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환경

Search Result 3,907,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The Validation Study of Shaping Comfortable Environments Based on the PMV Index Using Facial Skin Temperature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한 PMV 지표 기반 쾌적환경 조성의 타당성 연구)

  • Kim, Boseong;Min, Yoon-Ki;Shin, Esther;Kim, Jin-H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3
    • /
    • pp.311-318
    • /
    • 2013
  • This research examined the validity of whether the PMV index-based comfort- or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could be classified by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ne of the physiological indicator for human. To do this, we distinguished between a comfort thermal environment and an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using the PMV value, and then facial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in both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f occupan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omfort- and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It suggested tha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could be used in shaping th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PMV index. While this result suggested the PMV index-based on comfort and uncomfort indoor environments could not be valid, because the facial skin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than in the comfort thermal environment.

  • PDF

Web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based Visualization of Indoor Environment -Focusing on the Data of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Density- (웹 및 건물정보모델기반 실내 환경 디지털 시각화 -온습도와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 Huang, Jin-hua;Lee, Jin-Kook;Jeon, Gyu-yeob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2
    • /
    • pp.327-336
    • /
    • 2017
  • People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indoor environment. Among the various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ir and thermal environment directly affect human's health and efficiency of work. Therefore, efficient monitoring of indoor environment is highly important. For assisting the residents to understand the state of the indoor environment much easier and more intuitive, this paper analyze the visualization cases of the conventional indoor environment. Then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visualization method to propose a more effective visualization method. The approach of web an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based visualization of indoor environment propo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major parts: 1) the generation of the model data of the building; 2) the generation of indoor environmental data; 3) the creation of visualization elements; 4) data mapping. Then it realized through the generating process of visualization results.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in Seoul and Pusan (서울 및 부산지역 실내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 김윤신;이상복;권성안;최원욱;김현탁;이홍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01-303
    • /
    • 2000
  • 오늘날 경제적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일상생활 대부분이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인구 및 산업의 도시집중화에 따른 지하생활공간의 이용이 확대되는 둥 생활양식과 거주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실내공간은 현대 도시인들에게 있어서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하는 공간으로서(Wily et at., 1991)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이 보건학적인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이며(Spongier, 1983) 현재 국내에서도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에 대한 오염도가 조사되고 있으나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김윤신, 1994). (중략)

  • PDF

실내공기질 오염 저감을 위한 나노-환경기술

  • 최재훈;김현중;이영규;정현석;홍국선
    •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91-197
    • /
    • 2004
  • 실내 환경 (indoor environment)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구조의 발달을 통한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여 환경오염이 가중되면서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내 환경문제의 대표적인 실내공기질 (Indoor Air Quality, IAQ)에 대한 문제의 발생배경을 보면 1970년대 이후 각종 산업분야에서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건물의 열효율을 위한 밀폐화 및 고기밀화에 따른 실내공간의 변화에 따라 이들 건물의 실내공기질이 악화되면서 발생되었다.(중략)

  • PDF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Effect for Using the Air Cleaner (공기청정기 사용에 따른 실내 공기질 및 건강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 김윤신;이철민;이태형;심상효;김중호;이재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27-528
    • /
    • 2003
  • 현대 사회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각종 산업이 급격히 발달되어 왔지만, 부수적으로 많은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실내환경은 일상생활 중 80% 이상의 시간을 어떤 형태의 가정, 사무실, 공공건물, 학교, 병원,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의 여러 형태의 실내공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는 물론 국내에서도 실내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 및 인체 영향에 대한 중요성이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국민들의 환경인식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기오염 못지않게 새로운 환경문제로서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다.(중략)

  • PDF

실내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 장해에서 생활환경 지키기

  • 신동천
    • 가정의 벗
    • /
    • v.37 no.11 s.435
    • /
    • pp.4-5
    • /
    • 2004
  • 실내공기오염은 한정된 공간과 밀폐된 환경으로 인해 대기오염 보다 더 중요한 문제가 된다. 호흡기 알레르기, 빌딩 증후군, 새집증후군으로 인해 폐렴, 천식, 피부질환이 늘어나는 등 건강상의 장해를 가져오는 문제를 갖는다. 그러므로 실내에 있는 환경오염 물질을 환기를 통해서 줄이고 건강한 생활 환경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