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정보

검색결과 1,253건 처리시간 0.049초

정밀하지 않은 깊이정보와 2D움직임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검출과 주요 신체부위 추정 (User Detection and Main Body Parts Estimation using Inaccurate Depth Information and 2D Motion Information)

  • 이재원;홍성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11-624
    • /
    • 2012
  • '제스처'는 음성을 제외한 가장 직관적인 인간의 의사표현 수단이다. 따라서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체하여 제스처를 입력으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사용자 객체의 검출과 주요 신체부위의 추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정보가 부정확한 조건에서 사용자 객체검출과 주요 신체부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2D 영상정보와 3D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변화와 잡음에 강인하고, 3D 깊이정보를 1D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함으로써 실시간에 적합하며, 이전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고 환경변화에 강인한 사용자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주요 신체부위 추정 방법에서 본 논문에서는 2D 외곽선 정보와 3D 깊이정보 및 추적을 혼합 사용하여 사용자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사용자 객체 검출방법은 2D정보만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조명변화와 복잡한 환경에 강인하고, 깊이정보가 부정확한 경우에도 정확한 객체검출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주요 신체부위 추정방법은 2D 외곽선 정보만 이용할 경우 겹친 부분에 대한 검출이 불가능하고, 색상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은 조명이나 환경에 민감한 단점을 극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주술기 저혈압 발생 환자 예측 (Multi-Cutting Machine for TJ Coupler production)

  • 이지현;강아름;김상현;우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27-28
    • /
    • 2019
  • 수술 시 시행되는 마취 과정에서 저혈압, 빈맥 등의 합병증이 다양한 정도로 발생한다. 이는 환자의 수술 후 심근경색이나 급성 신장 손상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합병증들은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전신마취 유도 중 저혈압 발생 환자를 예측하고자 한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수집된 207명 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혈압 발생 환자를 탐지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의무 기록정보에 나타난 성별, 나이, 몸무게, 키, 신체적 상태 정보와 마취 유도 단계의 생체 신호 정보를 이용하였다. 신체적 상태 정보를 제외한 전체 피쳐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탐지 정확도 68.06%, 관련 논문을 바탕으로 중요 피쳐만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을 때, 정확도 71.53%였으며, 환자의 신체적 상태 피쳐를 포함하여 실험하였을 때, 정확도 75%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T2S(Text-To-Speech)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석 및 설계 (Design and Analysis of T2S System Implementation)

  • 김정형;이왕헌;이현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3-716
    • /
    • 2006
  • IT 정보 기술 발달로 관련 하드웨어와 스프트웨어의 보급이 일반화 되며, 그에 따라 신체적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IT기술을 이용하여 신체적 결함을 극복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응용제품은 필수적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신체적 기능저하들 중에서 시각 기능 저하도 대표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시각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전달 수단으로 점자책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 서적에 비하면 이용 및 활용을 위한 제반 기술이 상당히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장애를 겪는 사람 및 장애자들에게 일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오픈 소스 기반에 소형 스캐너를 부착한 웨어러블(wearable) PC를 직접 제작하여 개발 완료시점에 있는 시스템 내용에 관한 분석 및 설계에 관한 내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일반 스캐너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책 혹은 정자로 주어진 문서를 실시간으로 스캔닝을 통해서 글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글자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휴대용 통합시스템(T25:text-to-speech)의 개발 진행된 연구에 관하여 살펴본다.

  • PDF

웹 환경에서 환자 통증부위 정보 수집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f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of Patients's Pain on Web Environment)

  • 이현창;서신림;신성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37-139
    • /
    • 2013
  • 현대의학의 발전에 힘입어 의료정보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한의학의 IT를 접목한 정보화는 매우 빠르게 확장 및 향상 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의학에 비하여 한의학의 의료정보 활용은 상대적으로 적은 게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 정보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한의학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체의료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신체 통증부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웹기반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의 환자의 신체 통증부위 정보 획득 설계 방법론을 통해서 한의학의 IT를 접목한 의료정보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을 통한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콘텐츠 적응화 서비스를 위한 상황정보 수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xt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for Contents Adaptation Service)

  • 전우락;소수환;이재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
    • /
    • 2009
  • 본 논문은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황정보 프로파일을 생성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상황인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황을 분류하고, 상황정보를 모델링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변환경 정보 및 신체정보를 수집하여, 상황정보 프로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콘텐츠 적응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WUSB over WBAN 통신을 위한 신체 영역 위치 인식 기술 (A Body-Area Localization Technique for WUSB over WBAN Communication)

  • 허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99-50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WUSB over WBAN 프로토콜에서 요구되는 신체 영역 위치인식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위치인식기술은 웨어러블 컴퓨터의 주변 장치를 구성하는 WUSB over WBAN 프로토콜 기반 센서노드에서 실행된다. 웨어러블 컴퓨터 시스템에서 다양한 신체 모션을 통한 입력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위해서는, 높은 정밀도를 갖는 새로운 위치인식기술이 반드시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신체에 부착된 WUSB over WBAN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4개 이상으로 하는 TDoA/FDoA/AoA 복합 방식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TDoA/FDoA/AoA의 복합 방식 알고리즘이 TDoA/FDoA 복합 알고리즘 보다 위치 추정 오차를 10mm 감소시킨다. 이 값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시할 수 있는 작은 값이나, 신체 영역 내 통신에서는 위치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낸다.

모바일 장치에서 신체정보기반의 효용성 분석을 이용한 인증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uthentication Scheme using Biometric-Based Effectiveness Analysis in Mobile Devices)

  • 이근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795-801
    • /
    • 2013
  • 과거의 오프라인에서만 이루어졌던 생활이 온라인에서의 활동으로 발전함으로 인해 온라인상에서 사용자가 올바른 사용자인지의 여부는 중요한 문제이다. 온라인상이나 나아가 일반 생활에서도 사용자 인증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체인식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생체인식 기술은 개인의 고유한 특징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대체하는 차세대 인증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인간의 고유한 특징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특징을 추출하는 생체인식 기술도 다양한 장치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로 이러한 다양한 장치인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M2M 플랫폼을 분석하고 적용하였을 경우 어떤 효용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둘째로, 다른 장치 플랫폼에서 포괄적인 인증인 효용성기반의 AIB를 제안한다. 제안 인증기법은 신체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증을 포함한다.

신장 질환 맞춤형 AI 운동요법 제공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I Exercise Therapy System customized for Kidney Disease)

  • 박기조;이병훈;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4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신장 질환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운동요법을 제공하기 위해 딥러닝과 같은 AI 방식을 적용한다. 딥러닝 적용을 위해 신장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셋을 학습시켜 신장 질환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질환여부에 따른 근력량인 1RM 또한 딥러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산출된 근력량 1RM은 신체 부위별 산출 식을 통해 부위별 저항성 운동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신체정보에 맞춘 유산소 운동량과 함께 제공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경우 다양한 질환에 대해 맞춤형 운동요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신체 움직임-시·청각 정보 상호변환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Mutual Conversion System between Body Movement and Visual·Auditory Information)

  • 배명진;김성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62-368
    • /
    • 2018
  • 본 논문은 학습으로 공감각 현상을 지각할 수 있는 의도적인 공감각을 기반으로 신체의 움직임에서 시각과 청각정보로의 변환 및 역변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신체의 움직임은 웨어러블 암밴드인 Myo의 출력인 오일러 각을 사용하였고, 근감각 정보로서 롤(Roll), 피치(Pitch), 요(Yaw) 신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각과 청각 정보로서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신호와 HSI 컬러 모델을 사용하였다. 근감각 신호와 시 청각 신호 사이의 상호변환 방법은 일대일 대응 관계를 적용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쉽게 유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신체의 움직임 정보와 시 청각 정보의 상호변환이 가능함을 ROS(Root Operation System)와 3D 시뮬레이션 툴인 Gazebo를 사용하여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였고 변환 오차가 작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