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트래픽

Search Result 616,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n efficient scheduling method for real-time and non real-time traffic (실시간 / 비실시간 트래픽의 효율적인 scheduling 방안)

  • Chae, Hee-J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61-162
    • /
    • 2008
  • 본 연구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가입자 또는 connection이 존재할 때 트래픽 패킷의 전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상에 QoS를 만족해야하는 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요구하는 connection과 비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요구하는 connection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패킷 기반의 시스템에서 각 frame에 할당하는 트래픽 패킷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가입자 당 전송하는 트래픽 패킷은 실시간 트래픽과 비실시간 트래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간 트래픽 전송의 경우 허용전송지연시간 내에 전송하지 못하는 패킷이 발생할 확률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실시간 트래픽에 비해 우선순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허용전송지연시간 초과 패킷 확률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서 미레적인 방법을 통해 비실시간 트래픽 패킷에 대한 실시간 트래픽 패킷의 우선순위를 제한하여 시스템의 평균 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결과 비례적인 방법을 통해 실시간 트래픽 패킷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A Transmitter Initiated Bandwidth Reservation Method for Real-time Traffic (실시간 트래픽을 위한 송신측 주도의 대역폭 예약 방법)

  • Kim, M.J.;Eom, J.H.;Jang, Y.S.;Kim,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497-501
    • /
    • 2006
  • 디지털 미디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는 실시간 트래픽을 지원해주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기존의 LAN (Local Area Network) 시장의 약 80% 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이더넷 기술과 연동하는 기술이 많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이더넷 기술이 가진 몇 가지 문제점들로 인하여 이더넷 기술만을 가지고는 실시간 트래픽을 지원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래서 IEEE 802.1 AVB TG (IEEE 802.1 Audio/Video Bridging Task Group)에서 기존의 이더넷 장비 등에 최소한의 변경으로 실시간 트래픽을 지원해주기 위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현재 IEEE 802.1 AVB TG에서는 해당 규격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작동하는 장비들 간에 어떻게 동기를 맞추어 갈 것인지, 이들 장비의 실시간 트래픽을 위한 대역폭 확보는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확보된 대역폭을 바탕으로 하여 실시간 트래픽과 비실시간 트래픽을 어떻게 동시에 지원할 것인지가 주요 논의 과제이다. 본 논문은 주요 논의 과제 중에서도 실시간 트래픽을 위한 대역폭 확보 방안에 그 비중을 두었다. 실시간 트래픽의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역폭 예약이 필수이다. 대역폭 예약을 송신측, 즉 실시간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장치에서 주도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OPNET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IEEE 802.11 기반 Ad Hoc Wireless LAN에서의 실시간 통합 서비스를 위한 분산 MAC 프로토콜의 설계 및 분석

  • 김원수;강충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11B
    • /
    • pp.985-99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규격을 기반으로 다중 홉 Ad Hoc 모드에서 비 실시간 및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Wireless LAN을 구성할 때, 분산 방식으로 실시간 서비스의 우선권을 고려한 채널 액세스의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는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의 구현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과 비 실시간 트래픽의 Contention Window (CW)를 서로 분리하며, 실시간 서비스의 지연 바운드에 따라 정해진 잔여 수명(residual time)을 우선권 설정에 반영함으로써 실시간 트래픽의 지연 요구 사항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간 트래픽의 부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offset 값을 조정함으로써 offset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수율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 IEEE 802.11 MAC 규격의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CSMA/CA 기반의 경쟁 방식을 통해서도 비 실시간 트래픽과의 차별화가 가능하고, 또한 잔여 수명 시간을 고려한 동적인 우선권 할당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존 DCF와 비교할 때 실시간 단말의 용량을 2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래픽 부하에 따라 적응적 제어를 통해 추가적인 성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IEEE 802.11 기반 Ad Hoc Wireless LAN에서의 실시간 통합 서비스를 위한 분산 MAC 프로토콜의 설계 및 분석

  • 김원수;강충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10B
    • /
    • pp.862-87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규격을 기반으로 다중 홉 Ad Hoc 모드에서 비실시간 및 실시간 트래픽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Wireless LAN을 구성할 때, 분산 방식으로 실시간 서비스의 우선권을 고려한 채널 액세스의 차별화를 제공할 수 있는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의 구현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과 비실시간 트래픽의 Contention Window (CW)를 서로 분리하며, 실시간 서비스의 지연 바운드에 따라 정해진 잔여 수명(residual time)을 우선권 설정에 반영함으로써 실시간 트래픽의 지연 요구 사항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간 트래픽의 부하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offset 값을 조정함으로써 offset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수율의 저하를 최소화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 IEEE 802.11 MAC 규격의D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CSMA/CA 기반의 경쟁 방식을 통해서도 비실시간 트래픽과의 차별화가 가능하고, 또한 잔여 수명 시간을 고려한 동적인 우선권 할당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존 DCF와 비교할 때 실시간 단말의 용량을 2배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래픽 부하에 따라 적응적 제어를 통해 추가적인 성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A Study on Real Time and Non-real Time Traffic Multiplexing with Congestion Control (폭주제어를 포함한 실시간 및 비실시간 트래픽의 다중화에 관한 연구)

  • 송관호;이재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4
    • /
    • pp.750-760
    • /
    • 1994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ultiplexing scheme of real time and non-real traffics in which a congestion control is embedded. Real time traffics are assumed to be nonqueuable and have preemptive priority over non-real time traffics in seizing the common output link, whereas the non-real time traffics wait in the common buffer if the output link is not available for transmission. Real time traffics are encoded according to the bandwidth reduction strategy, paticularly when congestion occurs among non-real time traffics. This scheme provides us an efficient way for utilizing the costly bandwidth resources, by accommodation as many real time traffics as possible with gauranteeing its mimimum bandwidth requirements, and also resloving the congestion encountered among non-real time traffics. We describe the system as a Markov queueing system, provide the analysis by exploiting the matrix geometric method, and present the performance for various performance measures of interest. Some numerical results are also provided.

  • PDF

Scheduling Algorithm to support QoS of Real-time Traffics in IEEE 802.11 Wireless LAN Environments (IEEE 802.11 무선랜 환경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QoS지원을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제안)

  • 이상돈;김경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05-507
    • /
    • 2004
  • IEEE 802.11 무선랜 표준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은 동기와 비동기의 두 가지 타입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동기적 실시간 트래픽은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에 의해서 폴링 엑세스 기법에 의해 처리된다. 비동기적 비실시간 트래픽은 CSMA/CA 프로토콜 기반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에 의해 처리된다. 그래서 실시간 트래픽은 지연과 패킷손실에 민감하고 비실시간 트래픽은 에러와 처리율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당한 트래픽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설계되어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IEEE 802.11 무선랜 표준은 실시간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PCF 구간내에서 서비스를 받지 못한 실시간 트래픽 스테이션들을 DCF 구간에서 우선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QoS를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 simple method for reducing the complexity of EPLA packet scheduling algorithm (EPLA(Expected Packet Loss Amount)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

  • Lee, Young-Du;Nhan, Nguyen Thanh;Koo, I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511-512
    • /
    • 2008
  • EPLA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IEEE 802.22 WRAN 시스템의 실시간 트래픽 전송 지원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참고문헌[4]으로 제안되었다. 패킷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경우 짧은 데이터 유효 시간을 가지며, 만약 데이터 유효 시간이 초과할 경우 실시간 트래픽 데이터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는 해당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제거해 버린다. 그러므로 실시간 트래픽의 중요한 서비스 품질(QoS) 인자인 요구된 패킷 손실율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트래픽의 데이터 유효 시간을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기존의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들은 많은 경우 큐의 맨 앞에 위치한 패킷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지만 EPLA는 패킷이 저장되는 큐 내의 다음 프레임에서 제거 될 것으로 예상되는패킷의 손실양을 고려하여 자인을 할당함으로 기존의 실시간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비해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EPLA는 예상되는 패킷 손실양을 계간하기 위해서 모든 사용자의 큐에 저장된 패킷들을 확인해야하므로 높은 복잡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사용자로부터 피드백 받은 부채널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큐를 확인하여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패킷 손실을 성능의 손실 없이 복잡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시간 트래픽인 음성 트래픽과 비디오 트래픽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를 확인한다.

  • PDF

Real-Time Streaming Traffic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Models Based on Recurrent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 기반 딥러닝 모델들을 활용한 실시간 스트리밍 트래픽 예측)

  • Jinho, Kim;Donghyeok, A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2 no.2
    • /
    • pp.53-60
    • /
    • 2023
  • Recently, the demand and traffic volume for various multimedia contents are rapidly increasing through real-time streaming platforms. In this paper, we predict real-time streaming traffic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QoS). Statistical models have been used to predict network traffic. However, since real-time streaming traffic changes dynamically, we used recurrent neural network-based deep learning models rather than a statistical model. Therefore, after the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for real-time streaming data, we exploit vanilla RNN, LSTM, GRU, Bi-LSTM, and Bi-GRU models to predict real-time streaming traffic. In evaluation, the training time and accuracy of each model are measured and compared.

Design a Realtime Network Traffic Prediction System based on Timeseries Analysis (시계열 분석을 이용한 실시간 네트워크 트래픽 예측 시스템의 설계)

  • Jung, Sang-Joon;Kwon, Young-Hun;Choi, Hyck-Su;Kim, Ch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323-1326
    • /
    • 2001
  • 서브네트워크에서 실시간으로 통신 트래픽을 감시하고, 트래픽 정보를 바탕으로 시계열 분석을 이용해 트래픽의 변화추이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SNMP를 이용한 MIB-II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분석 방법은 누적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는 관리 방법으로 이상 징후의 판단이 실시간 감시에는 적합하지 않은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트래픽 감시를 위해 서브네트워크에 들어오거나 나가는 트래픽의 양을 측정하여 분석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시점 이후의 트래픽 추이를 시계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미래의 트래픽 양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시스템으로 구현한다. 예측 알고리즘으로는 AR, MA, ARMA, ARIMA 모델중에 평균 제곱 오차를 최소로 가지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예측하도록 설계한다. 개발되는 시스템을 망 관리자가 전체 통신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를 예상할 수 있게 하여 신속하고 예방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QoS of Real-Time Traffic in Bursty Queueing Scheme (버스트 큐잉 구조에서 실시간 트래픽 QoS에 관한 연구.)

  • Kim, Gwang-Joon;Jang, Hyok;Na, Sang-Dong;Bae, Chu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1-405
    • /
    • 1999
  • 본 논문은 실시간성 서비스인 버스트 트래픽을 갖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망에서 실시간 연결 수락 제어를 위한 종단간의 지연보장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 서비스 트래픽 서비스 품질의 성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셀 손실 확률은 QoS(Quality of Service)의 기준이 되므로 제안된 실시간 알고리즘은 일정한 버퍼 메모리 크기와 연결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 즉, 연결 수락 여부의 결정을 위한 하나의 큐잉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트래픽 소스 각 타입에 대한 초과된 셀에 대한 셀 손실 확률은 트래픽 소스 타입 전체에 하나만 존재하더라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버스트 트래픽 특성에 따라 지연보장 알고리즘을 이용한 큐 서비스 방식은 기존의 종단간 지연 보장 알고리즘들에서 사용하던 씬 정렬을 이용하지 않고 몇 개의 FIFO 큐로 구성된 라운드로빈 큐를 이용하여 복잡성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의 서비스방식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QoS를 보장해야 하는 ATM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제안된 알고리즘에 산출되는 각각의 셀 손실 확률에 충분한 상한선을 제공하는 전형적인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