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대형 실험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ension Monitoring of Prototype Smart Anchor for Geotechnical Disaster Prevention (지반방재용 스마트 앵커의 장력측정 및 하중전이 측정)

  • Kim, Young-Sang;Sung, Hyun-Jong;Kim, Jae-Mi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0.2-90.2
    • /
    • 2010
  • 흙막이 굴착 및 절취사면의 보강공법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앵커의 장력을 측정하는 전기저항식 로드셀과 스트레인게이지, 바이브레이팅 와이어 (vibrating wire) 타입의 모니터링 방법은 안전관리를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한계를 가지고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광섬유 센서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텐던이 개발되었다(김재민 등, 2007). 앵커를 구성하는 7연 강연선(텐던)의 중앙케이블에 삽입된 광섬유브래그격자(Fiber Bragg Grating ; FBG)센서는 기존 스트레인게이지 타입에 비해 크기가 작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전자기파에 의한 노이즈 발생이 없고 하나의 리드선으로 다중점 측정(multiplexing)이 가능하여 장기모니터링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BG센서를 내장한 스마트 텐던을 실대형(Prototype) 앵커(L=11.5m)에 적용하여 현장 인발실험에 의해 시공중 장력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로드셀 측정결과와 비교하였고 정착부에 설치된 FBG 센서로부터 앵커의 하중전이 계측을 수행하였다.

  • PDF

Deformation of Tunnel Affected by Adjacent Slope Excavation in a Joint Rock Mass (절리암반사면 굴착시 기존터널의 변형특성)

  • Lee, Jin-Wook;Lee, Sang-Duk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11b
    • /
    • pp.891-896
    • /
    • 2008
  • Behavior of the existing tunnel in the jointed rocks was affected by the adjacent slope excavation. In this study, large scale model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unnel distortion depending on the excavated slope angle and the joint dip of the ground performed model tests were numerically back analyzed. Consequently, as the joint dip and slope angle became larger, the tunnel distortion was tended to be larger. Ground displacement was also greatly dependent on the joint dip and the excavated slope angle, which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the optimal slope reinforcement.

  • PDF

Hydraulic Experiment on Roughness Coefficient of PE pipe (폴리에틸렌관의 조도계수에 관한 수리모형실험)

  • Dongwoo Ko;Byeong Wook Lee;Jae-Seon Yoon;Hyun-Gu 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8-288
    • /
    • 2023
  • 도로, 철도 등의 횡단통로, 오폐수관로, 지하배수관 등 연약지반에서 상재하중과 부등침하에 의한 파괴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다양한 관로들이 활용되고 있다. 관은 매설특성에 따라 콘크리트관, 도관, 합성수지관, 덕타일 주철관, 파형강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 등의 종류로 구분된다(환경부, 2017). 수리설계 시 이러한 관의 단면 규모 결정 및 흐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관수로 유량측정에 이용되는 Manning의 경험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관로의 주요 재질에 따른 다양한 조도계수가 제시되어 있다. 새로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된 관은 수리실험을 통해 조도계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도계수 실험은 대규모의 실험시설과 유량공급이 요구되기 때문에 여러 한계가 있다. PE관의 경우, 미국의 ASTM 표준에 의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으로 분류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HDPE 재질의 서로 직경이 다른 다중벽관 PE관을 대상으로 조도계수를 결정하기 위한 현장 실규모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식생, 수로의 불규칙성, 수로노선, 침전과 세굴, 장애물, 계절적 변화, 부유물질과 소류사는 무시되며 표면조도, 관의 크기와 형상, 수위와 유량이 조도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수리실험은 실물모형(Prototype)으로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의 대형수리모형실험장에서 수행되었으며. 길이 24 m, 직경 150 mm의 PE 관은 고정식 개수로, 직경 800 mm의 관은 대형유사순환수로에 각각 설치되었다. 관로의 전면에 차폐막을 설치하여 상류부 수위를 안정시킨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차폐막으로부터 하류방향으로 약 7 m(측정기준지점), 11 m, 13 m, 15 m, 17 m 떨어진 곳에서 각각 수위와 유속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φ150관은 직경대비 수심이 클수록 조도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φ800관은 직경대비 수심의 변화에 따른 조도계수의 경향이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PE관의 조도계수는 수심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수심을 지나면 조도계수가 다시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ehavior of Building Lower Part Passage Tunnel due to Adjacent Ground Excavation (근접굴착에 따른 건물 하부 통과 터널의 거동)

  • Lee, Jong-Min;Lee, Sang-Duk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0 no.5
    • /
    • pp.369-377
    • /
    • 2010
  • Applied to the braced wall in order to stabilize the adjacent tunnel. A pre-load of bracing was imposed to preven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braced wall during the ground excavation. For this purpose, real scale model tests were conducted, without and with pre-load on braced wall. Real scale model tests were conducted, without and with building load (0 m, 1D, 2D) on ground surfa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ability of the existing tunnel adjacent to the braced wall could be greatly enhanced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braced wall was reduced by applying a pre-load, which was larger than the designated axial force of bracing. In this paper, the behaviors of braced wall and adjacent tunnel was studied. Model tests in 1:10 scale were performed in real construction sequences. Adjacent tunnel was 12 m in diameter and the size of test pit was 2.0 m (width) ${\times}$ 6.0 m (height) ${\times}$ 4.0 m (length) in dimension.

Experimental study for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round dams (댐 주변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Baek, Donghae;Yoon, Jae-Seon;Lee, Byeong Wook;Jang, Eun Cheul;Song, Hy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7-257
    • /
    • 2022
  • 댐 건설은 홍수 및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구조적 방법으로써 우리나라와 같이 지표수에 의존적인 지역에서는 가용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확실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왔다. 신규 댐의 건설은 대상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큰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댐의 안정성 및 하천의 하도보호를 위해 댐 주변의 수리적 특성의 변화에 대해서도 사전에 인지하여 설계 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수공구조물 신설에 따라 변화되는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그 수단에 따라 상사법칙을 적용한 수리모형실험과 수치기법을 활용한 수치모형실험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실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댐 상하류 구간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실험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의 대형수리모형실험시설에서 수행되었다. 적용대상 댐의 제원은 높이 약 70m, 길이 약 230m이며, 폭 55m의 여수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정하였다. 수리모형은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1/30 규모로 축소하였으며, 콘크리트 및 아크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댐 모형이 설치되는 하천구간은 댐 구조물을 포함하여 실규모를 기준으로 흐름방향으로 약 800m, 하폭방향으로 약 450m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하류구간에 사행하천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험에서 유량은 총 12개의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었으며, 최대 4cms에 해당하는 유량공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공급유량은 정교한 절차에 의해 보정된 전자식 유량계를 통해 통제되었으며, 사용된 유량계의 허용오차는 약 0.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 측정은 오차범위 0.05mm 수준의 초음파 수위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유속측정은 약 0.5cm/s의 정확도를 지닌 3차원 전자기 유속계를 이용한 접촉식 측정과 흐름구조 가시화를 위한 비접촉식 입자추적기법을 병행하였다. 실험조건은 실규모 기준으로 방류량 3,000~5,000cms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각 방류량별 댐 상하류의 흐름패턴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Growth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s (고체 가연물의 화재성장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Su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2-115
    • /
    • 2011
  • 본 연구는 고체가연물의 초기 점화 및 화재성장과정에서의 발열량을 대형화재발열량계(large scale fire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화재발생 초기에 화재성장특성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에 적용된 고체가연물 화재는 단일/이중 목재화재,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쿠션화재, 목재 및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카페트 화재이며 화재발달 단계에서의 화재성장특성을 시간 제곱 화재성장 시나리오와 비교분석하고 고체 기본가연물의 화재성장과정을 이해한다. 구획조건이 화재발열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연소상태와 ISO-9705 화재실 내부에서 화재실험이 수행되었으며 화재성장특성과 최대발열량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화재와 화재시나리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고체가연물의 발열량 데이터 및 화재성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간조건에 따른 발열량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Structural Strength of Beam-to-CFT Connections with Vertical Diaphragm (수직다이아프램을 사용한 충전형 각형강관기둥 접합부의 내력평가)

  • Kim, Kyungtae;Lee, Heon-Woo;Kim, Young-Ki;Kim, Taejin;Kim, Jo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9 no.3
    • /
    • pp.237-247
    • /
    • 2017
  • This paper investigat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l vertical diaphragm and its influence on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concrete filled tubular(CFT) column and beam. CFT columns are hybrids that combine two materials in one member. They have the benefits of steel for high tensile strength and ductility and of concrete for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stiffness. Analytical method of the flexural strength of vertical diaphragm to account moment transfer between panel zones is presented using yield line theory. Connection design is verified by a set of monotonic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with different diaphragm thicknesses. Plastic zones of CFT flange was found and matched closely to FEM results. Both analy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that vertical diaphragm effectively alleviates the stress and transfer the forc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Precast Segmental Concrete Lining for Shield Tunnel (쉴드 터널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라이닝의 내화성능)

  • Han, Byung-Chan;Harada, kazunori;Kwon, Young-Jin;Kim, Yun Y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95-105
    • /
    • 2014
  • Reinforced concrete (RC) shield tunnel lining must be designed for fireproof performance because the lining is sometimes exposed to very high temperature due to traffic accidents. Both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are carried out to evaluat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precast RC tunnel lining systems. In the experimental studies, six full-scale precast RC tunnel segments are exposed to fire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precast RC tunnel lining. We used the temperature curve of the RABT criteria, which are severe conditions of fire temperatures. The fire test showed that the explosive spalling was not observed by substituting concrete to PP fiber reinforced concrete. A transient heat flow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properties that change with temperature, and the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results.

Prediction of Cumulative Plastic Displacement in the Concrete Track Roadbed Caused by Cyclic Loading (반복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궤도 노반의 누적 소성 변위 예측)

  • Won, Sang-Soo;Lee, Jin-Wook;Lee, Seong-Hyeok;Jung,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7 no.1
    • /
    • pp.52-58
    • /
    • 2014
  • Plastic deformation of roadbed influences the stability and maintenance of concrete slab track. Long-term plastic deformation in a railway roadbed is generated primarily due to accumulated inelastic strains caused by repeated passing of trains. Prediction of cumulative plastic deformation is important in cost-effective maintenance of railway tracks as well as for the safe operation of trains. In this study, the vertical displacements in railway roadbeds with different thicknesses of reinforced roadbed were computed. Parameters of the power model for cumulative plastic strain were calibrated by using the data from triaxial tests and full-scale loading tests. Results of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of standard roadbed sections provide us with design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the thickness of reinforced roadbe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Deformation Capacity of CFT Column to H-Steel Beam Connections (콘크리트충전 각형기둥-H형강보 접합부의 변형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Young Ju;Chae, Young Suk;Shin, Kyung Jae;Oh, Young Suk;Moon, Tae 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6 no.1 s.68
    • /
    • pp.113-121
    • /
    • 2004
  • A test program was conducted on full-scale steel moment connections constructed using a T-stiffener. In the T-stiffener connection, the beam-to-column connection was reinforced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lement of the T-stiffener to resist moment under severe cyclic loads. A total of five specimens were tested in this study together with a concrete-filled tubular(CFT) column(${\sqsubset}-500{\times}500{\times}12$) and a steel beam($H-506{\times}201{\times}11{\times}19$). For the specimens, the T-stiffener was combined with RBS (also known as "Dog-bone") detail or Horizontal Element Hole(HEH) detail constructed to enhance deformation capacity. The test program showed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for specimens constructed with an RBS or an HEH. except the specimens had brittle failure of VE. The test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connections all developed maximum moments at the face of the column. Such moments were at least 15% and as much as 36% larger than the plastic moment capacity of the beam. based on the actual yield stress of the beam ste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