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음향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oom acoustic measurement and analysis (실내 음향 측정 및 분석 기법 연구)

  • Hong Seung-Wook;Jeon Jin-Ho;Lee Sin-Lyu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557-56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실내음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향 측정 신호인 blank pistol, maximum length sequence, sine sweep 을 이용한 충격응답 특성을 분석한다. 각 충격응답의 실내음향 인자들을 먼저 비교 분석하고 sine sweep 속도에 따른 충격응답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실내음향 인자를 찾기 위한 sine sweep 속도를 결정한다.

  • PDF

A Pilot Study on the Influence of Surface Diffusivity on the Acoustics in Rooms (실내음향에 확산성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한찬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69-74
    • /
    • 1998
  • 본 논문은 건축실내표면의 확산성이 실내음향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와 그 정도를 알기 위하여 가상의 홀을 시뮬레이션하여 확산성의 차이에 따른 실내음향인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RT, EDT, C80 등의 음향인자의 분석을 통하여 실내의 확산성이 초기 음에너지의 증가와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천장보다는 벽체의 확산명이 명료도의 증가와 음이해도의 상승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Room Acoustic Simulation Software Using Personal Computer (퍼스날 컴퓨터를 이용한 실내음향 해석 소프트웨어의 개발)

  • 이희원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3-5
    • /
    • 1993
  • 실내 음향특성의 컴퓨터 씨뮬레이션 기법은 모형실험 기법과 더불어 건축물의 음향설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음향특성을 설계단계에 예측하기 위해 영상법에 기초한 실내음향 해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건축물의 3차원 형상모델, 벽면등 반사체의 흡음특성, 음원과 수음점의 위치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음선의 전파경로, 수음위치에서의 반사음 패턴, 실내 음향 특성의 평가척 (음의 명료도, 잔향시간 등)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씨뮬레이션 기법이 소요 장비나 비용, 시간적 제약으로 널리 실용화되기 어려웠던 점을 고려하여 PC급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고 음선 전차경로의 그래픽 표현, 반사음 패턴의 분석등, 건축물의 음향 설계를 위한 기능을 부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PDF

Study for Improving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ference Room (회의장에서의 실내음향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상수;황효성;박영원;채장범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 /
    • pp.73-82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significant improvement achieved i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conference room of I-company originally designed and built without consideration for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room was excessive, which resulted in poor 'Definition' for speech. Thus the improvement of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was required. In this study, experiments and simulations using the principles of geometrical acoustics were executed to improv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room. By performing a series of simulation, it has become possible to predict acoustic parameters for an improvement plan. And the improvement plan of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was established. An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gainst those from the simulation.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by successfully improving the room acoustic characteristics resulted from repair construction.

  • PDF

Effect of Higher Order Form Factors on the Prediction of Room Acoustics by Extended Radiosity Method (확장 라디오시티법에 의한 실내음향 예측에 있어 고차형태계수의 영향)

  • Lee Heewon;Goh Ildu;Oh Yangki;Doo Sejin;Jeong Dae-up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19-522
    • /
    • 2002
  • 컴퓨터에 의한 실내음향 예측에 있어 확산반사의 고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간주된다. 지난 수년 동안 음선추적법을 이용하여 실내음향을 예측하는 경우에 확산 반사를 고려하기 위한 방안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경면반사를 근본으로 하는 영상법에서는 확산 반사를 고려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 제안된 확장 라디오 시티법을 적용하여 영상법에서 확산반사를 고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분적으로 확산성을 갖는 반사면에서의 음향에너지 반사는 확산반사와 경면반사의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반사의 횟수를 거듭함에 따라 확산-확산, 확산-경면, 경면-확산, 경면-경면의 형태로 반사에너지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 형태계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이 네가지 형태의 반사음전달과정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벽면을 부분적 확산반사의 특성을 갖는 반사면으로 모델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라디오시티법의 개념과 이에 따른 고차형태계수의 근사 계산법을 제시하고 고차형태계수가 실내음향 씨뮬레이션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특정기초 연구 (과제번호 1999-1-310-004-3)의 지원에 의한 연구결과의 일부임]

  • PDF

Room Acoustic Measurement System Using Impulse Response (임펄스응답을 이용한 실내음향 측정 시스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5
    • /
    • pp.63-67
    • /
    • 1999
  • Recently, a method of measuring impulse response is widely used for a room acoustic evaluation instead of measuring reverberation time by white noise excitation. Comparing with the traditional reverberation time measurement, this method has many advantages such as good repeatability and the ability to extract various room acoustic parameters at one measurement. In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ed a measuring system that can extract mono-aural room acoustic parameters from an impulse response measured with MLS (Maximum Length Sequence) signal excitation. These room acoustic parameters include reverberation times(EDT, RT), speech intelligibilities(C50, C80, D, U50, U80, AI) and sound strength(G).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figuration of the developed measuring system, test results and discussions for the measurements at several rooms.

  • PDF

Room acoustic design of a concert hall with a reflection of listeners' preference (청취자 선호도를 반영한 콘서트홀 음향설계)

  • Kim, Ji Hyun;Oh, Yang K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2
    • /
    • pp.139-144
    • /
    • 2019
  • Various room acoustic parameters and their optimal values were proposed and verified as proper interpretations to the listeners' preference of concert hall sounds. However the listening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since they were developed, and the listeners' preference may not be the same among countrie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ctual listeners' preference sh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of a new concert hall. A survey on the listening preference was carried out for 22 music experts. A room acoustical design process was proposed which made the acoustical environment of a concert hall as close to the listeners' preferences.

A Case Study of the Improvement of the Acoustics of a Traditional Music Hall according to the Acoustical Guideline of the Traditional Music (국악공연장 음향설계기준에 따른 음향개선 사례연구)

  • Shin Jic-Su;Lee Wangu;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45-250
    • /
    • 2004
  • 본 연구는 국립국악원 우면당의 개보수공사에 있어서 새로이 변경되는 객석의 형태와 규모 및 목적에 맞는 최적의 실내음향설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현재의 우면당 실내음향의 문제점을 파?하고 설계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과학적으로 분석, 평가함으로서 국악공연에 적합한 최적의 음향성능을 창출하고 이에 따른 실내마감 자재 및 설계, 시공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공후 음향성능에 대한 평가작업을 시행하여 시공전과 비교함으로서 그 개선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sound radiation by floor vibration in the closed sound field (실내의 바닥진동에 의한 음향방사해석)

  • 최석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2.06a
    • /
    • pp.137-140
    • /
    • 1992
  • 실내 바닥슬래브의 휨진동에 의한 음향방사문제에 대하여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단순한 형상의 판이 휨진동하여 자유공간에 음을 방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론적인 해를 구할 수 있으나, 임의형상의 판이 휨진동하여 실내에 음을 방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검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문제를 단순화한 해석법으로서 먼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판의 휨진동에 대한 고유모드의 상대변위를 구하고, 다음 상대변위를 진동속도로 변환한 결과를 입력조건으로 하여 유한요소법에 의한 3차원 음장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실내 바닥슬래브의 휨진동에 의한 음향방사파워는 슬래브의 진동모드, 실내음향모드 및 벽흡음율 등의 조건에 따라 크게 변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f Sound Quality Improvement for Car Audio System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 개선 연구)

  • 박석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123-129
    • /
    • 1995
  • 본 논문은 차실내 음향 특성 개선 연구로 수행중이며 정상 상태 음향 응답 특성 시험을 통하여 차실내에서 운전자가 듣게되는 음장 특성을 알게 되었고, 라우드 스피커에 대한 음향 특성 시험으로 이러한 차실내 음장의 비평탄성은 라우드 스피커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차실 공간등이 요인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배플 상태 및 차량에 장착된 상태하의 라우드 스피커에 대한 임피던스 시험 결과로 임피던스의 장착 부위의 후면 공간이 임피던스 특성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피던스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라우드 스피커에 대한 모델 매개 변수를 규명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한 라우드 스피커의 모델 개선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시간 지연 분광법을 이용하여 차실내에서 음향 전파 과정 분석을 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시간에 따라 다른 음향 응답 특성으로 듣게 되는 것을 알게 되어 향후 음질 개선 연구 수행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음이 진행함에 따라 부딪치는 반사면의 흡음 또는 반사 특성을 파악할 수도 있어서 흡음재의 선정 및 라우드 스피커의 장착 위치 및 각도를 선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향후의 연구 방향은 어떠한 음향 패턴이 운전자가 좋은 음향이라고 느끼게 되는지를 규명하는 것, 즉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시험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을 확립하는 것과 라우드 스피커 모델링 기법과 차실 공간의 음향 특성을 이용한 차실내 최적 음향 조건을 규명하는 것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