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데이터

Search Result 90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enerating Trajectory of Road Network-Based Moving Objects (도로 네트워크 기반 이동 객체의 궤적 데이터 생성)

  • Kim, Bo-Ryun;Lee, Sang-Hyun;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5-78
    • /
    • 2005
  •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 됨에 인해 테스트를 위한 도로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객체 궤적데이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객체들의 실 궤적 데이터와 유사한 합성 궤적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구현 결과와 실 데이터와의 속도 패턴을 비교하여 실 데이터와의 유사성을 보인다.

  • PDF

Big Data based Classroom Assignment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to the Academics System (데이터에 근거한 강의실 자동 배정 알고리즘 설계와 학사관리 시스템 적용사례)

  • Chin, Sang-Kyu;Kim, Seung-Hwan;Lee, Soon-Kyo;Cheong, T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348-351
    • /
    • 2016
  • 대학에서는 매학기 개설된 수업에 대해 강의실 배정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년4회(1 2학기, 여름, 겨울 계절학기) 수작업으로 반복적인 강의실 배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강의실 배정작업은 교수가 선호하는 강의실 또는 교과목특성(실험과목 및 대형 강의)이 반영된 강의실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강의실을 배정하고 있으며 수작업으로 일일이 강의실을 배정 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몇몇 대학에서는 강의실 배정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 및 강의실의 특성을 고려한 강의실 자동 배정 시스템을 구축을 시도 하였으나, 많은 변수로 인해 여전히 수작업으로 강의실을 배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의실 자동 배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3년간 기 배정된 강의실 빅 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강의실 자동 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적용한 고려대학교 시스템 구축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Cluster analysis for Seoul apartment price using symbolic data (서울 아파트 매매가 자료의 심볼릭 데이터를 이용한 군집분석)

  • Kim, Jaej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6
    • /
    • pp.1239-1247
    • /
    • 2015
  • In this study, 64 administrative regions with high frequencies of apartment trade in Seoul, Korea are classified by the apartment sale price. To consider distributions of apartment price for each region as well as the mean of the price, the symbolic histogram-valued data approach is employed. Symbolic data include all types of data which have internal variation in themselves such as intervals, lists, histograms, distributions, and models, etc.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using symbolic histogram data, it is found that Gangnam, Seocho, and Songpa districts and regions near by those districts have relatively higher prices and larger dispersions. This result makes sense because those regions have good accessibility to downtow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Playback Data Analysis and File Combine/Split Program Development (플레이백 데이터 분석 및 파일 병합/분할 프로그램 구현)

  • Chae, Dong-Seok;Yang, Seung-Eun;Lee,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520-522
    • /
    • 2011
  • 위성으로부터 전송받은 Telemetry 플레이백 데이터 파일들을 적절한 크기로 또는 저장된 시간에 따라 병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는 플레이백 파일 병합/분할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기존에 플레이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플레이백 데이터 자동 분석 프로그램이 있는데, 기존의 프로그램을 윈도우 기반으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보완하였고, 여기에 플레이백 파일 병합/분할 기능을 추가하여 전체적으로 하나로 통합하였다. 본 논문은 차세대 저궤도 위성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저장 및 전송에 대한 내용과 새롭게 개선된 플레이백 데이터 자동분석 프로그램 및 플레이백 파일 병합/분할 프로그램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Program development for playback time estimation (플레이백 시간 예측 프로그램 개발)

  • Chae, Dong-Seok;Yang, Seung-Eun;Lee,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492-494
    • /
    • 2012
  • 저궤도 위성은 위성과 지상과의 통신시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제한된 시간에 위성의 대용량메모리(Mass Memory)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저장되는 데이터 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저장된 데이터 량에 따라 지상으로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위성에 저장되고 있는 Telemetry 종류에 따라 대용량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량을 예측하고, 저장된 데이터 량에 따라 지상으로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개발된 플레이백 시간 예측 프로그램에 대해 서술한 것이다.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 Topic Prediction Model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을 이용한 항공안전 의무보고 토픽 예측 모형)

  • Jun Hwan Kim;Hyunjin Paek;Sungjin Jeon;Young Jae C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1 no.3
    • /
    • pp.42-49
    • /
    • 2023
  • Not only in aviation industry but also in other industries, safety data plays a key role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performance. By analyzing safety data such as aviation safety report (text data), hazard can be identified and removed before it leads to a tragic accident. However, pre-processing of raw data (or natural language data) collected from each site should be carried out first to utilize proactive or predi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As air traffic volume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accumulated is also on the rise. Accordingly, there are clear limitation in analyzing data directly by manpower. In this paper, a topic prediction model for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 is proposed. In addition,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odel was also verified using actual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 data. This research model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effectively supports the current 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 analysis work, but also can be applied to various data produced in the aviation safety field in the future.

TRS를 이용한 선사운항관리실 운영에 따른 해상교통관제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Seok-Jae;An, B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98-100
    • /
    • 2011
  • 울산항은 입출항 선박의 항행안전을 위해 1996년 9월부터 해상교통관제실(VTS)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물동량으로 빈번한 선박통항과 액화가스, 케미컬 등의 위험화물운송선박의 통항 등의 여러 가지 위험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개항장이다. 특히 현대 미포조선소와 인근에 산재해 있는 중소 조선소 등에서 발생되고 있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운송하는 예 부선들의 빈번한 운항은 울산항의 안전한 물류유통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실에서는 레이더사이트의 운항선박에 대한 데이터, PORT-MIS의 선박관련 데이터 및 최근 선박자동식별장치(AIS)의 데이터 등 많은 정보들에 의해 운항 선박들의 항행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박 조립용 블록을 주로 운송하는 울산항의 (주)보성해상개발에서 TRS를 이용한 자체 운항관리실을 운용하여 운송효율과 안전운항을 노력하고 있는 상황과 그 결과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그 효율성을 나타내었다.

  • PDF

실해역 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

  • Jeong, Se-Yong;An, Gyeong-Su;Yang, Jin-Ho;Jo, Chu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66-68
    • /
    • 2015
  •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은 실해역 속도 성능 예측방법에서의 선택 근거확보와 정확도 평가를 위한 효과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성능검증에 있어서 동일한 선박에 대한 다양한 대안 항로에서의 동시성능계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과를 직접 비교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적인 절차를 제안하였고, 시스템의 내부 분석코드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절차는 1) 계산의 근거 인기상 정보의 정확성 검증, 2) 실제 항로에서의 성능예측계산의 신뢰성 확인, 3)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방법을 이용한 최적항로선택, 4) 실제 항로와 최적항로의 연료 효율성 비교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대상 선박은 폴라리스쉬핑의 솔라돌핀호(208k BC)이며 실선 운항 데이터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직접 계측하였다. 그 결과 호주-한국 항차에서 최적항로를 항해할 경우 약 6.0%의 연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coustic Designing of Anechoic & Semi-Anechoic Chamber (무향실.반무향실의 음향설계)

  • 김종철;최순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59-64
    • /
    • 1990
  • 음향측정에 사용되는 무향실은 각종 정밀측정을 하는데 기본적인 중요설비 로 소리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든 설비이다. 무향실은 자유음장을 형성하는 실로 실내 모든면에서 음을 완전히 흡수하여 "음의 반사가 없는 실"을 말하 며, 실제 주변환경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일이다. 이전에는 주로 Speaker나 Microphone등의 지향특성 및 교정에만 국한되어 사용했지만 현재 각종 기계 류의 방사 Power측정, 측정실내의 객관적인 교정검사, 기자재의 객관적인 음 향측정 데이터 비교평가등 무향실을 이용한 음향분석연구가 각 분야에서 광 범위하게 이용되어지고 있다.이용되어지고 있다.

  • PDF

Utilizing Large Language Models(LLM) for Efficient Online Price Index Development and Statistical Data Processing (대규모 언어모델 활용을 통한 통계자료 처리 및 온라인 가격지표 개발 방법론 연구)

  • Kyo-Joong Oh;Ho-Jin Choi;Hyeongak Ahn;Ilgu Kim;Wonseok Ch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101-104
    • /
    • 2023
  •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온라인 시장의 확장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소비 행태 변화를 반영한 가격지표 개발을 목표로 한다. 통계청의 기존 통계조사 방법론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온라인 쇼핑몰 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하기 위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초기 연구 결과로 공개 Polyglot을 활용하여 비정형 자료 처리와 품목분류에 응용해 보았으며, 제한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여도 높은 정확도의 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현재는 적용 품목을 확장하여 더욱 다양한 품목에 방법론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