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시간추적

Search Result 1,57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ctive Object Tracking based on stepwise application of Region and Color Information (지역정보와 색 정보의 단계적 적용에 의한 능동 객체 추적)

  • Jeong, Joon-Yong;Lee, Kyu-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9B no.2
    • /
    • pp.107-112
    • /
    • 2012
  • An active object tracking algorithm using Pan and Tilt camera based in the stepwise application of region and color information from realtime image sequences is proposed. To reduce environment noises in input sequences, Gaussian filtering is performed first. An image is divided into background and objects by using the adaptive Gaussian mixture model. Once the target object is detected, an initial search window close to an object region is set up and colo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region. We track moving objects in realtime by using the CAMShift algorithm which enables to trace objects in active camera with the color information. The proper tracking is accomplish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an and tilt to be placed the center position of object into the middle of field of view.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hand-operated window method.

Real-Time Object Tracking Algorithm based on Adaptive Color Model in Surveillance Networks (서베일런스 네트워크에서 적응적 색상 모델을 기초로 한 실시간 객체 추적 알고리즘)

  • Kang, Sung-Kwan;Lee, Jung-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9
    • /
    • pp.183-18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bject tracking method using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in surveillance network. This method perform a object detection using of adaptive color model. Object contour dete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pplication such as object recognition.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successful object detection over a wide range of object's variation in color and scale. In applications to detect an object in real time, when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find the mode of a color distribution. The specific color of an object is modified at dynamically changing color in image. So, this algorithm detects the tracking area information of object within relevant tracking area and only tracking the movement of that object.Through experiments, we show that proposed method is more robust than other methods under certain ideal situations.

Adaptive Foveated Ray Tracing Based on Time-Constrained Rendering for Head-Mounted Display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간 제약 렌더링을 이용한 적응적 포비티드 광선 추적법)

  • Kim, Youngwook;Ihm, Ins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8 no.3
    • /
    • pp.113-123
    • /
    • 2022
  • Ray tracing-based rendering creates by far more realistic images than the traditional rasterization-based rendering. However, it is still burdensome when implemented for a Head-Mounted Display (HMD) system that demands a wide field of view and a high display refresh rate. Furthermore, for presenting high-quality images on the HMD screen, a sufficient number of ray sampling should be carried out per pixel to alleviate visually annoying spatial and temporal aliases. In this paper, we extend the recent selective foveated ray tracing technique by Kim et al. [1], and propose an improved real-time rendering technique that realizes the rendering effect of the classic Whitted-style ray tracing on the HMD system. In particular, by combining the ray tracing hardware-based acceleration technique and time-constrained rendering scheme, we show that fast HMD ray tracing is possible that is well suited to human visual systems.

Study of Subspace Tracking Methods for Estimating DOA of Linearly Closely Spaced Time-Varying Signals (DOA 추정을 위한 Subspace Tracking 기법들 간의 성능 비교)

  • 강경훈;유경렬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623-626
    • /
    • 2001
  • 센서 array 신호처리에서 DOA(direction of arrival)의 추정에 사용되고 있는 root-MUSIC, TLS-ESPRIT 등과 같은 고해상도 스펙트럼 추정 기법들은 과다한 연산량으로 인하여 실시간 구현이 어렵고, 신호들의 DOA가 근접한 경우에서는 추적 성능이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여러 형태의 부공간 추적 개념을 사용하는 수치기법이 제안되어 왔다 [2], [4], [6]. 본 논문에서는 이들 부공간 추정 기법들을 LS-ESPRIT 기법에 접목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raking of human hands from a sign-language image sequence using entropy analysis (엔트로피 분석을 이용한 수화 영상에서의 손의 추적)

  • 이종실;한영환;민흥기;홍승홍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06a
    • /
    • pp.753-756
    • /
    • 1998
  • 본 논문은 연속적인 수화 동영상에 있어서 가장 의미가 있는 손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부자연스러운 센서 등을 피하고 사용자 친화성과 범용성 및 실시간 구현을 도모하기 위하여 흑백 동영상의 처리가 요구된다. 농아자의 수화를 인식하기 위해 전철로서, 복잡한 배경으로부터 손 영역의 검출은 매우 중요하다. 정확한 손 영역의 검출로 수화 인식률의 개선과 영상처리의 고속화가 가능하다. 제안한 방법은 인접한 프레임간의 차 영상에 대하여 엔트로피를 측정하여 배경영상과 분리를 행한 후, 손 영역에 대한 추적을 수행하였다.

  • PDF

A Design of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Moving Targets with Multi-Sensors (다중센서를 이용한 이동표적의 위치추적시스템 설계)

  • Lim, Joong-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96-100
    • /
    • 201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position tracking system that checks the locations of moving targets in real-time. The system confirms that unknown object invades in watch area using 2 infrared sensors and detect the distance from each sensor to object using 4 ultrasonic sensors, and calculate the position of moving object in x-y coordinate. We specially present an algorithm that decide the location of target in case of target is detected in 2 sensors because of radiation beam width of ultrasonic sensor. We established the algorithm to hardware system and tested the system within a laboratory, and confirmed that the designed system tracked an object exactly in real-time.

Object Extraction and Tracking out of Color Image in Real-Time (실시간 칼라영상에서 객체추출 및 추적)

  • Choi, Nae-Won;Oh, Hae-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1
    • /
    • pp.81-86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racking method of moving object which use extracted object by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image and target image in fixed domain. As a extraction method of object, calculate not pixel of full image but predefined some edge pixel of image to get a position of new object. Since the center area Is excluded from calculation, the extraction time is efficiently reduced. To extract object in the predefined area, get a starting point in advance and then extract size of width and height of object. Central coordinate is used to track moved object.

Deadline information management techniques to support real-time GPU tasks in container-based cloud environments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시간 GPU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데드라인 정보 관리 기법)

  • Kang, Jihun;Gil, Joon-M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2.05a
    • /
    • pp.56-59
    • /
    • 2022
  •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개인화 및 맞춤화가 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이나 요구사항에 따라 실시간 AI 추론 및 데이터 분석과 같이 데이터를 서비스 요청 즉시 처리해야 하는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데드라인 할당 및 관리 기능이 제공되지 않으며,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에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작업의 실행과 같은 작업 상태를 알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GPU 작업의 실시간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GPU 작업의 시작 및 종료 상태의 추적과 데드라인 할당 기법을 위한 실시간 처리 정보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Assessment of real-time bias correction method for rainfall forecast using the Backward-Forward tracking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반 예측강우 편의보정 기법의 실시간 적용 및 평가)

  • Na, Wooyoung;Kang, Minseok;Kim, Yu-Mi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1-371
    • /
    • 2021
  •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입력자료로 예측강우가 활용된다. 기상청과 환경부에서는 초단기 예보의 목적으로 MAPLE(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and Lagrangian Extrapolation)을 생산하고 있다. MAPLE은 선행 30분까지의 예측품질은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그 이후 특히 3시간 이상이 되면 예측품질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측강우의 편의보정을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나 호우의 규모 및 이동특성을 고려한 사례는 제한적이다. 호우의 이동특성을 고려해야하는 이유로는 첫째, 예측의 특성상 예측강우가 생성되고 편의보정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 호우는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둘째, 호우가 이동을 하면서 편의보정의 대상이 되는 지역에 적합한 보정계수의 결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돌발홍수는 장마와 같은 전선형 강수가 아닌 국지성 호우와 같이 빠르게 움직이며 강한 호우를 내리는 강수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호우의 이동특성을 고려하여 예측강우 보정계수를 결정하고 이를 예측강우에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Backward tracking은 미래에 호우가 도달할 지역(대상지역)으로부터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을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추적된 지역에서 보정계수가 결정된다. Forward tracking은 현재 호우가 위치하는 지역으로부터 대상지역을 다시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앞서 결정된 보정계수는 대상지역의 예측강우에 적용된다. 해당 방법론을 2019년에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에 실시간 적용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Backward-Forward tracking 기반 예측강우 보정방법을 적용한 경우에는 실제 관측된 강우와 매우 유사한 보정결과가 도출됨을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