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체정보

Search Result 1,253, Processing Time 0.085 seconds

Personalization of Body Metric Data For Recommending Personal Goods (개인화된 신체치수 정보를 활용한 개인용품 추천 시스템)

  • Kyung, Jin-Hui;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c
    • /
    • pp.506-508
    • /
    • 2006
  • 대량의 물품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서 다방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품을 구입 시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카드에 개인의 신체 치수 정보가 담겨있다면 그 사용자는 카드를 reader하는 기기에 접속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추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신체는 모든 부분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 측정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이에 맞물려 스마트카드는 신체 식별정보 저장하기위한 적절한 저장장치이고, 관련된 컨텐츠와 자바 애플릿의 검색 및 업데이트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의 연구 과제는 브라우저와 자바 임베디드 스마트카드사이의 접근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using multiple motion sensors (다중모드 센서를 이용한 신체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Lee, SeoYong;Park, ChaeEun;Jeong, DaSol;Choi, JaeHong;Kim, Hwa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7-149
    • /
    • 2020
  • 코로나바이러스의 세계 확산, 발병 이후 사람들의 실내활동 증가와 건강, 면역에 대한 관심은 많이 증가했다. 이에 맞춰 더욱 정교하고 바른 정보에 의한 스마트헬스케어 역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스마트헬스케어의 범위는 영상 장치를 비롯해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신체활동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며 기존의 방식보다 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위 기술과 대중의 관심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중 모드 센서를 신체에 부착하여 신체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하드웨어 설계 부분에서 설계가 완성된 Arduino nano 33 Sense를 이용하여 스마트 헬스 실험 시간을 대폭 줄였다. 또한 운동과 같은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기 좋은 LSTM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개발된 모델을 추후 활용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 PDF

Vision based 2D Human Body Motion Extraction for HCI (HCI를 위한 컴퓨터비젼 기반 사람의 2차원 움직임 정보 추출)

  • 이상환;안상철;김익재;김형곤;김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94-198
    • /
    • 2000
  • 본 논문은 특별한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되는 영상들에서 사람의 2차원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사람의 움직임 정보 추출을 위해 색상, 움직임, 윤곽선, 그리고 사용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신체적인 특성 정보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사람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가상 캐릭터의 제어와 같은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HCI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Body Size Measurement Method Using a Elastic Band and Digital Camera (엘라스틱 밴드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신체 치수 측정 방법)

  • Choi, Gi-Rak;Kim, Hyeon-seok;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553-556
    • /
    • 2015
  • In almost all of the Hand-made suit plants, while garment cutters are hard to measure the body size by their own, they are not quick. And each of the individual's standard is vague, so it is hard to get a consistency. So it will give the customers some displeasure with the body contact. To improve this kind of problems, in this paper proposes a efficient way that is hard to measure by the gener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to measure when you manufacture a Hand-made suit and measure a body size by wearing a elastic band that has a printed mark that has some information of length and taking a picture of the body by a digital camera.

  • PDF

Smart Rehabilitation Device with Real-Time Monitoring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재활장치)

  • Tae-Seon Kim;Seung-Min Lee;Chan-Hyun Park;Jin-Kyu Park;Woo-Seong Choi;Jun-Seong Hwang;Seung-Ho Lee;Do-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77-278
    • /
    • 2023
  • 최근 고령화 사회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노년층 인구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들의 신체 능력은 더욱 약화되고 있으며 병원을 찾아가 진료 및 재활을 받는 것은 신체적으로 부담이 갈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재활 치료는 본인이 느끼는 것에 따라 진단 결과가 나오며 의사 또한 정확한 수치를 확인할 수 없어 제대로 된 진단 결과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병원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 자택에서 측정 및 재활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재활 치료를 받는 환자의 신체정보를 근전도 센서, 심박 수 센서 등을 활용하여 상시 체크를 하고 의사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며 환자의 상태를 확인 및 상담과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최근 증가하고 있는 노년층들이 신체적, 금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진료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다.

  • PDF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body information and lipid-profile: A study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ig Data in Korea

  • Jo, Han-Gue;Kang, Young-He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
    • /
    • pp.201-20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elevant basis upon which prediction of dyslipidemia should be made based on body information.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ig data (3,312,971 peopl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body information and lipid-profile. Body information included age,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hile the lipid-profile include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As a result, when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weight are large, triglycerides increase and HDL cholesterol level decreases. In terms of age,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DL cholesterol, the canonical variates (the degree of influ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In particular, the canonical variate was dramatically changed around the forties and fifties in women in terms of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DL cholesterol. The canonical correlation results of the health care big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elp construct a predictive model that can evaluate an individual's health status based on body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measured in a non-invasive manner.

3D Motion Information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Color Marker (컬러 마커를 이용한 3차원 모션 정보의 검출 및 추적)

  • 신수미;이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96-60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두 대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인간의 신체와 같은 관절체의 움직임을 Color Marker의 색상 특성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이 방법은 인체에 물리적인 장치를 하지 않고 단순히 영상정보만을 이용하여 3차원 정보를 구하였다. 보다 정확한 인체의 특징점을 구하기 위해 환 논문에서는 신체의 관절각에 칼라 마커를 부착하고 칼라 마커틀을 세그먼트하여 관절각의 2차원 정보를 구한 다음 스테레오 기하(Stereo Geometry)를 이용하여 3차원 정보를 계산하고 가상 공간상에서 인간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제스쳐 인식과 3차원 Virtual Reality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성 등에 사용될 수 있다.

  • PDF

Self-screening health care product design by LED presented the real-time information of vital signs (신체 활력 징후의 실시간 정보 표출을 위한 LED 자가 헬스케어 제품 디자인)

  • So, Jong-Ho;Moon, Sin-Chul;Han, Ji-Ae;Son, Jang-Wan;Kim, By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03-20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연령자를 대상으로 신체 활력 징후의 실시간 정보를 사용자가 스스로 파악 할 수 있는 '자가 헬스케어 제품'을 제안하는 것이다. 신체 활력 징후의 실시간 정보 표출을 위한 제품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기술적 요인과 표현 방법을 추출하고, '장착형 헬스 케어 제품'으로 모듈하기 위해 활용센서와 LED 표출방식에 대한 방법을 도출하였다. Vital Sign(활력 증후) 중 맥박의 실시간 정보는 맥박센서를 통해 추출 되며, 추출 된 정보는 Arduino로 작성 된 알고리즘을 통해 LED 불빛으로 전환 표출된다.

  • PDF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BMI and that of CDRS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여자대학생의 BMI와 신체상평정척도(CDRS) 분류기준에 대한 일치도 검정)

  • Nam, Duck-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2
    • /
    • pp.519-527
    • /
    • 2016
  •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BMI classification standard and that of 9-point contour drawing rating scale(CDRS), verifying their usefulness for the application to the filed, examining university students'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ir bodies, and offering correct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orted recognition of their bodies. In order to examine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BMI and that of CDRS, and the wome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their body images depending on BMI, Cross tabulation was carried out, and ${\chi}^2$,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appa statistics were calculated. As the analysis results,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CDRS and BMI judged by general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the correlation was high with ${\rho}=.719$(p<.001) and an average level of confirmity with ${\kappa}=.506$(p<.001). Based on these results, regarding body shape,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raci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trolled later.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 Children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 Ra, Jin Suk;Chae, Sun-M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v.20 no.1
    • /
    • pp.30-3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aternal physical activity support for preschool children. Methods: Survey methodolog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from a daycare center in Daejeon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hundred and fifty-six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showed a moder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support for their children.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support of mothers were monthly household income (${\beta}$=.417, p=.002), maternal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support (${\beta}$=.231, p=.003), information for physical activity support (${\beta}$=.173, p=.022), and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physical activity support (${\beta}$=.237, p=.002). These variables explained 26.4% of the variance in physical activity support (F=7.628, p<.001). Conclusion: To improve maternal support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 children, maternal education and appropriat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y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