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인증시스템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5 seconds

System for Real Time Intrusion Detection and Blocking (실시간 침입탐지 및 차단을 위한 시스템)

  • 김익수;김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44-846
    • /
    • 2002
  • 기존에 보안을 위해 개발되어온 취약점 검색도구는 최근 들어 불법침입을 위한 도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제는 웹사이트에서도 쉽게 취약점 검색도구와 악의적인 프로그램들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현재 침입차단 기능을 가지는 방화벽과 침입탐지 기능을 가지는 침입탐지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방화벽은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여 인증된 트래픽만을 허용함으로써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나 사전에 미리 IP 주소나 포트 등을 등록하여 해당 IP 주소와 포트로부터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막는 정적인 방법이었다. 또한 침입탐지시스템은 침입탐지에 대한 룰을 내장하여 칩입행동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그에 대한 대응이 실시간 차단이 아니라 공격자와 관리자에게 경고메일을 보내는 수준이므로 침입탐지 이후에 생기는 불법행동에 대한 커다란 위험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그에 대한 해절 방안으로 방화벽의 침입차단 기능과 침입탐지시스템의 실시간 침입탐지 기능을 갖춘 실시간 침입탐지 및 차단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Image Synthesis (이미지 합성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 박봉주;김수희;차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46-648
    • /
    • 2003
  • 본 연구는 이미지 합성을 이용하여 서버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들을 구현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서버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카드를 랜덤하게 점을 찍어 생성하고, 각 사용자에게 배포된 사용자카드의 정보를 유지.관리한다. 한 사용자로부터 인증요청이 들어오면, 서버는 그 사용자의 사용자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카드를 실시간에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서버카드는 인증마다 다르게 생성되므로 원타임 패스워드 챌린지(challenge)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카드와 서버로부터 송신된 서버카드를 겹쳤을 때 생성되는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보안성을 높이면서 이미지 판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제시하고 구현을 통하여 실용성을 진단한다.

  • PDF

RFID Security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RBAC (RBAC을 이용한 RFID보안 인증 프로토콜)

  • Bae, Woo-Sik;Lee,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5-217
    • /
    • 2008
  • RFID 시스템은 향후 바코드를 대체하고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될 획기적인 시스템 이지만 태그의 정보가 외부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보안 문제중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RBAC 기반으로 리더의 권한을 배분하여 태그가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전송하고 태그가 리더로부터 수신한 난수로부터 매 세션마다 비밀키 및 실시간으로 새로운 해쉬 함수를 생성하는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RBAC를 이용한 해쉬 기반 인증 프로토콜은 각종 공격에 대해 안전하며 연산을 최소화하여 다양한 적용성을 제공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Real-time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Based on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현)

  • 이문구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3 no.3
    • /
    • pp.71-79
    • /
    • 2003
  • Existing web-based system management software solutions show some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Moreover, hey possess such as shortcomings unreliable error message announcements and difficulties with real-time assistance supports and emergency measures. In order to solve these deficiencies,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W-RC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W-RCS is able to manage and monitor remote systems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or instantaneous control. The implementation of W-RCS leads to these security problems as well as solutions to aforementioned issues with existing web-based system management software solutions. Therefore,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security matters related to W-RCS. The security functions based on public key infrastructure include mobile device user authentication and target system access control. The W-RCS allows real-time user authentication, increases the flexibility of resource administrators and mobile device non, and provides not only uninterrupted services, but also safe mobile office environments.

Distributed Filtering System for On-line User Identification (온라인 사용자 인증을 위한 분산필터링 시스템)

  • 허진경;이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54-57
    • /
    • 2002
  •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발전과 이로 인한 많은 서버들의 유휴 비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 인중을 위한 실시간 영상처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에 비례하여 서버의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게 된다. 데이터 전송 속도에 있어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긴 하였지만 프로세싱의 중앙집중화는 서버의 많은 부담을 줄뿐만 아니라, 서버로의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의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RMI 기술을 기반으로 분산처리 기술을 온라인 인증 시스템에 적용한 분산 필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U-Health Service Authentication System Based-on NFC (NFC 기반 U-Health 서비스 인증시스템 설계)

  • Yun, Ji-Sang;Park, Seok-Cheon;Park, J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920-922
    • /
    • 2012
  • 현재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IT 기술들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 하여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더욱 더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준다. 그 중 대표적인 기술이 U-Health(Ubiquitous-Health) 기술 이며 U-Health 기술은 건강증진과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U-Health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여 환자의 상태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와 병원 서버 간에 데이터 단일화, 통신문제 등으로 인해서 아직까지는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는 현실이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인한 환자의 개인신상 정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에서 환자와 병원간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증 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Implementation of Mobile IPv6 Fast Authorization for Real-time Prepaid Service (실시간 선불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IPv6 권한검증 구현)

  • Kim Hyun-G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7 no.1
    • /
    • pp.121-130
    • /
    • 2006
  •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an application must be capable of rating service information in real-time and prior to initiation of the servic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end user's account provides coverage for the requested service. However, to provide prepaid services effectively, credit-control should have minimal latency. In an endeavor to support real-time credit-control for Mobile IPv6 (MIPv6), we design an implementation architecture model of credit-control authorization. The proposed integrated model combines a typical credit-control authorization procedure into the MIPv6 authentication procedure. We implement it on a single server for minimal latency. Thus, the server can perform credit-control authorization and MIPv6 authentication simultaneously. Implementation details are described as software blocks and units.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odel. latency of credit-control authorization is measured according to various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authentication mechanisms. The performanc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has considerably low latency compared with the existing separated models, in which credit-control authorization is separated from the MIPv6 authentication.

  • PDF

Security Technology for DDS (DDS 보안기술)

  • Chung, B.H.;Kim, J.N.;Cho,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5
    • /
    • pp.112-122
    • /
    • 2011
  • CPS(Cyber-Physical Systems)는 고수준의 신뢰성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 시스템을 실시간 제어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이며 무인 주차, 항공, 스마트 그리드와 같이 다양한 의료, 군사, 교통, 로봇제어 분야에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시스템들 간의 실시간적이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행/구독 모델에 기반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 미들웨어 표준인 DDS(Data Distribution Service)를 사용한다. 그러나, DDS는 임베디드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들이 동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자유로운 참여, 탈퇴가 가능한 상황에서 실시간 데이터 통신에는 적합하지만 전송되는 데이터 도청, 재전송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공격에는 취약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DDS 보안상의 취약점과 보안강화를 위한 접근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이후에 DDS 통신채널 보호를 위한 상용제품의 접근법과 안전 통신채널 제공을 위한 멀티캐스트 인증, 암호화에 관련된 접근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 PDF

Image-based Unauthorised person detection system using BLE beacons (BLE 비콘을 활용한 영상 기반 비승인자 감지 시스템)

  • Kim, Hyungju;Park, Chan;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470-473
    • /
    • 2021
  • 외부인들이 시설을 무단으로 이용하는 등의 범죄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시설물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순 인증 절차가 아닌 BLE 비콘과 영상데이터를 활용한 비승인자 감지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BLE 비콘의 데이터를 받은 후 UUID 값과 RSSI 값을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전송된 데이터들로 핑거프린팅 기반 RadioMap을 구성하고 RNN 기반 딥러닝 학습을 진행하여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도출한다.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되며, YOLOv4를 이용하여 객체탐지를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Person 클래스를 추출한다. 이후 승인된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에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더하여 인증 과정 절차가 진행되지 않은 비승인자들을 추적한다. 본 논문은 COVID-19로 인해 시설물 인증 절차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QR코드를 이용해 인증 과정 절차의 진행 방식으로 시스템에 대한 확장성까지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보안을 위한 온라인 서명검증시스템

  • 김진환
    • Review of KIISC
    • /
    • v.12 no.2
    • /
    • pp.34-40
    • /
    • 2002
  • 컴퓨터와 유\ulcorner무선 인터넷이 확산되어 더욱 보안의 중요성이 요구되면서 살아있는 개별 인간의 신체 일부를 이용한 생체인증 보안기술이 핫 이슈로 회자되고있다. 지문인증, 얼굴인증, 홍채인증, 정맥인증, DNA 인증, 뇌파인증, 손금/손모양인증, 음성인증, 서명인증 등 많은 생체인식기술들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연구되었고, 과거 한때 상품화도 되었으나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사라졌지만, 최근 들어서는 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영역에서 상용화가 된 상태이다. 본 서명인증 보안기술은 전자펜(혹은 마우스)으로 입력된 개인의 동적인 서명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쓰는 모양, 쓰는 속도, 필체의 각도, 획수, 획순서, 펜DOWN/UP 정보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비교\ulcorner분석하여 진서명인지 모조서명인지를 실시간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경제성, 보안성, 활용성, 안정성, 편의성 등의 여러 가지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널리 확산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직접 연구 개발하여 2000년 8월에 교수실험실창업으로 사업화한 서명기술의 개요와 응용/구축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