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 공기질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echnology Trends of Indoor Air quality for Public transportation (대중교통 실내공기질 기술 동향)

  • Park, Mijeong;Choi, Jinsik;Park, Byung Hyu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4
    • /
    • pp.13-19
    • /
    • 2020
  • 수년간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시민들이 하루에 1.75시간 이상 지하철 및 버스 등의 대중교통 내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어 환경부에서는 2019년 대중교통에서의 공기질 관리 방안을 강화하는 것으로 발표한 바 있다. 최근 철도차량 등의 대중교통 차량에서 공기질 개선장치가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대부분의 기존 대중교통차량에서는 공기질 개선장치가 적용되어 있지 않고 대기질이 나쁨인 경우 실내 환기가 어려워 이용 시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화되는 실내공기질관리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중교통 차량에서의 공기질 관리기술을 토대로 신규차량 뿐만 아니라 기존차량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기고문에서는 대중교통에서의 공기질 현황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공기질개선을 위한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저감에 관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A Study on Indoor Air-quality Improvement System Using Actuator (선형엑츄에이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에 대한 연구)

  • Seo, Do-Won;Yoon, Keu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183-190
    • /
    • 2021
  •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smart air cleaning system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Recently, the problem of indoor air quality is getting seriou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roblems of indoor air quality, we implement an air cleaning system using IoT sensor. In particular, we proposed a system that can measure air pollution in real time and change different air flow paths according to pollution level. Through this, we examined efficient air quality improvement, extension of filter life, and system energy reduction. In addition, the main functions of the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were constructed and prototypes were manufactured to confirm the operability. Finally, the utility of fine dust resolu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was examined.

Classification of PM-10 in Indoor Air Using Pattern Recogntion (Pattern Recogntion을 이용한 실내공기 중 PM-10의 분류)

  • 남보현;황인조;김동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1-142
    • /
    • 2000
  • 오늘날 경제적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현대인은 24시간 중 80 % 이상을 다양한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1970년대 이후 실내환경에 대한 공기오염의 보건학적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오염원에 대한 기초 조사와 연구가 더욱더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실내에서의 오염원 중 담배연기는 보건학적으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위협적인 존재이며, 실내 공기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최악의 오염원이므로 담배 연기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and Proper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Recognition in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 Choi, Mi-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1
    • /
    • pp.171-178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lan for a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elderly care hospital by measuring the indoor air quality level of elderly care hospital and conducting a survey the workers' awareness of indoor air quality. The measurement items were Temperature, Humidity, CO2, CO, PM10, VOC and were taken on April 26, 2019. The survey foun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indoor air quality, the better outdoor air quality and odor items were analyzed to be the lowest among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indoor air quality is high, the satisfaction level of indoor environment factor is high.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lack of ventilation"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the lower the "relevance of indoor air quality" category. To provide the best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for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ventilation equipment to remove odo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atural ventilation and the designation of regular ventilation personnel will be necessary. By establishing such a pla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to provide the best services for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주택환기시스템 구성 및 개발방향

  • 이성한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6
    • /
    • pp.32-36
    • /
    • 2004
  • 주택의 공기질 환경에 대하여 사회적 이슈가 된 새집증후군에 대한 언론매체의 집중적 보도와 실내 공기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보고서의 잇따른 발표에 따라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고조되고 있는 시점에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의해 2004년 5월부터 신축되는 공동주택의 경우 포름알테히드와 VOCs등 새집에서 발생되는 유해 물질을 입주 전 측정하여 공고하여야 한다는 법이 제정이 되어있다. 따라서 각 건설사 및 관련 업계에서는 실내의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일차적으로 유해오염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건축자재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오염원인을 제거하는 source control를 선행을 하고 2차적으로 거주자가 주거생활을 하면서 발생시키는 오염물질인 $CO_2$및 분진 냄새 등은 강제환기를 통해서 개선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여 실내공기 질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Ozone Decomposition for DBD-type Air Cleaner Using Pelletized MnO$_2$ Catalyst and Activated Carbon (조립상 촉매(MnO$_2$)와 활성탄을 이용한 DBD방식 공기청정기에서의 발생 오존 분해특성)

  • 변정훈;지준호;강석훈;황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3-174
    • /
    • 2002
  • 실내 공기질은 재실자의 건강과 쾌적성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작업능률에도 영향을 미치며, 산업화와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은, 실내 공기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건물의 밀폐화와 환기율의 감소로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는 결국,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공기정화 시스템의 필요로 이어지며, 그런 의미에서 현재 많은 상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중략)

  • PDF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using BIM (BIM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Hyeun Tae;Son, Young Da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3-16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가스 센서들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 질을 측정,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와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빌딩 정보 모델링을 활용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 형태이거나 모니터 상으로 센서의 위치와 측정값을 보여주는 정도로서 사용자들이 쉽게 건물 내 공기질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모델링하고 실제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모델링 자료와 동기화시켜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실내 공기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Indoor Pollutant Reduction of Cementitious Composite Using Charcoal and Phytoncide (숯과 피톤치드를 사용한 시멘트계 복합재의 실내 오염물질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g, Hyeon-Woo;Jeong, We-Young;Jung, Yoong-Hoon;Han, Song-Yi;Park, Sun-Gyu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9 no.1
    • /
    • pp.13-19
    • /
    • 2021
  • In modern society, indoor activities time is increasing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Interest in indoor air quality is increasing as indoor activity time increases. The main causes of indoor air pollution are formaldehyde which a chemical cause, and fungi which a biological cause. Phytoncide effectively reduces Formaldehyde and Fungi. Charcoal which possess porous-structure has a good absorbance of pollutants. In this study, the authors manufactured functional cement matrix using by phytoncide and charcoal to remove formaldehyde and fungi. In this study, Functional cement matrix reduced formaldehyde and Fungi and effectively improve indoor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