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체정보

검색결과 1,255건 처리시간 0.031초

사용자 행동 자세를 이용한 시각계 기반의 감정 인식 연구 (A Study on Visual Perception based Emotion Recognition using Body-Activity Posture)

  • 김진옥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5호
    • /
    • pp.305-314
    • /
    • 2011
  • 사람의 의도를 인지하기 위해 감정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연구는 전통적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데 집중해 왔다. 최근에는 감정을 드러내는 신체 언어 즉 신체 행동과 자세를 통해 감정을 나타내는 방법에서 감정 인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있다. 본 연구는 신경생리학의 시각계 처리 방법을 적용한 신경모델을 구축하여 행동에서 기본 감정 의도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시각 피질의 정보 처리 모델에 따라 생물학적 체계의 신경모델 검출기를 구축하여 신체 행동의 정적 자세에서 6가지 주요 기본 감정을 판별한다. 파라미터 변화에 강건한 제안 모델의 성능은 신체행동 자세 집합을 대상으로 사람 관측자와의 평가 결과를 비교 평가하여 가능성을 제시한다.

바이오 프로파일러를 이용한 스마트카드 파일 매니지먼트 시스템 (Bio Profiler using Smart Card File management System)

  • 경진희;조동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611-614
    • /
    • 2005
  • 스마트카드는 현재 신분확인용 ID 카드, 교통, 신용카드, 위성방송 수신 카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되고 있다. 하지만 좀 더 개인의 생활에 밀접한 분야의 응용은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스마트카드를 개인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의 구매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연구하게 되었다.

  • PDF

3D Skeleton Model을 이용한 제스처 인식 (Gesture recognition by Using 3D skeleton model)

  • 안양근;권지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0-103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D Skeleton Model로 획득된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람마다 각기 다른 신체 비율을 가지지만 각 관절 또는 신체의 구조는 같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관절의 각도를 기반으로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CNN 알고리즘을 이용한 나이와 성별 구분 모델 (Age and gender prediction model using CNN)

  • 신성한;전흥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7-5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CN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학습한 다음 나이와 성별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개개인 마다 각기 다른 외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분석한 다음 이에 맞는 헤어 스타일, 옷차림을 추천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아바타 생성에 사용자의 얼굴과 같은 신체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향후에는 신체 전체를 이미지화하여 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PDF

모바일용 맞춤형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 구성 (User Profile Construction for Customized Wellness Content Recommendation on Mobile)

  • 박세준;이원진;이재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57-1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용 맞춤형 웰니스 콘텐츠 추천을 위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파일에는 웰니스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웰니스 5 영역(신체, 정서, 사회, 지식, 정신) 각각의 선호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변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신체적 제약 조건도 포함한다. 이 프로파일을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맞춤형 웰니스 콘텐츠를 추천함에 있어 웰니스 5 영역을 모두 고려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프로파일로 유지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지 않는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외시키는 필터 및 안전 장치의 역할도 가능하게 한다.

  • PDF

스마트 항만 작업 분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mart port work distribution system)

  • 안현서;홍소연;전지우;이선영;김인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38-1341
    • /
    • 2021
  • 현재 대한민국 운송업에서 두 번째로 큰 비율(19.2%)을 차지하고 있는 수상 운송업에서는 연간 많은 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손해는 4백억 원에 달한다. 본 연구는 수상 운송업에서의 재해율과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체 측정기기 및 항만 작업 분배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신체 측정기기는 심박, 알코올, 적외선 온도 센서 등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한다. 이 결과를 아두이노로 전송한 뒤 사용자의 집중도와 피로도를 분석하여 적절한 작업 분배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천 알고리즘 기반 사용자 운동 관리 시스템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User Exercise Management System)

  • 이종원;임현근;김홍렬;최형욱;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7-578
    • /
    • 2017
  • 기존의 운동 관리 시스템들은 사용자에게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의 부재로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BMI(Body Mass Index) 지수와 BMR(Basal Metabolic Rate) 수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게 운동 강도와 운동량을 추천하고 사용자가 사용했던 운동 기구 히스토리를 그래프로 명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받고 운동 관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이 온라인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 감시성의 조절적 효과 (The Effects of Body Esteem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Online Fashion Products: The Moderating Role of Self Monitoring)

  • 김완민;강성호;이한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85-96
    • /
    • 2015
  • 외모와 신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한 관련 산업들의 폭발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신체 존중감과 소비자의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관적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제품을 대상으로 신체 존중감과 소비자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들 관계에서 존재하는 자기 감시성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172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 존중감은 온라인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감시성은 신체 존중감과 온라인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줄넘기 운동이 지적장애 남성의 동·정적 평형성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sic rope skipping exercise on dynamic and static balance and body compositions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men)

  • 변재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39-1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을 적용시킨 후에 신체균형능력과 신체구성성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지적장애인들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참가한 피험자들은 M특수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두 집단으로 구분(운동집단 10명, 비운동집단 10명)하였다. 이들의 나이는 17~19세 이다. 운동집단의 학생들은 음악줄넘기 운동을 12주 동안 일주일에 3일, 하루 60분씩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측정된 항목은 동 정적 평형성 및 신체구성성분이었다. 이 연구결과,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 후에 동적 및 정적 평형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체중과 체지방율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적장애인들에게 12주 동안의 음악줄넘기 운동은 신체의 균형감각 향상과 신체구성성분의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대학생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간의 관계 (The Association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Health Self-Efficacy with Health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미정;양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5-5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 방법으로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161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자기효능감 및 흡연, 음주, 식습관, 신체활동, 비만도의 건강행위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각각 평균 10.14±1.39점, 3.96±0.60점이었고, 대상자의 9.9%가 흡연자, 23.0%가 문제음주자, 96.9%가 식습관의 모니터링을 요하는 자, 63.4%가 신체활동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자, 29.8%가 과체중 또는 비만인 자였다. 성별은 흡연에,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식습관에, 그리고 성별과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에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을 고려하여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