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체불편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휴대용 경찰장비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변승남;김철수;이동훈;이승원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10a
    • /
    • pp.164-17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조사기법을 통하여 경찰의 휴대용 장비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경찰의 작업부하 (work stress)를 가중시키는 장비와 설계요소를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장비분석을 통 하여 경찰 임무 수행능력의 제고와 경찰의 사기전작에 기여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휴대용 장비개발의 필요성 을 제시하였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경찰은 타 직종에 비해 그 작업부하(work sterss)의 수준이 매우 높으며, 더 우기 다양한 원인에 의한 재해 가능성 또한 커서 위험한 직업으로 평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당수의 경찰 관등이 여러 직업성 질환에 노출되고 있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장비 중 무전기, 경찰 혁대, 경찰단화, 정모, 근무복, 우의, 신호봉 등 7가지 조사대상 장비 모두가 사용이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 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대부분이 신체적 불편함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외에도 발바닥, 머리, 다리 및 무릎 등의 부위가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무수행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장비가 기동성에 장애를 주며, 근무의욕 및 사기에도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Factor Analysis on Subjective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관한 요인)

  • Jeong, Mi 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7-34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과 근무특성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근골격계 질환 증상 감소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국(서울, 경기, 대구, 포항) 21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2011년 8월 1일부터 12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 조사를 시행한 후 회수하여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크게 사고를 당한 5명을 제외한 205명에 대해서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치위생사가 78.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근골격계 질환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치과위생사가 93.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신체부위별 통증빈도를 보면, 평균이 '어깨-목 사이(오른쪽)'가 3.07로 가장 높았고, 신체부위별 통증 정도를 보면, 평균이 '발목/종아리(왼쪽)'가 1.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통증경험 관련 작업능력 지장여부를 보면, 평균이 '무릎(오른쪽)'이 1.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손에 대한 근골격계 질환 증상으로는 오른손의 불편함 정도를 보면, 평균이 'Abductor hallucis muscle' 부분이 2.05로 가장 높았고, 왼손의 불편함 정도를 보면, 평균이 'Thumb' 부분이 1.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for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Areas by Us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구강건강영향지수-14를 이용한 일부 지역 치위생 계열과 비치위생 계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삶의 질 비교)

  • Cho, Min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3
    • /
    • pp.302-3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for oral health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area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n it by us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OHIP-14).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s. Subjects for study were 248 undergraduate students, subjectively recognized oral health condition by subjects were periodontal disease and bad breath,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recogniz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dental hygiene students (p<0.001). Among the detail factors of OHIP-14, factor of decreased social ability was the lowest impact factor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OHIP-14 was gender and age, grade of school and alcohol intake were influential in order (p<0.0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eaker Recognition DoorLock Package for Upper Limbs Disabled Persons (상지 장애인을 위한 화자인식 도어락 패키지 설계 및 구현)

  • Song, SangBin;Lim, KiHyun;Oh, CheongHa;Lim, JungOh;Kim, Jonghwa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11a
    • /
    • pp.1100-1102
    • /
    • 2017
  • 본 연구는 양손이 불편하거나 없는 상지장애인이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화자 인식 기술을 이용한 도어락을 구현하였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도어락 기술은 일반인 대상으로 개발되어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하는 단계까지 발전하였으나 기본적으로는 사람이 가장 잘 사용하는 신체 부위인 손을 기준으로 발달되어 손의 활용이 필요한 방식으로 양손이 불편한 상지 장애인의 사용에는 불편함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어락 장금 장치에 화자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상지 장애인도 이용 가능한 도어락 잠금 패키지를 제안하고, 구현한다. 일반인에서 상지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자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운전석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지각 불편도 평가

  • 이상규;박우진;정의승;기도형;최재호;박성준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0-127
    • /
    • 1997
  • 오늘날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에 대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적절한 거주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인간공학적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특히 부적절한 거주 공간에서 비롯된 좋지 않은 운전 자세는 운전시 신체 각 부위에 과다한 피로를 유발시키고 운전 성능에도 영향 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안전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거주 공간의 설계시 출발점이 되는 것은 SgRP(Seating Reference Point)이며 이의 설정은 운전 자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운전자의 불편도 (Discomfort)를 최소로 하며 운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Driving Simulator 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취할 수 있는 Seat의 전후, 상하 위치에 따른 여러 운전 자세에서 운전자가 느끼는 불편도 및 각종 Control의 조작성등의 주관적인 Measure와 운전시의 운전성능을 나타내는 객관적 Measure를 측정, 평가하였다. Seat의 위치는 Whole Body Discomfort, Steering Wheel, Gear, Pedal의 조작성 등의 주관적 종속 변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적 종속변수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 나지 않았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Regression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Isocomfort Surface를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 적합한 SgRP 및 Seat Track 설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n Str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골관절염 노인의 신체활동이 스트레스 및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미치는 영향 :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 Paek, Hyun-Hee;Jeong, Mi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5
    • /
    • pp.267-27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on str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This study performed data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in 104 elderly people with osteoarthritis over 65 years old using raw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ales exercised more strength than women, and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rate of walking and aerobic activity. The group that felt stress showed a higher rate of walking and aerobic activity than the group that had no stress, and one group that felt a little stress practiced walking more than 3 days. The exercise ability of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was better in the group who practiced walking, strength training, and aerobic activity than in the group without physical activity, and in self-management, the group practicing exercise and aerobic activity had problems with self-management. There was no daily activity, and the group that practiced walking and strength training also showed a high level of daily activity. In the area of pain/discomfort, the group practicing walking showed less pain/discomfort, and in the area of anxiety/depression, the group practicing walking showed less anxiety/depression.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osteoarthritis and to manage the stress, active efforts to increas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re necessary.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만족도 개선 연구

  • Pyo, Seong-Jae;Kim, Bong-Su;Jo, Yong-Gwi;Sin, Chae-Ho;Kim, Chang-Ho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 /
    • v.12 no.1
    • /
    • pp.130-136
    • /
    • 2008
  • 목적: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는 많은 환자들이 장기간의 전처치와 격리 입원 동안에 신체적 불편함을 호소하므로 이를 줄여주기 위하여 첫째, 방사성옥소 치료 전 환자들이 저옥소식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둘째, 4일간의 격리입원기간 동안 심리적 어려움과 신체 적불편함을 줄여줌으로써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자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환자들의 불편함을 파악하였다. 2.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 36명에게 입원 기간 동안 느낀 점을 기록하게 하고 이를 조사하였다. 3. 환자 퇴원시에 치료과정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문제점 개선 전 33명, 개선 후 22명에게 조사하였다. 결과: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였으며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개선활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개선 전 후를 비교하였다. 문제점으로 1) 저옥소식: 맛이 없다, 반찬 가려 먹기가 어렵다. 2) 치료병실 생활: 속이 메스꺼워 음식 섭취가 곤란하다, 병실이 춥다. 3) 호르몬제 투여중지: 전신이 나른하다, 몸이 붓는다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활동은 1) 입원 전 예약 시에 음식조절(저옥소식)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하였다. 2) 타부서와의 협의-협조사항(치료병실의 청결유지와 쾌적한 병실을 만들기 위해 16층 병동과 협의, 저옥소식 영양상담을 치료 과정중에 넣기 위해 영양과와 협의, 온열매트리스 설치와 보온이불 구입을 위해 시설팀과 협의 등)을 해결하려 노력했다. 3) 전반적인 개선활동(방사성옥소를 차질없이 구입, 치료병실의 치료 전 후 방사능오염 방지,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 해소 등)을 하였다. 환자의 만족도 설문에 대한 개선 활동 전 후 비교 결과에서 '치료과정 전체에 대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80.6%, 81.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문제점으로 도출된 '저옥소식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24.1%, 27.8%로 역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병실생활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48.3%, 72.2%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호르몬 투여중지로 인해 힘들었다'는 개선 전 후에 각각 27.6%, 0%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고찰 및 결론: 환자들의 불편함을 줄여주기 위하여 연구자들의 개선활동이 있었고 그 중에서 입원병실의 생활환경이 특히 향상되었다. 그러나 결과에서 '병실생활이 힘들었다'에 대한 답의 비율은 오히려 더 높아졌다. 이는 '호르몬 투여 중지로 힘들었다'로 답하는 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줄었기 때문에 높아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방사성옥소 치료로 인해 생길 수밖에 없는 신체적 반응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항상 힘들었다고 할 것이다. 만족도 개선 활동으로 환자의 힘든 치료과정을 완전히 해소시켜 줄 수는 없었으나 환자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으며 좀 더 향상된 치료환경을 제공하는 기회가 되었다.

  • PDF

Relationship with Physical Suffering, Emotional State, and Nursing Needs of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조기진통 임부의 신체적 불편감, 정서적 상태 및 간호 요구도와의 관계)

  • Go, Jeong-Im;Kim, Kyung-Hee;Yeoum, Soon-Gyo
    • Women's Health Nursing
    • /
    • v.15 no.4
    • /
    • pp.280-293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uffering, emotional state, and nursing needs of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and the differ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descriptive survey,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ere 126 pregnant women who were hospitalized after being diagnosed with preterm labor at 3 university hospitals. Results: The level of personal hygiene was assessed in physical suffering, level of fear was assessed by the emotional state, and level of perterm labor was assessed by the nursing cares. In the analysis, physical suffering, emotional state, and nursing needs in the subjects all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Differences in physical suffering, emotional state, and nursing need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age, job, family type, economic condition, smoking, drinking admission days, previous delivery type, and artificial insemin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urse should focus on the domain of personal hygiene, and teaching contents specific for abdominal breathing exercises for relieving the women's fear and anxiety should be added.

The Effects of Video-audio Information Provision on Physical Discomfort,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the Clients for Gastroscopy (동영상 정보제공이 위내시경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안 및 간호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Kwon, Young-Eun;Kim, Bun-Han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5 no.2
    • /
    • pp.231-23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ideo-audio information provision on physical discomfort,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the clients for gastroscopy.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0 patients who visited H hospital health examination center for gastroscopy. Video-audio information developed by the authors was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treatment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5 and November 15, 2010. The study instruments were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Physical Discomfort Scale, and the Nursing Satisfaction Scale. Results: The level of anxiety and physical discomfort in the treatmen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mparison group (t=-0.28, p=.781; t=-0.34, p=.741). The level of cli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in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t=-4.12, p<.001). Conclusion: Use of video-audio information was effective in the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care. Therefore, it could be useful in the nursing practice, and be utilized as a way of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nursing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