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양식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말레이시아 호텔 로비에 나타난 공간구성요소의 디자인 특성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Observed in Malaysian Hotel Lobbies)

  • 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88-19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nents observed in Malaysian hotel lobbie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facades and indoor space components of 15 hotel lobbies in Langkawi and Penang,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designs found in the facades and indoor space components of Malaysian hotel lobbies reflected all of traditional and colonial styles, religious styles including Islamic, and contemporary styles. Second, traditional designs showed rathe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s than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s. Particularly in ceilings, walls and windows/doors, conservative or progressive modemization was observed frequently. Third, contemporary designs were mostly formative modernization, and materials and colors still adhered to traditions and nature. Fourth, in applied furniture, traditional wood sculptures were mixed or traditional material rattarn(stems of climbing palms) was utilized actively. Fourth, a large number of designs symbolized the Malaysian first religion Islam. Summing up these results, the common point of designs observed in the facades and indoor space components of Malaysian hotel lobbies was that they were transformed into Malaysian style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traditional or colonial.

실내디자인과 현대미술의 상관적 표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Expresisons Between Interior Design and the Contemporary Art)

  • 박진배;이용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0호
    • /
    • pp.50-57
    • /
    • 1997
  • This study is concentrated on the specified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mporary art and the interior design by investigation their situational connections through the expresison of their works. Each fields of modern art makes expressive situation more complicated and transforms its unintelligible and expressive outputs variously. The expression is the basis of the incompatibility of the modern art which features the ambivalence of the various tend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works as well as the disappearance of the typical genre of the art. The new expression such as the spatial recognition of the paintings and the participatio of the real, expreimental examples of the modern art enlarges its realm. The field interior design which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ine arts need to make a new discussion or a theory among the progressive expression and the various tendencies of the art. Through this research, by reviewing the intermixed and expressed features of the artists works and designers projects which went far beyond the concepts and gen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tendency of the contemporary art and the interior design has been specified.

  • PDF

De Stijl 에 있어서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in De Stijl)

  • 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8호
    • /
    • pp.16-22
    • /
    • 1996
  • In terms of modern design history, De Stijl movement had continued as one of influential groups by 1931, and it attempted to pursue universial reality that combined painting and architecture, seeking a new style based on Neo-Plasticism and succeeded the nineteen century's Art and Craft movement and Art Nouveau. Especially, the De Stijl movement provided 1920's rationalism with new space pattern and its ideas greatly affected the Bauhaus movement such as Walter Gropius or Mies van der Rohe. De Stijl's utopian idea that claimed on the conformity of art and life contributed modernism movement combined with scientific and rational view, and even now experts its lasting power with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free from simple cube in moder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he tue meaning of the De Stijl movements is that is sis the basis of general ideas, and the change of modern architecture is based on this modern styled foundation. It may be the unchangeable fact like Russell Hitchocok says, "The architectural style and pattern which everyone admitts its importance has the value of living."

  • PDF

생활 습관,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 및 지하수 내 라돈 농도 따른 실내 라돈 농도 영향 모델 (Affected Model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Based on Lifestyle, Greenery Ratio, and Radon Levels in Groundwater)

  • Lee, Hyun Young;Park, Ji Hyun;Lee, Cheol-Min;Kang, Dae Ryong
    •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 /
    • 제42권4호
    • /
    • pp.309-316
    • /
    • 2017
  • 라돈 및 그 자손은 폐암을 일으키는 환경적 위험인자로, 일상 활동 및 수면 등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실내 라돈 농도 관리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거지를 둘러싼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라돈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를 찾아내고, 이를 활용한 포괄적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건축 자재 및 생활 양식을 포함한 주거 환경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고, 의사결정트리 및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 불 투과성 층 비율, 주택과 지면의 맞닿은 상태, 매일 환기 습관, 난방 습관, 측정 장치 주위의 균열 및 침실여부는 실내 라돈 농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매일 환기 습관을 가질 경우 실내 라돈 농도가 $200Bq/m^3$ 이상인 비율이 11.6%로 줄었다. 한편 매일 환기습관이 없는 주거자의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이 65% 이상이면 매일 환기 습관이 있는 주거자와 비교하여 15.3%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구축된 포괄적 모델의 실내 라돈 농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과 환기율이었다. 제시된 모델로 국내 라돈 농도에 대한 개인의 지리적 특성, 지하수 및 생활 양식 요소의 결합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홍성게 치성게 사육 파판상의 부착규조류 천이

  • 김재우;좌종헌;정상철;이준백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97-97
    • /
    • 2003
  • 유용 수산생물인 전복, 소라, 성게 등 무척추동물의 종묘생산에 있어 부착 규조류는 수서 생태계의 일차 생산자로서 유생의 변태와 변태 후의 초기 먹이생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일 부착규조류의 실내 배양을 통해 유용 수산생물 종묘의 대량 생산을 유도하고 있다. 부착규조류의 생물량 및 종 조성에 따라 이들 조식동물의 성장과 먹이 효율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이 연구는 종묘생산의 환경 조건과 동일한 현장에서 유수식 수조에 투명 플라스틱 부착파판(30$\times$40cm)을 설치하여 1997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실내수조에 설치한 부착파판을 10일 간격으로 회수하여 부착된 규조류의 생물량과 환경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자연광을 55~75% 차단한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온과 염분은 각각 14.1$^{\circ}C$~28.6$^{\circ}C$와 32.5$\textperthousand$~35.3$\textperthousand$의 범위를 보였다. 실험기간 동안 부착규조류의 총 출현종수는 27종(17속 25종 2미동정종)으로 중심규조류(centric diatom)가 4종 그리고 우상규조류(pennate diatom)가 23종이었다. 현존량의 30% 이상을 점유하는 부착 규조류들은 Bacillaria paxillifera, Cocconeis scutellum, Diatoma hyalina, Navicula mollis, Nitzschia sp., Synedra tabulta 등 6종이 우점하였다. 부착규조류의 현존량은 2.5$\times$$10^3$~ 5.0$\times$$10^{5}$ cells $cm^{-2}$ 의 분포 범위로 1999년 4월에 가장 높고 1997년 10월에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lpha$량 ($\mu\textrm{g}$ chl $\alpha$ $cm^{-2}$)은 0.02 ~ 1.72 $\mu\textrm{g}$ chi $\alpha$ $cm^{-2}$의 범위로써 부착규조류의 현존량과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유수식 실내수조에 부착된 부착규조류의 부착 형태, 우점종과 현존량은 배양 시기에 따라 종간 특이성을 보였다.다.

  • PDF

남해안 어류 및 전복가두리양식장의 퇴적물-수층 경계면에서의 물질플럭스 비교: 현장배양과 실내배양실험 연구 (Comparison of Material Flux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Marine Finfish and Abalone Cage Farms, Southern Coast of Korea: In-situ and Laboratory Incubation Examination)

  • 박정현;조윤식;이원찬;홍석진;김형철;김정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36-544
    • /
    • 2012
  • 지속적인 양식활동과 어장환경 보호를 위해서는 연안해역과 양식어종마다 각기 다른 연안생태계의 물질순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양식장아래 퇴적물-수층 경계면의 침강 용출 플럭스에 관한 정확한 산정이 중요하다. 이에 관한 연구방법 중 벤틱 챔버를 이용한 현장배양법과 코아 채니를 이용한 실내배양실험법으로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용존무기질소 용출 플럭스를 비교하여 보았다. 통영 어류 가두리양식장, 여수 어류 가두리양식장, 완도 전복양식장에 대하여, 퇴적물 산소요구량을 측정하여본 결과, 현장배양법은 116, 34, $31\;mmol\;O_2\;m^{-2}\;d^{-1}$, 실내배양법은 52, 17, $15\;mmol\;O_2\;m^{-2}\;d^{-1}$이었고, 용존무기질소 용출 플럭스의 경우, 현장배양법은 7.18, 7.98, $1.78\;mmol\;m^{-2}\;d^{-1}$, 실내배양법은 3.33, 3.74, $1.96\;mmol\;m^{-2}\;d^{-1}$로, 현장배양법이 실내배양법보다 약 2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양식장에 따른 물질 플럭스를 살펴봄으로서, 양식장아래 퇴적물-수층 경계면에 대한 두 가지 물질수지 계산 방법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조선총독부 청사 실내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Buildings)

  • 이근혜;오인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20
    • /
    • 2007
  • Modern architecture does a role in terms of connecting traditional and current architecture. In the same time, Which is important part of korean architecture history because of introduction of western architecture. Accordingly, At this meaninglessly going out and leaving of modern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stematic researching of 'Cho-sun government-general' interior which is disappeared. I progressed this study to research into the period context at construction of Cho-sun government-general md tendency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at that time. And then understand interior space organization of it. Cho-sun government-general adopted Neo-Baroque style from tendency of that time. Also, showed composite order which is mixed in the Greek temple, the Renaissance and the classic style representing the power. This characteristic is different from current composit order, which is comprehended by our. In order to understand aesthetic value of current straight interior space, It have to be interacted the present and past. But It's averted because it was made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We should explore history of interior design that is endowed with sociality and historicity between modern and future interior space as well as current.

자연산과 양식산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정소의 생식소발달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ale Gonadal Development between Wild and Cultured Yellow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조윤정;유수향;박철우;김종욱;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0-135
    • /
    • 2020
  • 양식업에서 인기 있는 어종 중 하나인 동자개를 자연산과 양식산을 구분하여 생식소 발달을 관찰하였다. 자연산과 양식산 동자개는 2018년 4월에서 10월에 채집하여 수컷의 생식소 지수, 비만도지수 및 생식소 발달을 연구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된 월별 생식소 발달과 GSI를 기반으로 생식소 발달 단계는 자연산과 실외 사육장은 4월 성숙기, 5월 산란기, 6월에서 7월 퇴화기, 8월에서 10월 휴지기로 관찰되었다. 실내 사육장은 4월에서 6월까지 성숙기, 7월에서 8월 산란기, 9월 퇴화기, 10월 휴지기로 구분되었다. GSI 값은 자연산과 실외 사육장은 5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실내 사육장은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차이를 보였다. CF는 자연산과 양식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연산은 6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실외 사육장은 11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실외 사육장 동자개 수컷을 인공 수정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자연산 생식주기와 같은 5월에 인공 수정을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실에서 사육한 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의 식성과 성장 (Feeding Habits and Growth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Reared in the Laboratory)

  • 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1-133
    • /
    • 1988
  • 고가의 식품으로 이용되는 말똥성게의 생식소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 연안의 말똥성게 자원은 계속 감소하고 있어 이 종류에 대한 양식 기술개발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똥성게를 실내에서 양식할 경우 먹이로서 신선한 해조류를 대치할 수 있는 육상식물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6종류 (미역, 구멍갈파래, 지충이, 개지누아리, 모자반, 곰피), 육상식물 5종류 (시금치, 상치, 무우잎, 배추, 케일), 동물성 먹이 2종류 (바지락. 쇠고기)를 대상으로 말똥성게의 선택적 및 비선택적 식성과 영양 효과를 비교한 결과, 말똥성게의 먹이로서 육상 식물의 이용이 가능하였다. 미역을 공급한 경우 말똥성게의 체중의 성장은 가장 높았으나 생식소지수는 시금치, 무우잎 또는 상치를 공급할 경우가 미역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시금치와 무우잎의 공급은 생식소가 성장하는 계절에 적합하고, 각이 성장하는 시기에는 상치 또는 배추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무우잎은 식용으로 이용하지 않고 버려지므로 무우잎을 이용한 말똥성게의 양식은 매우 경제적일 것이다.

  • PDF

2021년 서해권역 실내 바이오플락 양식기술(Bioflocs Technology)로 사육한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 병원체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cific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Pathogens Cultured with Biofloc Technology on the West Coast of Korea, 2021)

  • 계현정;김수경;강희웅;정현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33-139
    • /
    • 2023
  • The advantage of biofloc technology (BFT) in aquaculture is in the prevention of pathogenic transmission. In this study, we performed an investigation on viral, bacterial, and microsporidian parasite infections targeting a total of 194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reared in seven BFT-farm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n 2021. Hepatopancreatic and cuticular epithelium and pereiopods tissues of shrimp were tested for the four pathogens, Enterocytozoon hepatopenaei (EHP), Vibrio parahaemolyticus causing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disease (VPAHPND),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nd hepatopancreatic parvovirus (HPV). The microsporidian parasite EHP was detected in the hepatopancreatic tissue of BFT whiteleg shrimp in the Ganghwa region, whereas no other pathogenic bacteria or virus was detected on the shrimp in the seven BFT-farms. As a result of bacterial flora in the rearing water of BFT whiteleg shrimp using DNA microbiome technology, V. chemaguriensis and V. alfacsensis were contained at 0.05% and 0.01%, respectively, but no VPAHPND was detected.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a basis for supporting safe BFT-aquaculture of whiteleg shri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