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활 습관,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 및 지하수 내 라돈 농도 따른 실내 라돈 농도 영향 모델

Affected Model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Based on Lifestyle, Greenery Ratio, and Radon Levels in Groundwater

  • Lee, Hyun Young (Department of Statistics, Clinical Trial Center, Ajou University Medical Center) ;
  • Park, Ji Hyun (Department of Mathematics, Ajou University) ;
  • Lee, Cheol-Mi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
  • Kang, Dae Ryong (Center of Biomedical Data Scienc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7.10.13
  • 심사 : 2017.11.20
  • 발행 : 2017.11.30

초록

라돈 및 그 자손은 폐암을 일으키는 환경적 위험인자로, 일상 활동 및 수면 등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실내 라돈 농도 관리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거지를 둘러싼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라돈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를 찾아내고, 이를 활용한 포괄적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건축 자재 및 생활 양식을 포함한 주거 환경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고, 의사결정트리 및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 불 투과성 층 비율, 주택과 지면의 맞닿은 상태, 매일 환기 습관, 난방 습관, 측정 장치 주위의 균열 및 침실여부는 실내 라돈 농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매일 환기 습관을 가질 경우 실내 라돈 농도가 $200Bq/m^3$ 이상인 비율이 11.6%로 줄었다. 한편 매일 환기습관이 없는 주거자의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이 65% 이상이면 매일 환기 습관이 있는 주거자와 비교하여 15.3%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구축된 포괄적 모델의 실내 라돈 농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과 환기율이었다. 제시된 모델로 국내 라돈 농도에 대한 개인의 지리적 특성, 지하수 및 생활 양식 요소의 결합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Radon and its progeny pose environmental risks as a carcinogen, especially to the lungs.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nd models thereof are needed to prevent exposure to radon and to reduc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model thereof. Method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obtain data on residential environments, including building materials and life style. Decision tre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o predict residences at risk for higher radon concentrations and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model. Results: Greenery ratio, impermeable layer ratio, residence at ground level, daily ventilation, long-term heating, crack around the measuring device, and bedroom were significantly shown to be predictive factors of higher indoor radon concentrations. Daily ventilation reduced the probability of homes hav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geq}200Bq/m^3$ by 11.6%. Meanwhile, a greenery ratio ${\geq}65%$ without daily ventilation increased this probability by 15.3% compared to daily ventilation. The constructed model indicated greenery ratio and ventilation rate directly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Conclusions: Our model highlights the combined influences of geographical properties, groundwater, and lifestyle factors of an individual resident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Korea.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Ministry of Environment

피인용 문헌

  1. A Deterministic Model for Estima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vol.16, pp.18, 2019, https://doi.org/10.3390/ijerph16183424
  2. Residential Radon Exposure and Cigarette Smoking in Association with Lung Cancer: A Matched Case-Control Study in Korea vol.17, pp.8, 2020, https://doi.org/10.3390/ijerph17082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