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실내오염

Search Result 66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Indoor Air-quality Improvement System Using Actuator (선형엑츄에이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 시스템에 대한 연구)

  • Seo, Do-Won;Yoon, Keu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183-190
    • /
    • 2021
  •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smart air cleaning system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Recently, the problem of indoor air quality is getting serious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roblems of indoor air quality, we implement an air cleaning system using IoT sensor. In particular, we proposed a system that can measure air pollution in real time and change different air flow paths according to pollution level. Through this, we examined efficient air quality improvement, extension of filter life, and system energy reduction. In addition, the main functions of the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were constructed and prototypes were manufactured to confirm the operability. Finally, the utility of fine dust resolu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system was examined.

Experiment on Reduction of Pollutants in Titanium Dioxide Photocatalytic Ventilation System (이산화티탄 광촉매 환기장치의 오염물질 저감 실험)

  • Song, Yong 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2
    • /
    • pp.117-123
    • /
    • 2022
  • In this study,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was applied to the ventilation system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and nitrogen oxides (NOx), which are representative indoor harmful substances. A reaction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n ultraviolet lamp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so that the pollutant decomposition effect of the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could be applied indoors. The reaction device was used on the indoor ventilation system and applied to the Mock-Up test. As a result of the Mock-up test, the NOx re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air volume once per hour and five times per hour was confirm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number of ventilation increases, the NOx reduction time decreases proportionally, and the reduction performance increases.

A Perspective on Indoor Air Pollution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소고)

  • 김윤신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9 no.1
    • /
    • pp.33-43
    • /
    • 1993
  • 대기오염은 지구의 생성과 함께 화산폭발의 가스 배출에서 부터 작게는 가정내 연료사용의 연소과정에 이르기까지 각종 형태로 배출되어 우리 건강 뿐 아니라 생활복지면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끼쳐오고 있다.

  • PDF

Effect of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on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A Newly Built Apartment and B Department Store (A신축아파트 및 B백화점에서 기계환기에 의한 실내공기질의 개선 효과)

  • Park, Jeong Ho;Lee, Sang Hyuk;Kim, Hyoung Ka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24 no.1
    • /
    • pp.38-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계환기에 의한 실내공기질 개선효과를 현장실험을 통해 파악하기 위해 환기설비를 갖춘 A 신축아파트와 다중이용시설인 B 백화점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A 신축아파트에서는 새집증후군 등 주요 실내공기오염의 원인물질인 VOCs 및 HCHO를 측정 대상물질로 선정하고 미환기 상태에서 16가구에서 전반적인 신축아파트의 실내공기오염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중 상대적으로 TVOC 농도가 높은 2가구를 대상으로 환기전후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였다. B 백화점에서는 $CO_2$ 및 HCHO를 대상물질로 선정하고 1~7층별로 미환기시와 기계환기 1시간 이후의 농도 특성을 통해 환기에 의한 저감율을 파악하였으며, 이후 환기시설 정상가동 상태에서 3년간 실내공기오염물질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환기 상태에서 A 신축아파트의 VOCs 및 HCHO 농도는 일부 지점에서는 에틸벤젠, 자일렌 등의 농도가 실내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특히 환기전후의 TVOC 농도 특성은 A-1 지점의 경우 미환기시 $3,547{\mu}g/m^3$에서 환기시 $961{\mu}g/m^3$ 그리고 A-2 지점의 경우 미환기시 $3,117{\mu}g/m^3$에서 환기시 $594{\mu}g/m^3$으로 환기에 의해 각각 73%, 81% 저감율이 나타났다. 또한 개별 VOCs 및 HCHO물질별 환기에 의한 저감율은 31.4~96.7%로 나타났으며, 환기이후 모든 물질이 실내기준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B 백화점에서는 평균 $CO_2$ 농도는 미환기시 855 ppm에서 기계환기 1시간 이후 580 ppm으로 약 32% 저감되었으며, HCHO의 평균농도도 $251{\mu}g/m^3$에서 $70.3{\mu}g/m^3$으로 약 72%의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환기시설 정상가동 상태에서 3년간 실내공기질의 측정결과 지속적으로 실내환경 기준을 만족하였다. 최근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개선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중 기계환기는 신축아파트 및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실내공기질을 실내환경기준 이하로 지속적이고 쾌적하게 유지할 수 효과적 방법으로 고려된다.

실내공기오염

  • 차철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7.11a
    • /
    • pp.3-3
    • /
    •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