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보정

Search Result 750,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Development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and Real-Time Updating Algorithm (II) - Application - (다방향 흐름 분배와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II) - 적용 -)

  • Kim, Keuk-Soo;Han, Kun-Yeun;Kim, Gwang-Seob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3
    • /
    • pp.259-270
    • /
    • 2009
  •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using a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algorithm and a real-time updating algorithm was evaluated. The rainfall runoff processes were simulated for the events of the Andong dam basin and the Namgang dam basin using raingauge network data and weather radar rainfall data, respectively. Model parameters of the basins were estimated using previous storm event then those parameters were applied to a current storm event. The physical propriety of the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algorithm for flow routing was validated by presenting the result of flow grouping for the Andong dam basi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eveloped model has efficiency of simulation time with maintaining accuracy by applying the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algorithm and it can obtain more accurate results by applying the real-time updating algorithm.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a distributed rainfall runoff model for the advanced basin-wide flood management.

Development of real-time program correcting error in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실시간 레이더 편파변수 오차 보정 프로그램 개발)

  • Yoon, Jungsoo;Hwang, Seok-Hwan;Kang, Narae;Lee, Dong-Ryul;Lee, Keo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2
    • /
    • pp.1329-1338
    • /
    • 2021
  • Rain radar provides high spatio-temporal radar rainfall that can be used as input data to short-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model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has developed a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that is providing flash flood forecasting based on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estimated by the radar rainfall. Accuracy of the radar rainfall as well as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however, can deteriorate when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have error. In this study, we develope real-time program that can correct the error inherent in the radar polarimetric variables. First, effect according to the correction of the error was verified using 363 rainfall events on non real-time. The accuracy (1-NE) of the radar rainfall was approximately 70%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0.8 after correcting the error on non real-time. The accuracy (1-NE) using the real-time program was also approximately 70% after correcting the error.

Real-time Geometric Correction System for Digital Image Projection onto Deformable Surface (변형 가능한 곡면에서의 디지털 영상 투영을 위한 실시간 기하 보정 시스템)

  • Lee, Young-Bo;Han, Sang-Hun;Kim, Jung-Hoon;Lee, Dong-Hoon;Yun, Tae-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39-44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geometric correction system based on a projector to project digital images onto deformable surface. Markers use to trace lots of corresponding points would spoil the projected image when the projector projects a digital image onto the surface because they leave marks on the surfac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build a real-time geometric correction system since bottlenecks occur through the process of the geometric correction for projecting images. In this paper, we use invisible infrared markers and a vertex shader of GPU using Cg TookKit of NVIDIA in order to eliminate disadvantage and bottlenecks in the process of markers recogni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ject natural correction images in real-time. As a result, this system overlays an interactive virtual texture onto the real paper by using the geometric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velop variation of AR(Augmented Reality) based on digital contents systems.

  • PDF

Calibration of Real Time Rainfall Data Using Mutual Informat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상호정보량 기법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강우 자료 보정)

  • Sung, Kyung-Min;Goo, Yeo-Joo;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69-1273
    • /
    • 2010
  • 이러한 강우자료의 결측값이나 오자료를 보정하는 것은 그 유역의 정확한 수문학적 특성 파악 및 안전한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강우자료를 비선형적 모델인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오재우 등, 2008). 그러나 이러한 인공신경망을 적용하는 경우, 선택한 신경망 구조의 형태와 학습(training)을 위해 사용되는 자료가 전체 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정도에 따라 정확도에 차이를 보인다(한광희 등, 2010). 따라서 자료보정을 위한 입력 자료의 선택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결측치 보정의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력 자료의 선택을 위한 여러 가지 기법 중 입력 변수간의 상호정보량 (Mutual Information)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 결측 지점을 보정할 강우지점을 선별한 후 선택된 지점만으로 인공신경망을 구성하여 강우자료를 보정하고 주변 자료를 모두 이용한 결과와 상관성분석으로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libration Algorithm using Thread in a AVM System based on Car PC (Car PC 기반 주변 감시 시스템에서 스레드를 이용한 왜곡 보정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

  • Yoon, Hee-Don;Yu, Young-Ho;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9-162
    • /
    • 2011
  • 최근 네비게이션, GPS 등과 같은 운전 보조를 위한 장치 및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운전자의 인포테인먼트 요구를 위한 장치 등 다양한 차량용 ECU들이 등장하고 있다. 차량용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ECU들을 연결하여 상호 협력을 통해 ECU 고유 기능뿐만 아니라 추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차량용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ECU들이 연결되어 상호 동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ECU 및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는 고성능의 Car PC 의 장착이 필수적이다. 기존 AVM 시스템은 차량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임베디드 시스템 또는 SOC의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Car PC가 차량에 장착되면 AVM 시스템을 추가의 비용이 없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차량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카메라 보정 같은 영상 처리 모듈의 성능이 실시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전 후방 및 좌 우측에 장착된 4대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차량 주변 상황을 한눈에 보여주는 AVM 시스템을 위해 카메라 보정 및 통합 처리를 위한 모듈을 스레드(thread)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제안하는 영상 처리 모듈의 성능과 스레드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영상 처리 모듈의 성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제안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추가의 비용이 없는 소프트웨어 AVM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검증한다.

  • PDF

Real-time Experiments of WA-DGNSS Transmission System using Pseudolite (의사위성을 이용한 광역보정정보 전송시스템에 대한 실시간 시험)

  • Kwon, Keum-Cheol;Shim, Duk-S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6
    • /
    • pp.151-158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real-time experiments of WA-DGNSS transmission system using a pseudolite and shows the performance of WA-DGNSS. We implement a server/client program to receive the WA-DGNSS data from the master station, and fabricate a pseudolite to transmit the WA-DGNSS data to users. The performance of the WA-DGNSS transmission system is tested by software and hardware GPS receivers, respectively.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WA-DGNSS data is well transmitted to GPS receivers without errors and thus WA-DGNSS works well.

Modal Control of Adaptive Optical System for Wavefront Correction (파면보정을 위한 적응광학계의 Modal 제어)

  • 서영석;백성훈;박승규;김철중;양준묵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32-33
    • /
    • 2002
  • 적응광학계(adaptive optics system ; AO)는 파면을 파면측정장치로 측정하고 제어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파면보정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파면의 왜곡 및 수차를 보정하는 장치로, 최근 천문학 및 의료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적응광학계의 제어는 파면을 영역별로 나누어 제어하는 zonal 방법과 모드로부터 제어하는 modal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면 측정 장치(wavefront sensor ; WFS)인 Shack-Hartmann sensor로 측정된 파면의 기울기 정보로부터 Zernike 다항식의 계수를 계산하여 수차의 정보를 구현하고, 왜곡된 파면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Zernike 계수로부터 위상을 재구성한 후 보정장치인 변형거울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파면을 보정하였다. (중략)

  • PDF

Stability Assessment of FKP System by NGII using Long-term Analysis of NTRIP Correction Signal (NTRIP 보정신호 분석을 통한 국토지리정보원 FKP NRTK 시스템 안정성 평가)

  • Kim, Min-Ho;Bae, Tae-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4
    • /
    • pp.321-329
    • /
    • 2013
  • Despite the advantage of unlimited access,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for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FKP that blocks the spread of the system for various applications. Therefore, we performed a long-term analysis from continuous real-time positioning, and investigated the error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siz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FKP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the positioning accuracy at different times of day, where the accuracy during daytime is worse than that of nighttime. In addition, the size and deviation of FKP correction may change with the ionospheric conditions, and high correlation between ambiguity resolution rate and the deviation of correction was observed. The receivers continuously request the correction information in order to cope with sudden variability of ionosphere.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was not received up to an hour in case of stable ionospheric con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outliers of FKP are clustered in their position with some biases. Since several meters of errors can be occurred for kinematic positioning with FK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ppropriate preparation for real-time applications.

NDGPS 의 정적(靜的)및 동적(動的) 측위 정확도 분석 연구

  • Song, Geul-Jae;An, Hyo-Seung;Gong, Hyeo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90-93
    • /
    • 2007
  • 해양수산부에서 해양 DGPS기준국과 연계하여 전국망 위성항법보정시스템 (NDGPS) 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2008년도 춘천기준국이 설치 완료되면 우리나라 전역에서 실시간 DGPS 측위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DGPS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DGPS 측위 정확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바, 실시간 DGPS 의 측위 정확도를 측정 ${\cdot}$ 분석하여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실시간 NDGPS 측위 정확도는 Static 측정에 있어 0.42m(RMS), 회전운동에 의한 Dynamic 측정시 0.48m(RMS)로 분석되었으며, RTK에 의한 비교 측정 ${\cdot}$ 분석도 병행하였다. 따라서 위성항법보정시스템 (DGPS)은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GIS구축사업 분야에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없으나 실시간 측위 정보를 필요로 하는 GIS활용 분야에서 DGPS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mbodiment of Low-cost Real Time Lip-Sync Animation System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저가의 실시간 립싱크 애니메이션 시스템의 구현)

  • 강이철;김철기;김미숙;차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19-621
    • /
    • 2000
  •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한 실시간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등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사업이 활성화되어지고 이에 부가적으로 애니메이션이 감각적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나 고가의 모션캡쳐 시스템을 통한 캡쳐된 좌표를 적절한 보정을 한 후에 캐릭터를 움직이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션캡쳐 시스템을 통한다면 시스템 및 장비 자체가 고가이고 또한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하여는 좌표값 보정 등이 필요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좌표 추출 및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저가의 가정용 멀티미디어 오버레이 캡쳐보드와 CCD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상좌표와 실험용 GDI object를 링크시켜 실시간으로 사람의 입술의 움직임 모양대로 애니메이션이 립싱크되어서 움직여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외화의 우리말 더빙시 영상처리를 통한 정교한 화면 더빙 및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사이버 미팅가지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