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 가이드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guide for wrapping vegetables for smart precision agriculture based on IoT (IoT 기반 스마트 정밀농업을 위한 쌈 채소 포장용 가이드 개발)

  • Kwon, Kyu Sik;Park, N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4-144
    • /
    • 2017
  • 쌈 채소 생산 및 유통의 효율성, 생산성 개선으로 경쟁력 향상을 위해 IoT 기반 스마트 저울과 쌈 채소전용 포장용 가이드를 개발 융합하여 안전하고 빠른 포장, 이동성 개선, 포장과 무게측정 동시 진행 및 출하량 자동측정으로 작업공정개선을 통해 최종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1) 쌈 채소 포장용 가이드를 포함한 실시간 포장 무게 측정 장치 개발 ${\circ}$ 포장 박스와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쌈 채소 포장용 가이드 개발 ${\circ}$ 실시간 포장 무게를 측정하여 출하 무게에 도달하였을 때 생산담당자에게 부저를 통해 신호전달 2) 생산패턴 분석을 통한 생산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 ${\circ}$ 생산 패턴을 파악하여 실시간 생산량을 BLE 통신을 통해 관리자 스마트 폰으로 통지 ${\circ}$ 포장용 지그, 스마트 스케일, 이동체 1식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하우스 이동 3) 센서 디바이스 개발 ${\circ}$ 각종 센서(온도, 습도, 조도 등)의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주위환경 데이터 수집 ${\circ}$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및 노동복지 환경조성(작업환경 개선)

  • PDF

Development of Displacement Sensing System for Precise Control of Linear Motion Guide in Smart Factory (스마트팩토리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의 정밀제어를 위한 변위 센싱 시스템 개발)

  • Lee, Suk-Yun;Yoo, Gi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59-66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의 제조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방안의 스마트 팩토리를 실헌하기 위한 주요 부품 중에 하나인 리니어 모션 가이드(LM 가이드)에 필요한 센싱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공장 자동화와 정밀 측의 핵심 부품인 LM 가이드를 고정밀, 고정도로 제어할 수 있는 변위 센싱 시스템의 개발이다. 기존의 광학식이나 자기식 변위 센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와전류(Eddy Current) 기법을 이용하여 LC 공진기와 전도체를 LM 가이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와전류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미세 인덕턴스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과 컴퓨터/산술 기술을 FPGA를 이용한 HW 시스템을 제작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HW 센싱 시스템을 이용함으로 LM 가이드를 실시간으로 직선 이동시킴으로 실시간으로 변위 값을 디스플레이 부로 출력되어 측정이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은 LM 가이드의 직선 운동시 변위 값의 분해능과 응답속도 면에서 우수함이 확인됨으로 스마트 팩토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PDF

'Good Guide' for a Special Experience and an Enjoyable Trip (색다른 경험, 즐거운 여행 '굿 가이드')

  • Jung, Da-Eun;Kim, Bo-Hyun;Yoo, Hee-Joo;Jung, Yu-Jin;Cho, Jeong-Min;Kim, Ji Sim;Kim, Kyong 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85-286
    • /
    • 2019
  • 최근 자유 여행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그에 맞춰 여행 애플리케이션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지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전형적인 관광지만을 추천하여 독특한 여행 경험을 원하는 여행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현지인 가이드가 자신만의 경험이 담긴 투어 상품을 구상하고 직접 안내까지 함으로써 여행자에게 특별한 현지 경험을 선사해 주는 것을 목표로 한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가이드와 여행자 입장에서 각각의 편리성 제공을 위해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였으며, 웹서버 연동을 통해 상호간의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여행지 어디에서나 투어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여행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 PD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ackage Tour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Geofence Technology (가상 울타리 기술을 이용한 패키지 투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및 성능 평가)

  • Wahyutama, Aria Bisma;Hwang, Min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
    • /
    • pp.85-93
    • /
    • 2022
  • This paper contain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s of a package tour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a Geofence technology as well as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is application ables the tour guide to monitor the tourist movement in real-time whether the tourists are inside the virtual polygonal Geofence set by the tour guide. Even when the tour is moving between travel destinations, a virtual circular Geofence can be set by the tour guide to monitoring the tourist movement while on the move. The application includes tour guide's and tourist's locations, schedule and participant manageme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verage response time and accuracy is measured, resulting in satisfactory performance. The average response time ranged from 0.0047 seconds to 7.3 seconds in various cases and for accuracy, it scored 100% in various cases. It is expected that implementing Geofence technology to package tour management applications will help tour guides to perform more productive package tours by reducing the burden of managing tourists.

Comparison of 2D Inundation Analysis of Simplified Runoff-model for Development of Sewer Network Simplification Guidelines (하수관망 단순화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단순화 유출 모형의 2차원 침수분석 비교)

  • Lee, Jung-Hwan;Chun, Soo-Bin;Kim, Min-S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7-257
    • /
    • 2018
  •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주요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은 그 개수는 많고 복잡하여 실시간 도시홍수예보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체 하수관망을 사용하여 구축한 강우-유출모형에 단순화를 실시하여 분석하지만 연구자의 주관과 단순화 방식에 따라 유출결과가 크게 달라지며 정확한 단순화 범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망의 개수 및 분포가 각각 다른 여러 도시지역의 하수관망을 일정기준으로 단순화하여 유출, 침수분석을 통한 단순화 적정성을 판단하고 도시지역의 획일적인 하수관망 단순화 가이드라인을 산정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지역은 문래, 구로, 도림천 유역으로, 각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한 강우-유출모형의 관망개수는 각각 2000, 10000, 40000여개이다. 하수관망 단순화는 SWMM에서 노드의 누가유역면적을 단순화의 범위 산정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5가지 범위의 누가유역면적을 기준으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통해 산정된 획일적인 단순화의 범위는 실시간 도수홍수예보에 적합한 합리적이고 정확도 높은 유출모형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ugmented Reality based Organic Interface in Real-time COI registration (실시간 COI 등록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유기적 인터페이스)

  • Lee, Hyeong-Mook;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08-409
    • /
    • 2012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실시간 COI(Context-of-Interest) 등록에서의 증강현실 기반의 유기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먼저 동적으로 변하는 현실 공간의 사용자와 환경 정보를 반영한 증강형태(Augmented Form)의 변형을 가능하게하는 유기적 증강현실을 소개한다. 이를 사전에 정의된 증강현실 마커의 제약을 극복하는 실시간 삼차원 모델링 및 추적 기술에 적용하여 작업의 단계와 흐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제공되는 증강 가이드를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응용 시스템에 대한 사전 학습이 부족하더라도 유기적인 가이드 정보에 따라 직관적인 작업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상용 실시간 운영체제 가이드

  • Lee, Du-Won
    • Digital Contents
    • /
    • no.3 s.82
    • /
    • pp.22-27
    • /
    • 2000
  • 실시간 운영체제의 시장동향은 CPU,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툴 시장동향, 그리고 상용 하드보드 시장의 동향까지 두로 포함해야만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일단 이 글에서는 상용 RTOS의 동향만을, 특히 국내 및 북미 시장 동향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검토하도록 하겠다. 물론 여기서 상용 RTOS 공급 업체의 시각일 수 밖에 없으며 다소 다른 시각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 PDF

Development of Small Displacement Sensing System for Linear Motion Guide in Smart Factory (스마트팩토리의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위한 소형 변위 센싱 시스템 개발)

  • Lee, Su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403-40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소형 및 저전력 부품에 사용되는 센싱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특히 스마트팩토리의 공장 자동화와 정밀 측정의 핵심 부품인 리니어 모션 가이드(LM Guide)를 고정밀, 고정도로 제어할 수 있는 센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변위 센서 기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와전류(Eddy Current)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LC 공진기와 전도체를 LM 가이드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미세 인덕턴스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과 컴퓨터/산술 기술을 FPGA를 이용한 HW 시스템을 제작하여 구현함으로써 실험을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HW 센싱 시스템을 이용하여 LM 가이드를 동작시킴으로 실시간으로 변위 값을 디스플레이 부로 출력되어 측정이 가능하고, 변위 값의 분해능과 응답속도 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GARDIAN: Rule Based Modeling Validation for Concurrent Object Modeling and Architectural Design mEThod(COMET) (GARDIAN: 실시간 내장형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서의 룰 기반의 모델링 평가 및 지원도구)

  • Kim, Sun-Tae;Kim, Jin-Tae;Park, Soo-Y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8
    • /
    • pp.721-730
    • /
    • 2007
  •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is widely used to analyze and design target software. Developers also implement the target software based on the UML artifac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validate whether the artifacts are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modeling guidelines because the guidelines for UML modeling are described in natural language. This paper discusses rule based model checker focused on whether models are designed according to modeling methodology. We propose rules and their own checker, named GARDIAN, for UML model validation. The checkers are designed for COMET method for the real-time embedded system. We illustrate our checkers using Intelligent Robot system to validate our approach.

Proposal Realtime Reaction Generate Quest System Basement Reinforcement Learning Central System (강화학습 기반 실시간 반응형 퀘스트 생성 시스템 중앙 관리자 영향력 연구)

  • Kim-Tae Hun;Kim-Cha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9-500
    • /
    • 2023
  • 강화학습 기반의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의 실시간 상황을 제공 받아서 상황에 알맞은 퀘스트를 생성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 가이드 역할을 하는 CTDE 의 중앙 관리자의 역할을 위한 에이전트를 분리하여 작동하게 함으로서 퀘스트의 지향점을 잡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