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내공간 계획요소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초

중요도평가를 통한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 계획요소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Space planning Elements through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 임은영;황연숙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33-149
    • /
    • 2016
  • 2000년 공공도서관에 대한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자료 전용공간이 대다수의 도서관에 마련되었지만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인해 이용자의 다양한 행위를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디지털공간의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문헌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디지털 세대 이용자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정보활동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요도 평가를 위하여 1차적으로 각 기관의 도서관 기준 및 평가지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50개의 요소가 도출되었고 이를 이용자 150명에게 설문조사 하였다. 중요도의 평균값 이상 도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슷한 성격의 요소들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요인별 공간계획요소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계획적요인, 디자인적요인, 심리적요인, 기술적요인 총 4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요인별 디지털공간계획요소들을 평가도구로 하여 차후 공공도서관 공간평가와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구체적인 공간계획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텔레커뮤팅 센터의 실내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선호 조사 연구 (A Study on Preferences for Telecommuting Center Design Criteria)

  • 권미연;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30
    • /
    • 1999
  • Telecommuting becomes a new form of work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erior space planning of telecommuting centers by means of surveying office workers' opin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opinion about whether to use telecommuting center if provided is showed highly positively. In the matter of space type of telecommuting center, 'mixing type I (open plan office but division with high partition)' is the most preferred, the next is 'closed type'. The most preferred type of workstation is 'individual space type ', the next if 'X type' and the third is 'link type'. referred partition height is '1m300-1,500mm'.

  • PDF

설계스튜디오의 특성에 따른 실내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Interior Spac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송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54-463
    • /
    • 2013
  • 본 연구는 건축학과 설계스튜디오 운영실태와 사용자 인식의 분석을 통해 설계스튜디오 실내공간에 대한 개선요소를 제안하였다. 공통적인 개선사항으로 첫째, 개인공간의 명확한 구획이다. 개인공간의 독립성과 영역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가변파티션(movable partition)을 통해 획일화된 구성보다 분반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개인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선호했다. 둘째, 공동공간 면적의 확보이다. 공동작업공간은 스튜디오내 유일한 공동공간으로 용도가 다양하고 유용성 또한 높은 만큼 유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면적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셋째, 개인공간과 공동공간의 명확한 공간 구분이다. 이를 위해 주어진 면적에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변파티션, 공용통로 등의 융통성 있는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유형별 스튜디오의 주요 개선사항으로 개실형은 공동작업 공간 확보, 혼합형은 인접스튜디오의 간섭차단, 오픈형은 수업공간의 별도 계획 등으로 나타났다.

텔레커뮤팅 센터의 실내공간계획요소에 대한 선호 조사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for telecommuting Center design Criteria)

  • 하미경;권미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호
    • /
    • pp.91-97
    • /
    • 1999
  • Telecommuting becomes a new form of work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erior space planning of telecommuting centers by means of surveying office workers' opin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opinion about whether to use telecommuting center if provided is showed highly positively. In the matter of space type of telecommuting center, 'mixing type I (open plan office but division with high partition)' is the most preferred, the next, is 'closed type'. The most preferred type of workstation is 'independent type', the next is 'X type' and the third is 'link type'. Preferred partition height is '1,300-1,500mm'. When planning telecommuting center,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pace plan is 'size and layout of workstation' and the second is 'private space for confidential work'. In public workplace, the most important element 'refreshment space', and the second one is 'mailing system'.

  • PDF

실내공간의 이미지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상업공간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Image Expression of Interior Space)

  • 홍승대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43-250
    • /
    • 1999
  • 실내공간의 구성원리는 비가식적 측면의 '내용'과 가시적 측면의 '형태'간의 결합방식에 의해 결정되며 그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내재하게 된다. 특히 실내디자인에 있어서의 내용은 형식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비가시적인 개념이며, 이는 디자이너가 공간의 사용자에게 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중심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의 구조적, 유형적, 전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지미에 관한 내용을 파악한 후 국내외에 발표된 상업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실내공간에서의 이미지는 디자이너의 초기공간 개념으로써 의미의 심층부를 형성하며 다양한 형태소의 변환규칙에 의해 의미가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내공간의 이미지는 공간의 형식적인 요소에 의해 자연히 발생되는 부가적 개념이 아니라 공간계획의 초기 단계부터 다루어져야 하는 계획개념으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PDF

사례조사법을 이용한 보험회사 사장실 디자인의 인간공학적 접근 (A Case Study on Human Factors Approach to Designing the Executive Office in the Insurance Company)

  • 박희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57-75
    • /
    • 1997
  •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이나 직장에서 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집과 사무실은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 개의 공간인 것이다.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사무실은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신체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게되어 작업능률과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최소화한다. 특히 많은 책임과 권한을 가진 사장들에게 있어서 인간공학적으로 디자인된 환경은 필수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법을 이용하여 미국 Lowa주 주도인 Des Moines에 사무실을 갖고있는 10개 보험회사 사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관찰조사 및 실내공간 스케치를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사무실은 직접적으로 일과 관련된 디자인 부분만 강조되어 있었으며 그들의 많은 시간이 읽기와 쓰기등 시각적인 일에 쓰여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명, 특히 국부조명은 거의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상담이나 접견과 같은 활동을 위한 가구의 선택이나 실내공간계획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사용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심리적, 생물학적 요구사항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디자이너는 좀더 사용자 위주의 공간계획을 해 나가야 할 것이며 각각 다른 사무실특성, 기능, 인간관계. 특히 종업원과의 관계, 사업종류 등을 명확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 PDF

주거를 겸한 업무공간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Design Space for both Working and Living)

  • 황복득;유수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2-8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space for both living and working. This research, is based on research, well known throughout the world, that are related to the design of space for both working and living. In addition the fundamental data, which I used, are also basically focused on putting practical use to the space. With that goal in mind, the research has been prov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means. Firstly, common theories about space for working and living were studios. Secondly, patterns and elements that makeup space for those kinds of places were investigated. Thirdly, the nine example places, that have been chosen were analyzed in order to outline, the space types, the elements that makeup the space and problems posed. Finally, the solution found that will resolve the problems exposed, has been presented.

  • PDF

디자인 계획요소로 본 컴팩트 시티형 복합용도시설의 공공공간 - 센트럴 시티, 코엑스, 웨스턴돔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Elements for Public Space in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 Focused on the Central City, COEX and Western Dome Facility -)

  • 김선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26-135
    • /
    • 2010
  • As public space such as plaza and square in the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is a social public space that various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take places in city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ategorize the design elements as a valuation basis for the public space in the compact city type multi-use complex. The scope of content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entral City, COEX and Western Dome facilities in Korea. This study review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about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131 users of three facilities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follows accessibility, comfort, exchange were extracted as the aspects for evaluation for functional activity and connection, openness, hierarchy were extracted as the aspects for evaluation for space formation. The K facility's priority aspect is the accessibility and the S and the W facilities' are the openness.

친환경 인증아파트의 실외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 of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actor in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ertification)

  • 이송현;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2006
  •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have emerged worldwid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Policy has been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factors in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ertification. Six multi-family housing in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ertification have been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ile outdoor planning factor is focused on building arrangement and ecological environment, its application in building material and environment plan is inadequate. In ecological environment, various green planting systems such as green zone and plant inhabitation area are utiliz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