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소음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39초

측음 및 주위소음과 송화 음성레벨과의 상관

  • 강경옥;강성훈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6권3호
    • /
    • pp.101-109
    • /
    • 1991
  • 전화통화시, 송화측음에 따른 송화자의 음성레벨의 변화와 송화시 전화기를 통한 실내소음에 따른 음성레벨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송화자는 항상 자신의 귀로 되돌아 오는 음성의 심리적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모니터 기능을 보여, 측음의 크기와 송화시 실내소음의 크기에 따라 자신의 음성레벨을 제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음질평가를 통한 고속철도 실내소음의 객관적, 주관적 특성 분석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for Interior Noise of High Speed Train)

  • 박준홍;박범;김동규;최성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0-510
    • /
    • 2010
  • 우리나라에서 고속철도는 이미 중요한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가 되었으며 향후에도 운행구간을 확대할 예정인 만큼 승객수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승객수가 증가하는 만큼 정숙한 실내환경의 조성 또한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철도차량 소음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철도 외부에서 방사되는 소음에 한정되어 있으며 철도차량의 내부 소음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환경소음에 대한 규정은 음압레벨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 사람이 소음에 대하여 느끼는 청감특성을 나타내기에는 음압레벨만으로는 부족하다. 사람의 청감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음질(Sound Quality)평가의 방법에 대해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운행중인 고속철도 실내 소음의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음압레벨과 loudness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Zwicker parameter과 ACF, IACF 분석을 통하여 객관적인 음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청감실험을 통하여 주관적인 음질평가를 수행하여 청감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객관적 평가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도로교통소음으로 인한 박물관 전시실의 실내 소음레벨 예측 및 평가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Indoors Noise Level of Exhibition Room in Museum by Road Traffic Noise)

  • 이국현;박영지;김재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787-794
    • /
    • 2010
  • 최근 자동차 보급률과 물동량의 급증으로 인해 도심에서 교통소음은 정온함을 목적으로 하는 전시 및 관람시설의 음환경을 저해하는 중요한 인자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불만족이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전시 및 관람시설의 경우 설계단계에서부터 교통소음에 대한 영향평가를 실시하여 전시실 내외부의 소음에 대한 만족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설계단계에 있는 건축물의 경우 교통소음으로 인한 실내소음레벨을 측정할 수 없어, 지금까지는 질량법칙을 토대로 한 벽체의 투과손실 식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건립 후 실내 소음레벨을 측정해 보면 설계단계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개관 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인접한 민속박물관 전시실의 실내소음도 평가를 위해 실측한 자료를 토대로 차음벽체의 투과손실과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실내흡음력을 산정하여 실내 소음레벨을 예측 평가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이와 비슷한 전시시설 건립 시 실내소음도의 예측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차 외부 공기음향 소음원들의 실험적 실내 기여도 분석 기술 개발 (Experimental contribution analysis of external aeroacoustic noise sources to interior noise of automobile)

  • 이명한;이강덕;황선길;김용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00-308
    • /
    • 2018
  • 자동차 실내음에 대한 다양한 외부 공력 소음원들의 기여도 분석은 저소음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해 단순히 외부 공력 소음원들을 파악하는 것보다 개발 효율성 측면에서 더 중요하다. 파악된 외부 공력 소음원들의 실내음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촐레스키 분리(Cholesky Decomposition, CD) 방법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활용하여 전체 실내 소음 스펙트럼을 다수의 스펙트럼으로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분리된 각각의 스펙트럼은 실내 소음에 대한 특정한 개별 소음원들의 기여도로 분석될 수 있다. 이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세가지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더 나아가 CD에 기초한 실내음 기여도 분석 방법은 실차 무향 풍동에서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한 외부 소음원 가시화 결과와 결합하여 바람소리 개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이 가능한 지를 2개의 스피커 소음원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음향기기 사용에 따른 음향반사역치와 소음 속 어음인지 변화 (Changes of Acoustic Reflex Thresholds and Speech-In-Noise Perception Using Personal Listening Device Under Subway Interior Noise)

  • 한우재;전현지;마선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8-145
    • /
    • 2015
  • 환경 소음의 무절제한 노출이 청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는 익히 알려져 있지만, 지하철 실내 소음과 휴대용 음향기기 음량에 따른 이중 소음 노출에 대한 탑승객들의 청력 손실 여부는 많은 연구들에서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지하철 실내 소음 하에서 탑승객들이 이어폰을 이용하여 개인음향기기 사용 시 음향 반사 역치와 소음속 어음인지도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20대의 젊은 건청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험 그룹과 대조그룹으로 각각 20명씩 구분하였다. 실험 전 모든 대상자에게 5개의 주파수에서 음향반사역치검사와 0, -5 dB SNR에서 문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그룹은 60분간 73.45 dBA의 실제 서울도심지하철의 평균 실내 소음 강도를 들으며 개인별 선호 음량으로 이어폰을 통해 좋아하는 음악을 들었고, 대조그룹은 동일강도의 지하철 소음에만 노출된 채 신문 혹은 잡지를 읽었다. 60분간의 지하철 소음 노출 후 음향반사역치검사와 소음 속 문장검사를 재실시하여 기준선과 비교하였다. 소음 노출 전 후 비교 시, 두 그룹 간 음향반사역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음 속 문장 검사결과에서는 실험 그룹의 어음인지도가 소음 노출 후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본 결과를 근거로 지하철 탑승객이 일정기간 동안 지하철 실내 소음에 노출된 채 반복적으로 음악을 듣는 습관이 지속될 시 일시적인 어음인지력 저하의 위험이 예상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콘크리트 궤도 터널 내 KTX 차량의 실내소음 특성 분석 (Analysis of Interior Noise for KTX in Tunnel with Concrete Track)

  • 김재철;이찬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수송기계편)
    • /
    • pp.25-28
    • /
    • 2005
  • The interior noise of KTX in tunnel is becoming the problem since the commercial operating in April 2004. The major sources of interior noise for High speed train ate known as the aerodynamic noise and rolling noise generally. We measure the noise and vibration inside KTX in tunnel in order to find the cause of the interior noise of KTX.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interior noise of KTX in tunnel with concrete track is increased sharply by a low frequency below 80Hz that i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KTX carbody. We know that the booming noise inside KTX in tunnel with concrete track is generated by aerodynamic noise outside ganqway and rolling noise at the carbody natural frequency.

  • PDF

다구찌 직교배열을 이용한 승용차의 실내소음 분석 및 개선 (Analysis and Improvement of Interior Noise in a Passenger Car using Taguchi Orthogonal Array)

  • 김명업;이두호
    • 소음진동
    • /
    • 제9권5호
    • /
    • pp.998-1004
    • /
    • 1999
  • The passenger car manufacturer should meet more and more strict requirements of customers on noise and vibration problems. It is proven that the Taguchi method is a powerful tool for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in many areas. This paper employs the Taguchi method to reduce low-frequency booming noise in a passenger car. Selection of object function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interaction effects in the Taguchi method. We select logarithmic-scaled sound pressure level as an object function, which is commonly used to analyze the noise and vibration signals. The optimum noise level predicted with additive-model assumption agrees well with the test results. In addition, the optimum level is lower than the initial one by about 5 dB without any adverse effe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aguchi method can be applied efficiently to solve the noise problem in the passenger cars.

  • PDF

고속열차의 차간 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실내소음 특성 분석 (Noise generated from the inter-coach spacing of a high-speed train)

  • 최성훈;박준홍;박찬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49-1452
    • /
    • 2006
  • When fluid at high speed flows over an open cavity, large acoustic pressure fields inside the cavity are produced by fluid/structure interactions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cavity. The inter-coach spac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the aero-acoustic noise of a high-speed train. This noise can usually be heard as low frequency structure-borne noise inside the train.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d-flap length on the aeroacoustic noise generation inside high-speed trains. Results of the measurement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inter-coach spacing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gap. Also investigated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urbulent flow after the inter-coach spacing and consequent generation of the aeroacoustic noise inside the cabin.

  • PDF

한국형 고속전철(KHST) 실내소음 설계기준을 위한 주요 소음원의 허용소음도 (The allowable sound levels of major noise sources for the indoor-noise requirements of KHST)

  • 조국래;이우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15
    • /
    • 2001
  • It is required that the indoor-noise level of KHST (Korean High Speed Train) should be lower than 66 dB(A) at 300 km/h. In this study, the indoor-noise level of KHST has been predicted to determine the maximum allowable sound power levels of major noise sources. It is found that the indoor-noise requirements for KHST can be met b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losses of the floor and side-wall structures as well as by lowering the sound power levels of the major noise sour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