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공간 계획요소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실내 공간 분석을 위한 보행 공간관계 모델 (Navigable Space-Relation Model for Indoor Space Analysis)

  • 이슬지;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75-86
    • /
    • 2011
  • 실세계의 도시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은 도시계획과 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작업이다. 또한 무선인터넷 발달과 함께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증가로 많은 3차원 도시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도심지역의 경우에는 초고층 건물들의 밀집으로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공간 모델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공간 모델을 통해서 최단경로 등의 공간 분석이 통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된 3차원 도시모델들은 피처 모델로, 기본요소들(primitives)을 조합하여 공간을 표현하고, 관계성은 공유하는 기본요소들을 찾아야지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3차원 공간 객체들 사이에서는 관계성을 정의하기 힘들다. 따라서 최단경로와 같이 공간간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도출되는 공간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공간간의 관계성 표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3차원 실내공간간의 관계성을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인 보행 공간 관계 모델을 개발하였다.

친환경인증아파트 단위주거의 친환경적 계획요소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friendly features in the unit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d Apartment)

  • 이송현;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50-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eature in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d apartments and to use the basic planning data of housing. Seven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d apartments have been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eatures are categorized into 4 items; floor planning feature, material planning feature, universal planning feature and environmental planning feature. Among floor planning features, natural sunlight, built-in closets, and differentiated floor plans are well considered, but the flexible floor plan for resident's lifestyle and green space are lack. Among material planning features, environment-friendly finishing materials,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energy-efficient double-pane windows are well considered, but implementation for resource savings using recycled materials are lack. Among universal design planning features, removal of threshold and installation of safety device in bathroom are not well considered. Among environmental planning features, usage of alternative energy like solar energy are not applied.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eatures in interior space should be introduced in diverse ways.

기혼여성의 주거공간 선호색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Color of married Women in the Housing Space)

  • 김순미;서지은;안옥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4
    • /
    • 2008
  • 본 연구는 거주자를 고려한 색채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주거공간의 색채계획 실태와 선호하는 색채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자들은 마감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한 가지 요인보다는 여러 가지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다. 둘째, 주거공간에서 색채는 실내분위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재 거실공간과 부부침실의 경우 천장과 벽의 색상(Hue)은 N(흰색)계열이었고, 색조(Tone)는 밝은 톤으로 마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색채계획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실공간과 부부침실에서 가장 선호되는 마감색채는 현재의 것과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현재 마감된 색채보다는 색채종류가 더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쇼핑몰의 야외성 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공용공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Sense of Outdoor Characteristics on the Shopping Mall Planning -Focusing on Common Space Comparison-)

  • 조훈희;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57-566
    • /
    • 2018
  • 현대 사회의 상업시설 중 쇼핑몰은 소비자의 집객과 매출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형 쇼핑몰과 인클로즈드형 쇼핑몰의 공용공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야외성의 표출을 위한 건축계획적 특성을 비교하여 사례별 쇼핑몰의 야외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발현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복합적으로 집약되어 있는 쇼핑몰의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보다 쾌적한 공간계획을 위한 건축계획적 기초 연구의 토대가 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클로즈드형 쇼핑몰 공간의 경우 오픈형 쇼핑몰에서 가지는 외부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대규모 실내 공간의 구축을 통하여 야외성을 추구한다. 둘째, 인클로즈드형 쇼핑몰의 공용공간 구성방식은 기능적 가로 구성과 유기적 가로 구성의 구성으로 구분되며 입지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구성방식을 활용한다. 또한 공용공간은 실내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지하 선큰, 내부 중정 등과 연계되어 공간의 확장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인클로즈드형 쇼핑몰의 건축계획적 요소들은 오픈형 쇼핑몰에서 보이는 일상성의 개념에 따라 공간의 정체성을 만들어 가며, 대규모 실내 이벤트를 위한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특징이다.

라움플란의 단면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주거공간의 경계요소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ecialty of sectional design by Raumplan -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Boundary Elements of Residential Space-)

  • 서동현;이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1-175
    • /
    • 2004
  • This study aims at the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ectional design by Raumplan through the analysis of his 12 houses in which his architectural design concept is clearly showed. The analysis proceeded through 12 sectional drawings, because of Raumplan is originated from the spatial concept which is dividing spaces with various differences of horizontal level.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ree characteristics of sectional design by Raumplan which is to present : 1) Free horizontal variation by different level 2) Spatial division by splitted wall 3) Horizontal & vertical refraction of viewpoint & movement These characteristic seems like to including his intention to put into the various human behaviour in residence, it can be spatial clue to solve existential experience of 'homelessness' which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of modern times.

  • PDF

도서관 공간구성과 스페이스프로그램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Space Program and Library Spatial Configuration)

  • 고재민;조현양;고흥권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9-166
    • /
    • 2014
  • 국민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복지실현의 핵심 요소로 도서관이 인식되면서 공공도서관의 수가 2000년대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1980년에 79개관에 불과했던 전국 공공도서관이 2013년 말 기준으로 885개관에 이르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공간구성에 대한 이용자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디지털열람실과 문화교육실의 증가는 2000년 전 후의 변화에 따른 시사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 공간구성 비율에서 벗어나 시대에 적합한 도서관 공간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1980~1990년대 준공된 공공도서관과 2000년 이후 설립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대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형태를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장서보존과 열람 기능이 강조되었던 1980~1990년대와 이용자의 측면을 고려하여 문화영역 기능이 확대된 200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의 소요시설별 면적비율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시대요구와 부합할 수 있는 면적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초고층 주거의 친환경적 실내 공간 계획 및 개선방안 연구 - 친환경 건축 인증 제도에 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Space Planning of High-rise Residences in Korea - focuesd on the case analysis by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 -)

  • 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3-33
    • /
    • 2008
  • After the concept of apartments was introduced in 1960s in Korea, on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science, high-rise residences in Korea are getting higher, and these residences have been becoming high-rise commercial/residential buildings since 1990. Nowadays, as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commercial residential building complex is boo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complex and high-rise apartments is getting smaller, and these two kind of high-rise residences are becoming new residential style in Korea. And these high-rise residences are considered the symbol of wealth owing to the marketing strategy emphasizing high quality, refined interior, a fair view,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However, high-rise residences bring about many problems related to health and psychology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a large amount of energy, pollutant emission,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indoor air, and vibration.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environment-friendly access to provide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housing life in high-rise residences, and find the method to improv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and health of residents in interi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tect the problems and the items to be improved of interior spaces of high-rise residences by quantitativ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 floor planning elements deduced from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certification in Korea and the other countries, and suggest the guideline to improve the environment-friendly quality of these interior spaces.

지하공간의 문화적 활성화를 위한 실내 환경계획요소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lements of Interior Environmental Planning for Cultural Vitality of Underground Space)

  • 이효창;한정호;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34-242
    • /
    • 2010
  •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use of spatial resources in the city, detailed environmental plan strategies based on 'culture' are needed. An integral part of city spaces-'underground space' serves as one of the spatial resources with much effective usage potentials. Hence, 'underground space' needs cultural vi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thorough indoor environmental plan guideline for the cultural vitality of 'underground space'. The methods used to conduct research include precedent study reviews and survey. Through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o promote cultural vitality at the 'underground space', it must be transformed into the cultural public place to be utilized for cultural activities by residents. Second, the 'underground space' requires 'concept of eco-friendly space for clean environment'. Third, 'safe environment' concept must b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ace' to promote the cultural vitality. Fourth, the 'underground space' requires 'complex/block level network plans between cultural spaces in addition to horizontal/vertical walking network between cultural environments in ground level and underground spaces. Fifth, the 'underground space' requires underground public cultural space plan through 'reasonable underground development with considerations of the facilities related to education, culture and history'. Sixth, 'public cultural space plan for various cultural spaces' and 'supply of space for cultural activities for residents and design plan for mutual culture exchange' are necessary.

공간데이터 LOD 기반 3차원 대용량 객체의 경량화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Lightening Algorithm of 3-Dimensional Large Object based on Spatial Data LOD)

  • 나준엽;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1-9
    • /
    • 2013
  • 최근 건설정보가 CAD에서 BIM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GIS 분야는 기존 실외공간에서 실내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정보를 GIS와 연계하여 계획 설계 시공의 건설단계는 물론 건설 후 유지관리 및 운영 서비스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건설정보와 공간정보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BIM-GIS 상호운용 플랫폼을 구축함에 있어 대용량 3차원 공간객체의 효율적 표현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공간객체를 표현함에 있어 각 레벨별 공간객체와 이에 따르는 텍스처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BIM 데이터와 GIS 공간 데이터의 연계활용을 위한 공간데이터 LOD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의 대용량 공간객체를 경량화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백화점 옥상공원의 계획요소 중요도 및 구성 공간과 시설에 대한 선호도 조사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and the Preferences for the Spaces and Facilities of Roof-Garden of Department Store)

  • 조재경;이민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32-14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gure the spaces and elements of the roof-garden plan that users regard as important, and to investigate their preferred spaces and facilities, ultimatel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user-directed roof gardens for local resi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argeting roof-garden users in the L department store of Jeollabuk-do. A total of 225 peopl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223 of them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SPSS ver.18.0,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one way ANOVA. The respondents preferred rest space the most, followed by the convenient space, landscaping and green space, and play and exercise space. Teenage students preferred the pool and artificial spaces, such as a fountain, and planned convenient spaces and rest spaces, such as a playground. Cafes and restaurants, chairs and tables, and walking trails should be considered for single women in their twenties. Due to the high population of married couples in their thirties, the preference for play facilities and safety facilities was higher than in other groups. The well-educated population in their forties, when viewed from their preference for landscaping and green space, requires the opportunity to rest in n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since the study was directed at roof-garden users in a department store in Jeollabuk-do. Howe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user-directed roof-garden plan, since the study was analyzed together with various user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