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질량지수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19초

산모의 비만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 발생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Occurrence Factors of High-Risk Diseases of Pregnant Women by the Degree of Obesity)

  • 김수민;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8-124
    • /
    • 2018
  • 임신 중 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출산 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인 산모가 임신중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신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비만 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의 일곱 가지 발생요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임신 중 정기검진을 받은 산모 279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비만정도를 신체질량지수로 분류하고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갑상선자극호르몬과의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산모의 나이, 신장기능,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산모의 비만정도가 높을수록 고혈압 산모, 당뇨산모, 이상갑상선수치를 가진 산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나이,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는 양의 상관관계, 신장기능수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신체질량지수와 전신 염증인자, 산화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Inflammatory Marker, Oxidative Stress and Body Mass Index in Stable COPD Patient)

  • 함현석;이해영;이승준;조유지;정이영;김호철;함종렬;박찬후;이종덕;손현준;윤희상;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30-338
    • /
    • 2006
  •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은 기도염증으로 인한 기도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지만, 질병의 경과중에 체중감소나 근위축 같은 전신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만성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신체질량지수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연구자 등은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신체질량지수와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53명(남:여=49:4, 평균나이=$68.25{\pm}6.32$)과 정상 대조군 33명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전신염증인자로 혈청 IL-6, TNF-$\alpha$를 측정하고 산화 스트레스 인자로 혈청 8-iso-prostaglandin $F_2{\alpha}$와 carbonyl protein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다시 3군(<18.5, 18.5-25, >25)으로 나누어 각각의 수치들을 비교하였고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신체질량지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혈청에서 IL-6, TNF-$\alpha$, carbonyl protein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8-iso-prostaglandin $F_2{\alpha}$은 각각 $456.08{\pm}574.12pg/ml$, $264.74{\pm}143.15pg/ml$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신체질량지수의 차이에 따라 혈청 IL-6, TNF-$\alpha$, carbonyl protein과 8-iso-prostaglandin $F_2{\alpha}$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환자의 $FEV_1$은 각각 $0.93{\pm}0.25L$, $1.34{\pm}0.52L$, $1.72{\pm}0.41L$로 신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FEV_1$ 값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2, r=0.42), 최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신체질량지수는 $19.8{\pm}2.57$로 중등증의 환자의 $22.6{\pm}3.14$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본 연구에서 안정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신체질량지수는 전신염증인자와 산화 스트레스의 정도와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나 기도폐쇄의 정도와는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신체질량지수의 감소와 관련된 인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개 지역 남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Body Imag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of One Area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 최은희;모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13-1319
    • /
    • 2013
  • 일개 지역 남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D광역시 소재 남녀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2일부터 4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00부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신체질량지수에 따라서 고등학생과 대학생, 남녀 모두 신체상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 =15.86, p <.001), 신체상에서 남학생은 고등학생과 대학생 사이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여학생은 대학생의 신체상이 고등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만인 대상자보다도 정상체중인 대상자의 신체상이 더 낮은 것을 고려한다면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올바른 체중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진동기기를 이용한 자세별 운동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 of Change Obesity Index by Specific Posture Exercise Using the Vibrator)

  • 김명철;이우철;한슬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57-762
    • /
    • 2013
  • 본 연구는 앞 뒤 진동기기를 이용한 자세별 진동운동이 신체질량지수와 신체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대 남녀 41명을 대상으로 총 4개 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각각 서기자세군(10명), 기마자세군(10명), 네발기기자세군(10명), 복합운동군(1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 신체질량지수(BMI), 엉덩이에 대한 허리둘레 비(WHR), 체지방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서기자세군, 기마자세군, 네발기기자세군 그리고 복합운동군에서 모두 신체질량지수, 엉덩이에 대한 허리둘레 비, 체지방량이 감소하였지만 복합운동군에서만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자세를 혼용한 진동운동이 비만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요인, 신체질량지수 및 자아존중감이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 발달단계별 차이를 중심으로 -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Effect of Sociocultural Factors Towards Appearance, Body Mass Index and Self-esteem on Body Image)

  • 김정민;이세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6호
    • /
    • pp.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effect of sociocultural factors towards appearance, body mass index and self-esteem on body image. Participants were 315elementary school, 305middle school students, 310hight school students and 346college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alpha$,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ociocultural factors towards appearance, body mass index, self-esteem and body image differed by grade and gender. 2) Peers, self-esteem, BMI and mass media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dy image. Mass media, BMI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body image. Self-esteem, peers, BMI, gender and mass media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body image. Self-esteem, mass media and BMI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body image.

중년남성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따른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 in Middle-Aged Man)

  • 서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77-185
    • /
    • 2005
  • 본 연구는 중년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준비운동, 저항운동, 수중운동 그리고 정리운동 순으로 구성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1일 60분씩 주 4회의 빈도로 12주간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실험전과 후의 변인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신체구성 성분인 체지방율, 제지방량, 신체질량지수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p<.01)하였으며, 건강관련 체력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에서 유의하게 증가(p<.01)하였다. 또한, 혈중지질의 경우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유의하게 감소(p<.01)하였으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증가(p<.05)하였다.

  • PDF

대중매체, 타인과의 외모 비교 및 신체질량지수가 여고생 및 여대생의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s Media, Tendency for Appearance Comparison and BMI on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Eating Behavior)

  • 김정민;한근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4호
    • /
    • pp.73-83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ss media, the tendency for young women to make body comparisons, and the BMI of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on their attitudes about eating. Participants were 392 high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and 391 college students from Seoul,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alpha}$,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ile mass media influence differed by grade, tendency for appearance comparison and attitude toward eating did not differ by grade. 2) Mass media influence, tendency for appearance comparison and attitude toward eating differed by BMI. 3) Mass media pressure, specific attributes comparison, and BMI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ttitudes toward eating. 4) Tendency for appearance comparis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attitudes toward eating.

신체질량지수에 의해 분류된 비만도 집단의 특성 분석 - 자아존중감,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다이어트 태도와 행동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Groups classified by Degree of Obesity using Body Mass Index - Focused on Self-esteem, Food lifestyle,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Diet-related Attitude and Behavior -)

  • 박광희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33-45
    • /
    • 2016
  • This study classified respondents by degree of obesity using Body Mass Index(BMI)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self-esteem, food lifestyle,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diet-related attitude and behavior such as trial number of diet, exercise time and period, use of diet information, interest in weight control, diet motivation, and dietetic therap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8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29 who lived in Daegu and Uijeongbu from November $17^{th}$ to December $14^{th}$ 2014. Data collected from the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es, analyses of variance and chi-square tests. This study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the underweight, the normal weight, the overweight)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lifestyle (health-conscious, popularity-seeking, taste-seeking),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exercise time and period, use of diet information, interest in weight control, diet motivation, and dietetic therapy among groups classified by degree of obesit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lf-esteem, convenience-seeking, and trial number of diet among them.

신체질량지수,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다이어트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Mass Index, Self-esteem,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Diet Awareness)

  • 박광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6-183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BMI), self-esteem,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diet awareness between genders as well as the effect of BMI, self-esteem,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diet awareness. This study surveyed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29 who lived in Daegu and Uijeongbu from November $17^{th}$ to December $14^{th}$ 2014. Data collected from 258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chi}^2$ tes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underweight group, standard weight group, and overweight group) by BMI and a large percentage of respondents were in the standard weight group. The percentage of standard weight females was higher than standard weight m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such as self-awareness), and diet awareness between gend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Men also had a higher BMI than women; however, women were more self-aware of sociocultural standards for appearance, desired a slim body and wanted educational information on diet. BMI and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had positive effects on diet awareness. Self-awareness was a strong predictor of diet awareness and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iet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