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실과교과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초

실과 및 기술.가정 교과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Recognition on the Optim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in Practical Arts or Technology.Home Economics)

  • 백성희;한영숙;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7-11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초, 중, 고등학교 실과(기술 가정) 담당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의생활 교육의 실태와 실과(기술 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실과 및 기술 가정교과의 의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03 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Oneway-ANOVA와 사후검증 Dunca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실습실 설비 실태는 초등학교의 경우 24%이고 중학교 97%. 고등학교 78% 정도였다. '재봉틀 다루기'가 나오는 초등학교에 75%정도가 재봉틀이 없어 사용하지 못하였다. 둘째. 실과(기술 가정) 의생활 교육내용의 학습량에 대해 50%의 교사들이 적당하다고 하였으며 그 중 초등학교 교사는 '재봉틀 다루기'를, 중학교 교사는 '반바지 만들기'를. 초등학교 교사는 '식탁보와 커튼 만들기'와 '베개커버나 가방 만들기' 등 실습 내용에 대해 학습량이 많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실과(기술 가정)의 의생활 교육내용 내용수준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체적으로 보통으로 인식하였는데. 그 중 초등학교 교사의 80%는 '재봉틀 다루기'와 '쿠션이나 방석 만들기'의 내용을 어렵다고 인식하였고, 중학교 교사는 특히 '여러가지 옷감의 종류'와 '반바지 만들기'의 내용을, 고등학교 교사는 '식탁보나 커튼 만들기' 등 실습관련 내용을 어렵다고 하였다. 넷째 실과(기술 가정) 의생활 교육내용의 중요도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는 '손바느질의 기초바느질 익히기'와 '손바느질로 주머니 만들기'를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쿠션이나 방석 만들기'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중학교 교사는 '반바지 만들기'를, 고등학교 교사는 '식탁보와 커튼 만들기'와 '베개커버나 가방 만들기'와 같이 실습을 주로 하는 교육내용의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의생활 수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실습실과 재봉틀 등 설비를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실과 의생활 교육내용요소 중 학습량이 많고. 내용수준이 어려우며,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한 재봉틀 사용에 관한 교육내용은 이수 학년을 이동하거나 삭제 또는 쉽게 재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실과(기술 가정) 의생활 교육내용 중 학습량, 내용수준, 중요도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나타난 것이 주로 실습활동내용이었다. 따라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적정화를 위해서는 의생활 실습활동내용을 학생의 활동을 위주로 하여 학생의 생활과 익숙한 경험을 중심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 PDF

2015 개정 초등 소프트웨어교육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내용 분석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1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교육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에 포함된 소프트웨어교육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프트웨어교육이 갖는 특징을 탐색해보고 향후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부에서 제시된 다섯 개의 성취기준은 교과서에 따라 17차시 또는 18차시로 교육시수가 각각 다르게 배정되어 있으며 교과서에 따라 절차적 사고와 관련된 언플러그드 활동과 컴퓨터 과학과 관련된 언플러그드 활동이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실04-09]와 [6실04-10] 성취기준은 내용 구성 방식이 교과서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 소프트웨어교육이 학교현장에 안착되고 지속적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6종 교과서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이 이루어지는 후속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 실과수업 기피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disli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classe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
    • /
    • 2012
  • 본 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수업 기피요인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이 실과수업에 보다 적극적이고 즐겁게 참여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73명의 개방형질문에 대한 응답과 초등학교 교사 5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NViv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생 자료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고, 학생 자료 분석을 통해 얻게된 변수를 중심으로 교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과수업 기피요인 중 외적 요인에는 수업운영, 수업내용, 교수자료, 교사특성 등이 있었고 그 중 실습기구 부족이나 실과실 관련 문제와 같은 교수자료에 대한 언급이 제일 많았다. 내적 요인에는 기대에 대한 불만, 교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생 흥미 및 능력, 불안이 있었다. 둘째, 실과전담교사 유무에 따라 다른 기피요인을 살펴본 결과, 실과전담교사가 있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수업운영 및 내용, 교사특성에 대한 응답을 많이 하였으며, 실과전담교사가 없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실과실이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많이 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기피요인 중에서 실습기구 및 시설 부족, 실습할 기회가 적어서, 불안 등은 교사 면담에서도 공통된 내용과 맥락적인 설명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2015 개정 실과교과서의 로봇교육 체제 분석 (The Analysis of Robot Education Unit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9-10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실과교과서의 로봇 교육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교과서는 도입, 전개, 정리의 공통 체제를 지니고 있었고, 모두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었다. 학습목표는 모든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었으나, 인지, 기능적인 목표 이외에 정의적인 목표는 제시되지 않았다. 로봇 학습 내용은 로봇의 의미와 종류, 로봇의 구조와 센서, 로봇 만들기 활동을 제시하고 있으나 로봇 윤리, 다양한 로봇작품 제작 및 활동, 문제해결과정에서 로봇활용 등의 내용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조립형 로봇과 적외선 센서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체험활동에 로봇제작 및 제어 실습자료 제시, 평가하기를 통한 단원 정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 C, F교과서에서는 단원보조자료 등도 제시하고 있다. 추후 로봇 한계 인지, 올바른 사용 원칙, 안전교육, 개인정보 및 사생활보호 등의 설계·제조자와 사용자 중심의 로봇윤리 교육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 구조기능론과 건강가정 관점에서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ractical Arts.Home Economics Textbooks :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 김자영;조병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7-153
    • /
    • 2008
  •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in the 7th Curriculum from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A quantitative and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five elements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communication, dating and pregnancy. A healthy family Perspective was found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family type and family role from the in-depth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the five elements reflected a strong structural-functionalist tendency. In both levels,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a structural-functionalist viewpoint was prevalent in the graphical components of the textbooks, including pictures, diagrams and graphs.

초등 실과,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The Connection Analysis on the Areas of Clothing and Textiles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 Courses)

  • 이은주;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4
    • /
    • 2007
  • 초 중 고등학교 실과, 기술 가정, 가정과학 교과의 '의생활'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의생활'영역을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여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의생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 각 1종 교과서와 중학교 2학년과 고둥학교 1학년의 기술 가정 각 8종 교과서 및 고둥학교 가정 과학 3종 교과서로 총 21종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연계성은 내용 분석결과 '의생활'영역을 6개 영역, 48개 하위 세부영역으로 분류한 뒤 내용의 계속성과 계열성이 지속적일 때 발전으로, 계열성이 고려되지 않은 계속성은 반복으로, 계속성이 고려되지 않은 계열성을 격차로, 계속성과 계열성 모두 결여된 것을 축소로 보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복 차림과 의복 관리 영역의 연계 정도는 축소된 내용이 46.1%와 44.5%로 가장 맡았다. 의복 계획 영역의 연계 정도는 발전된 내용은 없고 반복된 내용이 83.3%로 가장 많았다. 의복 재료 영역은 격차와 발전된 내용이 각각 55.6%와 44.4%로 나타났다. 의복 구성 영역은 발전된 내용이 50%로 가장 많았다. 진로 탐색영역은 발전이 100%로 나타났다. 초등 실과와 기술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전반적 수직적 연계정도는 발전된 내용이 29.2%로 가장 많았고, 축소와 반복된 내용이 각각 25%, 격차를 나타낸 내용이 20.8%로 나타났다. 발전된 내용이 반복, 축소, 격차가 이루어진 내용보다 많으므로 어느 정도 연계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으나 학년 간 연계의 발전 정도가 현저히 높지 않기 때문에 교육내용의 수직적 연계가 매우 적절하다고 보긴 어렵다. 따라서 '의생활'영역에 대한 연계성 분석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향후 교과과정의 방향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가정생활' 분야의 연계성 및 중복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nectivity and Duplication of Curriculum Content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s on 'Family Life' Contents Area of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윤지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연계성 및 중복성의 준거유형을 개발하여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의 초등 및 중등의 '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연계성 및 중복성을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 구조화의 원리가 초·중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계성과 중복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연계성과 중복성의 준거 유형들을 개발하였다. 연계성은 '분절된 위계형'과 '나선의 위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복성은 '반복형'(상), '재현형'과 '심화형'(중간), '치환형'과 '생략형'(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간 정도의 중복성을 보일 경우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고 내용을 비교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심화형 중복성을 나타내어 높은 연계성을 보이며, '가정생활과 안전'에서는 '안전' 개념이, '자원관리와 자립'에서는 '생애설계' 개념에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초등에 비해 중등의 '가정' 내용은 난이도와 교과 내용의 양의 증가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심화형 중복성을 보이며 연계성이 높아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으나 '가정생활' 분야의 핵심 개념 가운데 '안전'과 '생애설계'는 학교급 간의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고 '생활문화'와 '관리'는 중간 정도의 연계성을 보이며 '발달'과 '관계'는 높은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조화 할 때는 초등과 중등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과와 기술·가정 각각의 학교급별 교과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특성들을 고려한 핵심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해야 하고, 적정한 분량 및 난이도를 고려해야 하며, 적정한 내용 중복의 정도를 고려해야 하고, 동일 학교급 내에서 동일 주제의 반복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Piaget의 인지발달론에 기초한 국민학교 실과교과 내용분석(I) -만들기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Practical Cours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5
    • /
    • 199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killful subject and living subject, and to discriminate the suitability of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for the childrens’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is work could serv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presents practical experiences which lead the development of logico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shows that create activities develop the logico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such as projective geometry, topology geometry, area conservation, length & distance conservation, and volume & mass conservation. And the most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 subject are suitable for the childrens’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 PDF

초등 컴퓨터 프로그래밍 관련 창의성 교재 개발 방안 (Method of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 about Computer Programming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 정원희;김종진;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7-205
    • /
    • 2004
  • 요즘 과학, 수학 교과 등은 기초 교육 강조는 물론 창의성 교육에까지 관심을 가지고 있다. 7차 교육과정의 등장과 사회의 변화 흐름을 통해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고, 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컴퓨터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창의성과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를 배우는데 도움을 주는 교과로서의 역할만을 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활용 교육이 이루어짐에 따라 저학년에서 고학년까지 유사한 내용의 교육을 반복해서 받는 경우가 생기고, 특히 5, 6학년은 실과 시간과 재량 시간의 교육 내용이 서로 중복되어 교육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인 초등학교에서부터 창의적인 컴퓨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프로그래밍 관련 교육을 살펴보고, 초등 컴퓨터 창의성 향상 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관련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초등학교 컴퓨터 독립교과 적용을 위한 현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찰 (Problems and Improving Measures for Computer Curriculum for the Application of Independen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 이미숙;김갑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1-50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컴퓨터 교과는 아직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과로써의 체계마저도 불분명하다. 지금까지 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통신기술교육이라는 이론으로 양적 팽창에만 치중해 왔으며 초등학교에서는 재량 활동으로 컴퓨터 교육을 의무화 하고 있지만 그 학습 내용은 교사의 재량에 의해 편중되는 경향을 보여 국민공동기본교육의 목적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컴퓨터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초등학교에서 컴퓨터를 독립교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컴퓨터 교육을 정보통신기술교육의 교육과정, 컴퓨터 재량활동, 실과의 컴퓨터 관련단원으로 분석 대상을 나누어 문제점 알아보고,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를 동해 이를 검증하였으며,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과 비교하고 교사와 아동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현실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