가 변화하는데 이러한 거동변화는 기판의 표면온도를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딥 실리콘 구조의 측벽 및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passivaiton layer 즉 $SiO_xF_y$(silicon oxyflouride) 는 온도에 매우 민감한 물질이며 이는 딥 실리콘 구조 내부로 입사하는 positive ion 거동변화에 따라 그 성질이 변화하여 deep Si 구조 형상을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기판표면 온도가 $0^{\circ}C$ 이하의 극저온으로 유지된 상황에서 플라즈마를 방전할 경우 positive ions 의 가속에너지로 인해 기판표면온도가 상승하며 액화질소 유량증가를 통해 다시 기판의 표면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플라즈마 방전 전과 방전 후의 기판 표면온도는 상온의 기판뿐만 아니라 극저온의 기판에서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냉각환경 변화에 따른 딥 실리콘 구조형성 메커니즘을 positive ions 거동 그리고 온도 감소에 의한 $SiO_xF_y$ 성질 변화를 이용해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내장형 무선 카메라를 이용한 ICP 보조 스퍼터링 장치의 실시간 모니터링

  • Choe, Ji-Seong;Hong, Gwang-Gi;Yang, Won-Gyun;Jeon, Yeong-Saeng;Ju,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76-476
    • /
    • 2010
  • 유도 결합 플라즈마 (ICP)는 축전 결합 플라즈마 (CCP)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기존 스퍼터링 장치의 내부에 추가 설치가 용이하며, 스퍼터된 입자의 이온화, 반응성 가스의 활성화를 위한 2차 플라즈마원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면적의 고밀도 플라즈마의 균일도 측정은 고가의 2D probe array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CCD camera를 챔버 내부에 삽입하여 가시광 영역의 적분 강도를 이용해서 플라즈마의 2차원적 균일도를 정성적으로 비교 판단하고 시간에 따른 국부적인 이상 방전을 감시할 수 있도록 내장형 무선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직경 380 mm의 챔버 내에 2 turn ICP antenna를 이용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를 발생시켰다(Ar 30 sccm, 35 mTorr, 2 MHz, 400 W). 내장형 무선 카메라를 챔버 내부 중앙의 ICP antenna에서 8 cm 아래에 위치시켜 플라즈마를 진공 중에서 촬영하였다. 내장형 무선 카메라를 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촬영한 결과 외부에서 view port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ICP antenna 내부의 고밀도 플라즈마의 불균일도를 평가할 수 있었고, ICP antenna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이동할수록 밝아지는 것을 토대로 중심 영역의 plasma 밀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채도와 명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시각적인 플라즈마 균일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플라즈마 모델링 기능이 있는 전산 유체 역학 프로그램인 CFD ACE+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분포를 모델링 및 비교하였다. 또한 인라인 타입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시스템에서 기판 캐리어에 무선 카메라를 장착하여 이동하면서 캐리어와 마그네트론 방전 공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마그네트론 방전링의 형상 변화도 관찰하였다.

  • PDF

Study of Optical Fiber Sensor Systems for the Simultaneous Monitoring of Fracture and Strain in Composite Laminates (복합적층판의 변형파손 동시감지를 위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방형준;강현규;홍창선;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v.16 no.3
    • /
    • pp.58-67
    • /
    • 2003
  • To perform the realtime strain and fracture monitoring of the smart composite structures, two optical fiber sensor systems are proposed. The two types of the coherent sources were used for fracture signal detection - EDFA with FBG and EDFA with Fabry-Perot filter. These sources were coupled to EFPI sensors imbedded in composite specime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rix crack signals, at first, we performed tensile tests using surface attached PZT sensors by changing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specimens.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time-frequency analysis such as short time Fourier transform (STFT) and wavelet transform (WT)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fracture signal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e distinctive signal features in frequency domain due to the different specimen shapes. And, from the test of tensile load monitoring using optical fiber sensor systems, measured strain agreed with the value of electric strain gage and the fracture detection system could detect the moment of damage with high sensitivity to recognize the onset of micro-crack fracture signal.

Assessment of Yield Characteristics of Gas Pipeline Materials by Observing Surface-Local Deformation (미소 표면변형 관찰을 통한 가스배관 부재의 항복특성 평가)

  • Lee, Yun-Hee;Baek, Un-Bong;Cheong, In-Hyeon;Nahm, Seung-Hoon;Lee, Sang-Houc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2 no.2
    • /
    • pp.92-98
    • /
    • 2008
  • A combination of the instrumented indentation and 3D morphology measurement has been tried in order to perform a real-time property measurement of degraded materials in gas pipelines; three-dimensional indent morphologies were recorded using a reflective laser scanner after a series of insturmented indentations on three metallic specimens. Dimensions of the permanent deformation zone and contact boundary were analyzed from the cross-sectional profile over an remnant indent and used for estimating yield strength and hardness, respectively. Estimated yield strength was comparable with that from uniaxial tensile test and actual hardness implying material pile-up effects was lower than the calculated value from indentation curve by $20{\sim}30%$. It means that this 3D image analysis can explain the material pile-up effects on the contact properties. Additionally, a combined system of indentation and laser sensor was newly designed by modifying a shape of the indentation loading fixture.

  • PDF

Effects of Annealing on Properties of Tin Oxide films prepar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한 SnO_2$ film 특성에 대한 Annealing효과)

  • 박용주;박진성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208-208
    • /
    • 2003
  •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Ar과 $O_2$의 유량을 25sccm씩 흘리면서 $SiO_2$/Si기판 위에 Sn $O_2$ 박막을 증착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columnar 구조로 성장하였으며 많은 입자들이 뭉쳐서 형성된 양배추꽃(cauliflower) 형태의 뭉친 입자(agglomerates)를 가지는 표면형상이 관찰되었다. 분위기에 따른 어닐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0$0^{\circ}C$에서 공기와 질소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한 후 표면거칠기가 개선되었으며, 표면형상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50$0^{\circ}C$, 질소분위기에서 어닐링한 경우는 양배추꽃 형태의 표면형상이 소수의 작은 입자가 뭉친 형태로 분리되면서 입도분포가 개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닐링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표면형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XPS 측정 결과, 질소 분위기에서 어닐링한 후에 OIs와 Sn5/3d 피크가 낮은 결합에너지에 위치하고 있어 산소공공의 농도가 어닐링 전에 비하여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어닐링 전후에 Sn $O_2$ 박막의 면저항 측정 값은 XPS 결과와는 달리 질소 분위기 어닐링한 후에 오히려 면저항값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질소 분위기 어닐링한 후 표면형상의 변화에 기인하여 입자간의 연결성이 저하되어 면저항값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소분위기에서 어닐링한 후에 전체적으로 전기적 특성의 재현성이 개선되었으며 Sensitivity( $R_{air}$/ $R_{gas}$)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하였다.석을 통하여 La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HRTEM 분석을 통하여 미세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2463eV였다. 10K에서 광발광 봉우리의 919.8nm (1.3479eV)는 free exciton(Ex), 954.5nm (1.2989eV)는 donor-bound exciton 인 I2(DO,X)와 959.5nm (1.2921eV)는 acceptor-bound exciton 인 I1(AO,X) 이고, 964.6nm(1.2853eV)는 donor-acceptor pair(DAP) 발광, 1341.9nm (0.9239eV)는 self activated(SA)에 기인하는 광발광 봉우리로 고찰되었다.가 높을수록 방출전류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각 duty비에서 방출전류의 양이 1/2로 감소하는 시점을 에미터의 수명으로 볼 때 duty비 대 에미터 수명관계를 구해 높은 duty비에서 전계방출을 시킴으로써 실제의 구동조건인 낮은 duty비에서의 수명을 단시간에 예측할 수 있었다. 단속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리 폐 관류는 정맥주입 방법에 비해 고농도의 cisplatin 투여로 인한 다른 장기에서의 농도 증가 없이 폐 조직에 약 50배 정도의 고농도 cisplatin을 투여할 수 있었으며, 또한 분리 폐 관류 시 cisplatin에 의한 직접적 폐 독성은 발견되지 않았다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10.0%(4/40) : 8.2%(20/244), p>0.05]. 결론: 비디오흉강경술에서 재발을 낮추기 위해 수술시 폐야 전체를 관찰하여 존재하는 폐기포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폐기포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와 이차성 자연기흉에 대해서는 흉막유착술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통증이 적고, 입원기간이 짧고,

  • PDF

Compressive Stress Distribution of High Tension Bolted Joints (고장력 볼트 이음부의 내부 압축응력 분포)

  • Kim, Sung Hoon;Lee, Seung Yong;Choi, Jun Hyeok;Chang, Dong 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9 no.2 s.31
    • /
    • pp.171-179
    • /
    • 1997
  • The high-tension bolted joints are clamped by the axial force which approaches the yielding strength. The introduced axi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members pass through washer. The transferred load in connections is balanced to the compressive stress of plates, axial force in bolts and the external loads. In this mechanism, the compressive stress and slip load we dominated by the effective stiffness of bolted joints and plates. In general the effective stiffness is specified to product to the effective area and elasticity modulus in connections. In this reason, the conic projection formular which is assumed that the axial force in bolts is distributed to the cone shape and that region is related to the elastic deformation mechanism in connections, was proposed. But it conclude what kind of formula is justifi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atigue tests are performed to the high tension bolted joints and inspected to the phase on the friction face. And using the FEM and numerical method, it is analyzed and approximated to the compressive stress distribution and its region. Moreover, it is estimated to the effective area and to the relation the friction area to the effective compressive distribution region.

  • PDF

Study on the Interfacial Reactions between Gallium and Cu/Au Multi-layer Metallization (갈륨과 Cu/Au 금속층과의 계면반응 연구)

  • Bae, Junhyuk;Sohn, Yoonchul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9 no.2
    • /
    • pp.73-79
    • /
    • 2022
  • In this study, a reaction study between Ga, which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low-temperature bonding material, and Cu, a representative electrode mate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formation necessary for low-temperature soldering applications. Interfacial reaction and intermetallic compound (IMC) growth were observed and analyzed by reacting Ga and Cu/Au substrate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80-200℃. The main IMC growing at the reaction interface was CuGa2 phase, and AuGa2 IMC with small particle sizes wa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Cu9Ga4 IMC with a thin band shape on the lower part of the CuGa2 layer. CuGa2 particles showed a scallop shape, and the particle size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shape change as the reaction time increased, similar to the case of Cu6Sn5 grow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Ga2 growth mechanism, the time exponent was calculated to be ~3.0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20-200℃, and the activation energy was measured to be 17.7 kJ/mol.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Ultrasound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한우의 초음파 측정 형질과 도체 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 Kim, Hyeong-Cheol;Lee, Seung-Hwan;Dang, Chang-Gwon;Jeon, Gi-Jun;Yeon, Seong-Heum;Cho, Young-Moo;Lee, Sang-Min;Yang, Boh-Suk;Kim, Jong-Bo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4 no.5
    • /
    • pp.331-33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ultrasound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Heritabilitie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were estimated for carcass and ultrasound measurements collected from Hanwoo cows (n=312) born at Hanwoo experiment station. Traits evaluated were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marbling score (MS) from carcass, and ultrasound eye muscle area (UEMA), ultrasound backfat (UBF), and ultrasound marbling score (UMS).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multi-trait animal models byderivative-fre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procedures. Estimated heritabilities for UBF, UEMA and UMS were 0.43, 0.23 and 0.32, while heritabilities for BF, EMA and MS were 0.33, 0.13 and 0.33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estimated to -0.19, -0.61, and -0.36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03, 0.13 and 0.26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fattened cows, respectively. As for the steer,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36, -0.80 and 0.27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steers,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ultrasound and carcass measurements were 0.13, 0.07 and 0.41 for UBF: UEMA, UBF: UMS, and UEMA: UMS in steer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finding would be very useful to implement into Hanwoo breeding program.

A Study for In-process Monitoring in Press die (프레스금형 형내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

  • Yun, Jae-Wo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6
    • /
    • pp.692-696
    • /
    • 2017
  • The shape of press component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due to customer demands, process shortening and cost savings.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pressing process frequently varies during mass produ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many factors. In order to ensure the process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ss in which reproducibility is realized in tolerance, which is sufficient for advance study of shape, material, press, mold and lubrication. However, unforeseen changes in process parameters cause disruptions in production line shutdowns and production planning.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to monitor a real time process by applying a sensor to a press mold. A non-contact typ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of a sheet material and an example of an experiment using the optical sensor which is highly applicable to mass production are presented. An optical sensor was installed in a cylindrical drawing mold to test its potential application while changing the material, blank holder force, and drawing ratio. We also quantitatively determined that the flow of other sheet materials was quantified locally using a square drawing die and that the measured value was always smaller than the drawing depth due to the material elongation. Finally, we propose a field that can be used by attaching the sensor to the press mold. We hope that the consequent cost reduction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global mold competitiveness.

A Study on Heat Treatment Characteristic of HPDL to Surface Hardening for Press Die(I) - Characteristics of Laser Heat Treatment on FCD550 for Drawing Process - (프레스 금형의 표면경화를 위한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의 열처리 특성에 관한 연구(I) - 드로잉공정 적용을 위한 FCD550 소재의 레이저 열처리 특성 -)

  • Kim, Jong-Do;Song, Moo-Keun;Lee, Chang-Je;Hwang, Hyun-Tae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95-95
    • /
    • 2010
  • 자동차 산업에서 차체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산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생산대수와 함께 성장해가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이 심해지고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신제품 개발주기에 발맞추어 금형의 제작에도 단납기 및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과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신기술, 신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차체를 제작하는 프레스 금형가공은 박판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공정으로써, 프레스의 상 하 운동을 이용하여 강판을 성형한다. 이러한 금형의 형태는 곧 자동차 차체 제품의 형태를 완성하므로 제품을 성형하는 도중에 금형과 소재의 마찰에 의해 금형의 마모나 마멸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금형의 내마모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 중 표면경화처리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중 공정 속도가 빠르고 국부적인 열처리가 가능한 레이저 표면처리 방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금형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프레스 금형공정 중 드로잉(drawing) 공정에의 적용을 위한 표면경화처리를 실시하였다. 최대출력 4.0kW의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6축 외팔보 로봇에 열처리용 광학계를 장착하여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광학계 부근에는 적외선 온도센서가 부착되어있어 열처리시 시험편의 표면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있다. 시험편은 금형재료용 구상흑연 주철인 FCD550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공정변수에 따른 열처리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경화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FCD550 소재의 표면 열처리시 레이저 출력 3.5kW, 빔 이송속도 3mm/sec에서 최적의 열처리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최고 경도는 930Hv을 나타내며 모재에 비해 경도가 3배 정도 상승하는 우수한 경화특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