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검출

Search Result 1,61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Real Time Detection of Tool Breakage in Milling Operation Using a DSP (DSP를 이용한 밀링공구의 실시간 파단검출에 관한 연구)

  • 백대균;고태조;김희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20-25
    • /
    • 1994
  • 절삭공정의 자동화의 무인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험을 가진 작업자의 역활이 컴퓨터에 의한 자동적인 감시 및 제어시스템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특히 공작기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체의 고장이나 절삭과정중에 발생하는 이상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원인을 자동적으로 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절삭가공 공작기계의 이상상태 감시 및 진단의 현황을 살펴보면 주로 공구상태의 감시와 채터 감시가 연구의 대상 이 되고 있다. 공구상태의 감시는 공구의 마모와 파단을 검출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공구의 파단은 발생 즉시 실시간으로 감시되어야 한다. 밀링작업에서는 1회전 이내의 공구회전에 파단을 검출하고 기계를 정지시켜야 한다. 최근의 절삭가공에서는 절삭공구로 강력절삭을 위해 고경도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공구의 파단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정면밀링과 같은 단속절상에서는 절삭날이 큰 충격을 받으므로 더욱 파단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 PDF

A Real-time Copper Foil Inspection System using Multi-thread (다중 스레드를 이용한 실시간 동판 검사 시스템)

  • Lee Chae-Kwang;Choi Dong-Hyu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0 no.6
    • /
    • pp.499-506
    • /
    • 2004
  • The copper foil surface inspection system is necessary for the factory automation and product quality. The developed system is composed of the high speed line scan camera, the image capture board and the processing computer. For the system resource utilization and real-time processing, multi-threaded architecture is introduced. There are one image capture thread, 2 or more defect detection threads, and one defect communication thread. To process the high-speed input image data, the I/O overlap is used through the double buffering. The defect is first detected by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o cope with the light irregularity, the compensation process is applied. After defect detection, defect type is classified with the defect width, eigenvalue ratio of the defect covariance matrix and gray level of defect. In experiment, for high-speed input image data, real-time processing is possible with multi -threaded architecture, and the 89.4% of the total 141 defects correctly classified.

Rapid Detection of Important Events in Baseball Video Using multi-Modal Analysis (멀티 모달 분석을 통한 야구 동영상에서의 실시간 중요 이벤트 검출 알고리즘)

  • Lee, Jin-Ho;Kim, Hyoung-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33-13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야구 동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중요 이벤트 장면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Pitching 신과 Close Up 신을 추출하여 Play 구간을 검출하고, 오디오 정보를 분석하여 오디오 이벤트 구간을 검출한다. Play 구간의시작인 Pitching 신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모델과 온라인 모델을 혼용하여 다양한 환경에 상관없이 높은 성능을 보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나운서의 억양 및 관중의 함성의 고조도가 높아지는 구간을 기반으로 검출된 오디오 이벤트 구간을 영상 정보 분석을 통해 획득된 Play 장면구간을 결합하여 중요 이벤트 장면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에 의하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1초의 동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0.024초의 소요 시간이 필요하고, 0.89의 Recall과 0.975의 Precision 검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Surface Fault Detection Algorithm for Real Time Processing (실시간 적용을 위한 선재 흠 탐상 알고리즘의 개발)

  • Park, Young-Su;Yun, Jong-Pil;Seo, Bo-Yeul;Kim, Sang-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2049-2050
    • /
    • 2006
  • 최근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생산력 제고를 위해 제조업 분야에서의 결함 검출 시스템의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많은 회사들이 자동 흠 검출 시스템을 도입하여 판재나 모직 등의 흠 검출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철강 제조업에서 선재의 흠 검출은 이전에 많이 시도된바 있는 판재 등의 흠 검출보다 극복해야할 과제가 많다. 우선 선재의 특성상 조명이 일정하더라도 각 부분의 밝기가 다르고, 선재가 이동하거나 선재의 굵기가 달라지면 카메라에서 관측되는 부위의 밝기가 달라진다. 따라서 선재의 흠 검출 시스템에서는 이들의 영향을 극복하고 제품의 결함을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또한 선재의 이동속도는 최고 18m/s에 이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흠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알고리즘이 간단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선재의 흠을 자동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Moving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Edge Information and Histogram Analysis (에지 정보와 히스토그램 분석에 의한 움직이는 물체 검출 및 추적)

  • Goo, Sang-Hoon;Lee, Byung-Sun;Rhee, Eu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79-58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에서 에지 정보와 히스토그램 분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고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체 검출에서는 먼저, 입력영상에 대하여 형태에 관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료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에지(Edge)를 추출한다. 추출된 에지 영상에 차연산과 이진화를 수행하여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 영역은 이진 변환밀도에 대한 수평 누적값의 합을 수평 수직 최대 누적값을 더한 값으로 나눈 임계값으로 구한다. 물체 추적에서는 현재 프레임에서 검출된 물체와 이전 프레임에서 검출된 물체와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추적한다. 실험결과 물체 검출속도를 개선시켰고, 실시간으로 물체를 추적할 수 있었으며, 국부적인 움직임까지도 추적할 수 있었다.

  • PDF

Real-time position tracking of pendulum movement using the centroid detection method (센트로이드(Centroid) 검출 기법을 통한 진자 운동 물체의 실시간 위치 추종)

  • Youn, Su-Jin;Lee, Jea-Ho;Park, Tae-Dong;Park, Ki-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27-428
    • /
    • 2007
  •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는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를 배경과 분리하여 추출하는 데에 유용하며 객체 위치 검출에는 테두리 검출(edge detection), 센트로이드 검출 (centroid detection) 등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연속해서 움직이는 객체의 위치를 테두리 검출 기법을 이용하여 추종 시, 조명과 환경 잡음에 민감한 영상 데이터의 특성상 객체의 테두리 부분은 매 프레임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 위치를 검출하는 데에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센트로이드 기법으로 구할 경우 많은 픽셀의 무게중심을 구하는 것이므로 그 오차를 줄여 빠르고 정확한 위치 검출에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LabVIEW를 이용하여 진자운동 하는 물체의 센트로이드 점을 구하여 실시간 위치 검출을 구현한다.

  • PDF

A Method Sustaining Frame Process Rate on Object Detection of Bayesian Modeling (베이시안 모델링 물체 검출에 관한 초당 프레임 처리량 유지 기법)

  • Su-Kwang Shin;Hee-Yong 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49-152
    • /
    • 2008
  • 사생활 보호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인터넷 시대에 접어들면서 네트워크 기반의 보안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하다. 실시간 비디오 카메라를 통한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대처해야 한다. 이러한 많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려면 많은 계산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카메라의 영상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움직이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해서 더 많은 계산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상적인 움직임 검출방법 과 적응적 배경방식인 '물체 검출을 위한 동적인 장면의 베이시안 모델링 기반 물체 검출 방법'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동적 비디오 영상에서 이동 물체를 검출하는 과정에서의 영상의 크기가 커지고, 이동하는 물체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계산의 복잡도를 'CPU 성능과 영상 resize 를 이용한 계산 복잡도 감소 방법'을 통해 초당 프레임 처리속도를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A Hybrid Approach of Efficient Facial Feature Detection and Tracking for Real-time Face Direction Estimation (실시간 얼굴 방향성 추정을 위한 효율적인 얼굴 특성 검출과 추적의 결합방법)

  • Kim, Woonggi;Chun, Junchu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4 no.6
    • /
    • pp.117-124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 which efficiently estimates a face direction from a sequences of input video images in real time fashion. For this work,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detecting the facial region and major facial features such as both eyes, nose and mouth by using the Haar-like feature, which is relatively not sensitive against light variation, from the detected facial area. Then, it becomes able to track the feature points from every frame using optical flow in real time fashion,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face based on the feature points tracked. 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erroneously recognizing the false positions of the facial features when if the coordinates of the features are lost during the tracking by using optical flow, the proposed method determines the validity of locations of the facial features using the template matching of detected facial features in real time. Depending on the correlation rate of re-considering the detection of the features by the template matching, the face direction estim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detecting the facial features again or tracking features while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face. The template matching initially sa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4 facial features such as the left and right eye, the end of nose and mouse in facial feature detection phase and reevaluated these information when the similarity measure between the stored information and the traced facial information by optical flow is exceed a certain level of threshold by detecting the new facial features from the input image. The proposed approach automatically combines the phase of detecting facial features and the phase of tracking features reciprocally and enables to estimate face pose stably in a real-time fashion. From the experiment, we can prove that the proposed method efficiently estimates face direction.

Real-time Vanishing Point Detection Usin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를 이용한 실시간 소실점 검출)

  • Choi, Ji-Won;Kim, Chang-Ic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2
    • /
    • pp.96-101
    • /
    • 2011
  • Vanishing point can be defined as a point generated by converged perspective lines, which are parallel in the real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vanishing point detection algorithm using this fundamental feature of vanishing point. The existing methods 1) require high computational cost or 2) are restricted to specific image contents. The proposed method detects the vanishing point in images based on the block-wise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descriptor. First, we compute the HOG descriptor in a block-wise manner, then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vanishing point using the proposed dynamic programing.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diverse images to confirm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Real-Time Discriminative Weight Training (실시간 변별적 가중치 학습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 Chang, Sang-Ick;Jo, Q-Haing;Chang, Joon-Hy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5 no.4
    • /
    • pp.100-106
    • /
    • 2008
  • In this paper we apply a discriminative weight training employing power spectral flatness measure (PSFM) to a statistical model-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in various noise environments. In our approach, the VAD decision rule is expressed as the geometric mean of optimally weighted likelihood ratio test (LRT) based on a minimum classification error (MCE)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works in th at different weights are assigned to each frequency bin and noise environments depending on PSFM.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approach i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statistical model-based VAD using the L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