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환경

Search Result 3,907,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Influence of indoor pollution in habitant' health and development of the model of healthy home environment (실내환경오염이 거주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평가 및 예방모델 개발)

  • 신동천;박성은;양지연;김진용;홍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9-250
    • /
    • 2000
  • 현대인들은 24시간 중 70∼80%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 실내에서의 일일 노출시간 증가, 한정된 공간에서의 오염된 공기의 지속적 순환,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의한 건물의 밀폐화에 따른 오염농도의 누적현상, 다양한 건축자재 및 생활 인테리어 용품의 사용으로 인한 실내 오염원의 존재 등으로 실내 공기질 악화에 따른 건강 영향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중략)

  • PDF

Analysis of Aldehydes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대중교통 수단 및 교통시설 내부에서의 알데하이드 오염도 분석)

  • 이병규;유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0-291
    • /
    • 2002
  • 오늘날의 도시인들의 생활은 대부분 집이나 아파트, 지하철, 지하상가, 공공건물, 작업장 및 사무실 등의 각종 실내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실내공기는 자연 회석율이 부족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되고 있다. 현대 도시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약 90%)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다는 실정이지만,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 노력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중략)

  • PDF

Human Detection in Cluttered Indoor Environments (복잡한 실내 환경에서 사람 검출)

  • Gil, Jong In;Kim, Man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98-99
    • /
    • 2015
  • 사람 검출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많은 기술이다. 검출은 노이즈, 그림자, 조명 변화, 사람형태 등을 고려해야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기반으로 복잡한 실내환경에서 상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람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모션 추출, 배경차분화, 전경객체 추출, 사람의 고유색 검출로 구성된다. 다양한 실내환경에서 제안방법을 적용하여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 PDF

실내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지구자기장기반 적용 연구

  • Heo, Su-Jeong;Park, Yong-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4
    • /
    • pp.25-32
    • /
    • 2017
  • 본고에서는 실내환경에서 측위 정확도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전파시스템 기반 측위 시스템 및 알고리즘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구고유의 자원인 지구자기장을 기반으로 실내환경에 강인한 측위 시스템 및 알고리즘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건물재료 및 공간구성에 따른 지구자기장세기 변화량이 다른 것을 확인 하였으며, 위치추정을 위한 Fingerprint 알고리즘 적용 시Database 구축의 편의성,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제 환경 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Analysis of Aldehydes in Indoor Environment of Ulsan (울산지역의 실내 생활공간에서의 알데히드 오염도 분석 (1))

  • 이병규;유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43-244
    • /
    • 2003
  • 현대 도시인들의 생활은 집이나 아파트, 작업장 및 사무실, 식당, 상점, 공공건물 등 각종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약 90%)을 보내고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머무르는 긴 시간에 비하여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실내에서의 다양한 활동, 요리, 새로운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에서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방출될 수 있고, 차량이나 산업활동 등에서 배출된 여러 오염물질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높이기도 한다. (중략)

  • PDF

Analysis of Aldehydes in Indoor Environment of Ulsan (울산지역 실내 생활공간 중의 알데히드 오염도 분석 (∥))

  • 이병규;유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77-178
    • /
    • 2003
  • 현대 도시인들의 삶의 형태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도시인들은 주택이나 아파트, 작업장, 근무지, 사무실, 식당, 상점 및 공공건물 등과 같은 각종 실내에서 그들 삶의 대부분의 시간 (약 90%)을 보내고 있다 (Lee and Cho, 200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나라에서 실내공간에서 머무르는 긴 시간에 비하여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실내에서의 다양한 활동, 요리, 도장, 새로운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에서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방출될 수 있고, 차량이나 산업활동 등에서 배출된 여러 오염물질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높이기도 한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indoor environment research trends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 Case study on abstracts fro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실내환경 분야 연구동향 파악 : 실내환경학회지 초록 사례연구)

  • Jeon, Hyung Jin;Kim, Do Youn;Han, Kook Jin;Kim, Dong Woo;Son, Seung Woo;Lee, Cheol Min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 /
    • v.17 no.4
    • /
    • pp.322-32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indoor environment in Korea. We collected 419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between 2004 and 2018, and attempted to produce datasets using a topic modeling techniqu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he result of topic modeling showed that 8 topics ("VOCs investigation", "Subway environment", "Building thermal environment", "School health", "Building particulate matter", "Asbestos risk", "Radon risk", "Air cleaner and treatment") could be extracted using Gibbs sampling method. In terms of topic trends, investig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bway environment, school health, and building particulate matter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while the building thermal environment, asbestos risk, radon risk, air cleaners, and air treatment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The results of this topic modeling could help us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related indoor environment,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developing future research and policy frameworks.

Performance Analysis of Wireless Sensor Nodes over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실내외 환경에서 센서노드의 성능 평가)

  • Di, Xuechao;Moon, Byung-Hy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2
    • /
    • pp.1-9
    • /
    • 2012
  • Wireless sensor nodes are wide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environmental monitoring. In this paper, the RSSI and PER are measured for the indoor environment with the various interferences such as obstacles(concrete walls, steel doors) and the 2.4GHz wireless LAN interference. Also, the RSSI and PER are measured for the outdoor environments. From the measured values of the RSSI and PER, the guideline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s suggested.

Implementation of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및 자동제어 시스템 구현)

  • Lee, Sang Hoon;Kim, Jin-Yeop;Kim, Su-Ye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6
    • /
    • pp.71-80
    • /
    • 2016
  •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standard of living, the interest and awareness level of the public about environmental issues have also gradually increased. Recently, time spent on indoor activities have increased and the need for awareness and demand on method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ndoor environment has been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ns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real-time monitoring of the room environment by using the IoT based technology an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to an appropriate level through the developed interlocking controller device. This provides an automatic control system in improving the indoor environment at home and other small areas like general offices in place of the traditional passive interi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ctions or large-scale facility control system. A status analysis with the relative reference values of the air quality and CO2,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illumination and noise was applied through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utomatic control module in accordance with the nine indoor environment standards set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