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체측정

Search Result 1,37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lationship of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Ultrasound Bone Densitometry and Body Composition or Backmuscle Strength (초음파방식으로 측정된 골밀도와 신체조성 및 배근력의 관계)

  • Lee, Wo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3 no.5
    • /
    • pp.721-72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dy composition (BC) or backmuscle strength (BS). Sixty-one participants were measured by BMD using ultrasound bone densitometry and Inbody for BC (i.e., SLM=Soft lean mass, SMM=Skeletal muscle mass, FS=Fitness score. et al.), BS after self-questionnaire for life cycle. This study was performed after approving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obtaining the informed concent from all participants. Participants was divided into two group by BMD T-score; $T-score{\geq}-1.0$, T-score<-1.0.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ver. 22.0(USA), Spearma test for correlation between BMD and BC or BS. BMD or SLM, B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or body mass index. SMM or SMM, FS of BMD $T-score{\geq}-1.0$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score <-1.0 group as well as BS(p>0.05). BMD T-score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SLM(r= 0.424) or SMM(r= 0.431) in men, as well as in women(p<0.05). B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SLM or SMM, FS. BS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BMD in women group (r= 0.591, p= 0.001), but not in men group. We concluded that BMD is the relationship with SLM or SMM, as well as BS in women.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Benefits Sought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3
    • /
    • pp.293-30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신체 5부위(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추구혜택은 패션 이미지, 체형결점보완, 여성스러움의 표현, 자기향상, 개성표현등의 5분야에 걸쳐 측정되었다. 결과로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은 각각의 모든 의복추구혜택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반면 신체만족도의 경우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이 특정 의복추구혜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부분의 신체에 만족하면 할수록 또한 이상적인 신체상이 중요하면 할수록 의복혜택을 통해 신체만족을 유지 또는 고양시키려는 소비자의 심리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The relationships of body-cathexis to satisfaction with ready-to-wear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의 상관관계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34
    • /
    • pp.183-193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Virginai Tech 여대생으로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기성복의 바지기장 허리 힙, 허벅지 가슴 넥크라인과 다양성에 대한 만족으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기성복의 만족은 그 부위에 관련된 신체만족도와 깊은 관계가 있었다 예로 기성복의 바지기장에 대한 만족은 하체와 신장에 대한 신체만족도와 관계가 있었다 Symbolic interaction 이론과 social compari-son 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Developing an Instrument to Evaluate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in Large Populations: A Preliminary Study (초등학생의 일상적 신체활동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

  • An, Ji-Yeon;Tak, Young-Ran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27 no.5
    • /
    • pp.1-14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tudy for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school-aged children. Methods: HPAQ-S consists of 41 items and a self-reported 5-day recall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for school-aged children.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a sample consisted of 28 children, aged 10-11 years old. Results: 41 question items showed an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89).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dometer results (r=.69, p<.001) and with Borg's questionnaire (r=.76, p<.001) support the validity of HPAQ-S. Conclusion: HPAQ-S may be more useful for measuring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in large populations.

작업부하에대한 심리/환경적 영향 평가기법 개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박창순;조영진;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40-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 개인이 느끼는 심리/환경적 부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들이 간단한 기구와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은 기존 연구와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심리부하 측정 요소를 결정하였고, 문헌과 모의 검사를 통하여 부 담감이나 편의(bias)를 줄일 수 있도록 문항수 및 어휘를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설문은 다양한 문체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형태를 선정하였다. 환경적 작업부하 측정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요소를 결덩하였고, KS 규격을 기존으로 새로운 환경부하 측정 지침서를 개발하였고, 현장 예비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환경부하 측정결과를 지수화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과, 심리적척도와의 통합을 위 한 수리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 문항과 환경조사방법은 작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 제로 그 효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제까지 소홀히 여겨왔던 작업자의 심리적/환경적 부 하를 정량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정량화한 심리/환경 부하 척도는 이제 까지 주로 조사되었던 생체역학적/생리적 부담도와 더불어 종합적인 작업부하 평가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척도에 의한 결과는 현장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하여 노/사/ 정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방차원의 안전관리에도 응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 PDF

The Effects of Body-Cathexis on Clothing Preferences (신체만족도가 의복 선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1
    • /
    • pp.107-11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미국 여대생으로 177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 (얼굴, 상체, 하체, 신장, 체중) 각각에 대해 측정되었고 의복스타일 선호는 의복이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정도에 대한 선호, 어두운 색상에 대한 선호, 허리, 힙(hips), 가슴(bust), 목(neck), 다리에 강조점을 두는 의복에 대한 선호로 측정되었다. 결과로 특정 부위에 대한 신체만족도는 그 부위에 관련된 의복스타일 선호와 관계가 있었다. 예로 응답자가 체중부위에 만족하면 할수록 몸에 타이트하게 끼는 의복과 밝은 색상의 의복, 허리와 힙을 강조한 의복을 선호하였다. 이성적 행동이론이 이들 결과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다.

  • PDF

Measurement of postural instability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VR system by a force platform (힘판을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 전후 신체동요의 측정)

  • 박재희;김영윤;김은남;김현택;고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10-113
    • /
    • 2002
  • 가상환경시스템은 매우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 의료, 교육훈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많은 가상환경 시스템에서 부정적 요인으로 멀미나 시각피로로 대표되는 cybersickness 증세를 수반하고 있어 그 사용과 확산에 제약이 되고 있다. 한편 cybersickness 의 한 현상으로 볼 수 있는 신체동요도 이에 대한 객관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가상환경시스템을 피실험자들에게 체험하게 하고 체험 전후의 신체동요으 변화를 측정평가 하였다. 측정 결과 가상환경 체험 후 약간의 신체 동요의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정도의 차이는 보이지 못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신체동요의 변인으로 가정했던 Motion의 유무와 Feedback 의 유무에 대한 영향 분석 결과에서도 좌우 방향에 대한 Motion 유무만 차이를 보였을 뿐이었다. 신체동요는 비교적 간단히 객관적으로 cybersickness의 일면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후속 연구가 계속 요청되고 있다.

  • PDF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smart wheelchair treadmill for Spinal cord disorder (척수장애인들을 위한 휠체어 전용 신체활동 스마트 트레드밀 개발)

  • Seo, Sangjun;Choi, H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43-144
    • /
    • 2019
  • 본 논문은 현대에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를 하지 않으면 심혈관계질환, 당뇨, 암, 골다공증 등과 같은 질환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부족, 시간부족, 날씨 등으로 제약을 받아 신체활동이 부족한 척수장애인의 들을 위한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을 개발함이다. 기존의 휠체어 트레드밀은 휠체어를 생활할 때 사용하는 대상자들에게 신체활동을 제공하였다.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은 경사(Slope-Incline, Decline)를 조절하여 개별마다 다른 건강체력능력에 운동강도(Exercise intensity)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은 거리측정, 속도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부착하여 대상자의 운동량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측정도 가능하여 대상자의 운동량에 대한 칼로리소모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휠체어 트레드밀과 VR(Virtual reality) 프로그램, 게임을 접목시켜 척수장애인들의 신체활동에 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다.

  • PDF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의복스타일 선호에 신체만족도와 이성적인 신체이미지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연구)

  • Hwang, Jin-Sook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11 no.1
    • /
    • pp.165-17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c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were measured for five areas of body parts: head/upper body, lower body, height, weight and torso. Clothing style preferences consisted of clothing preferences for sexy styles, waist emphasis, tight fit, and dark col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body-cathexis and importance of meeting the ideal body image on clothing style preferences.

  • PDF

Changes of Physicopsychological Function difference on Trunk Control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체간 조절운동 양식에 따른 만성요통환자의 신체·심리적 기능변화)

  • Ko, Dae-Sik;Kim, Chan-Kyu;Jung, Dae-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4
    • /
    • pp.331-338
    • /
    • 2013
  •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change of physicopsychological function on Dynamic Trunk Control Exercise(3D-DTCE) and Static Trunk Control Exercise (STCE) to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subject for lumbago therapy and management. Physical function was measured by equlibrium and lumbar muscl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function was measured by self-efficacy on comparative analysis of pre, post exercise and each groups in 30 lumbago patient subject. Equlibrium was measured by total, front back and left right sway index, lumbar muscle activities were measured by abdominal rectus and oblique abdominalis, erector spinae and self efficacy with lumbago patients was measured index of self efficacy. These result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each group were statistically improved at all physicopsychological test. but equlibrium and lumbar muscle activities were more statistically improved at DTCE group and self efficacy with lumbago patients were not differanced on each group. Consequently, DTCE would be lead to positive increment of physical function more than ST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