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체동작

Search Result 35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ranslation of Human Motion for 3D Animation System (3차원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위한 인체 동작의 변형)

  • 정현숙;이일병;정문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18-520
    • /
    • 1999
  • 모션 캡쳐 결과 데이터와 연속 이미지로부터 구현하고자 하는 가장 큰 목적은 바로 이미 적용된 데이터가 있다면 그 데이터를 다른 모든 신체 동작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신체 동작을 응용하여 추적된 자료를 토대로 인간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인체 동작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 제어 방법과 영상분석을 통하여 그에 대응하는 다른 동작을 생성할 수 있는 재사용 방법과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달성하기 위해 신체 동작의 제어를 위해서는 외국의 선행 연구를 도입하여, 신체 동작의 움직임에 대한 제스춰 성분 요소와 그것의 조합을 표상할 수 있는 제스춰를 연결하는 모형들에 근거하여 입력 영사에서 얻은 제스춰를 다른 d사한 동작에 사용하기 위한 합성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의 이러한 연구를 통해 획득한 인체 동작에 관한 것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것을 활용하고 또한 동작제어기술과 합성을 통하여 가상공간에서 사람의 동작행위를 대신할 수 있는 수준으로 확장할 수 있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ealthcare Application for Aaging Society (노년층을 위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Lee, Won Joo;Jeon, Sun Hyun;Nho, Young Jin;Kim, Ye Eun;Kim, Sun 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151-15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 센서를 활용하여 노년층을 위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어플리케이션 메뉴는 전체 동작과 부분 동작으로 구성한다. 각 동작은 국민 건강증진센터에서 노년층에 장려하는 신체 각 부위별 스트레칭 10개 동작들을 구현한다. 신체의 각 부위는 온몸, 목, 무릎, 종아리로 분류한다. 전체 동작은 총 10개의 연속적인 동작들로 구성했으며 각 동작을 5초 이상 취할 경우 다음 동작으로 자동적으로 넘어가도록 구현한다. 각 동작이 진행되면서 동작 캐릭터 상태가 노년에서 청년으로 점점 젊어지게 함으로써 흥미를 느끼도록 한다. 부분 동작은 신체 어느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스트레칭 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원하는 신체 부위(온몸, 목, 무릎, 종아리) 중 1개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전체적인 사운드는 어플리케이션의 분위기에 적합하도록 조용한 종류의 사운드로 구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감정을 느끼도록 구현한다.

  • PDF

Sign Language Word Editor Base on Body Motion Symbol (신체요소 동작기호에 기반한 수화단어 편집기의 개발)

  • Oh, Young-Joon;Park, Kwang-Hyun;Jang, Hyo-Young;Bien, Z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723-726
    • /
    • 2007
  • 본 논문은 하이퍼 수화문장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신체요소 동작기호 데이터베이스와 수화동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룬다. 청각장애인과 수화사용자가 수화단어를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신체요소 동작기호 편집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약 1,300 개의 수화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d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Prop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와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분석)

  • Kim, You-Si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3
    • /
    • pp.720-726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uscle EMGs according to the prop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Eighteen adult males(age, 22.3±2.1 years; height, 173.89±4.51 cm; body mass, 72.61±4.13 kg; and BMI, 24.03±1.31 kg/m2)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The Pilates bridge was composed of a total of 9 motions, according to the props (NP, no prop; RG, ring; GB, gym ball)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BS, basic surface; FR, form roller; BOSU, both sides up). We measured the right's muscle activities of the upper rectus abdominis, lower abdominal stabilizers, external oblique, adductor longus, 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and biceps femori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the use of GB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activating the body muscle. And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the use of BOSU was found to be most high in activating the body muscle as well. To summarize the research findings, the use of GB and BOSU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were discovered to enormous affect muscle activiti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efficient Pilates bridge exercises for strengthening physical strength.

Kinematic Analysis of Samdan Didimsae Movement for Jajinmori Jangdan (자진모리장단에 따른 한국무용3단 디딤새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분석)

  • Ahn, Wan-Sik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8 no.1
    • /
    • pp.203-21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ropriate model for 3 staged Didimsae movement to Jajinmori rhythm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ideal foot step movements. For the locational change of body center, the height of body center is lowered at the moment of forward step and during forward intersection of the feet, forward direction linear motion is converted to vertical motion to maintain stability. Speed change of body center reduces flow of body on step forward moment and controls rapid forward movement for stabled movement and position when preventing fast forward horizontal direction movement of centroid speed while knee joint and foot joint are vertically risen for heel bone contacts the ground. For angle changes of joints, in order to prevent hyperextension of lower leg, hip joint is extended and knee joint is curved to secure stability of movement for smooth curves and extension. When centroid of foot joint is moved from top of the feet to whole foot sole and when left foot makes dorsal curve, stabled movement is accomplished.

The Kinematical Analysis of Bowling Throw Motion (볼링의 투구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 Baik, Sung-Ko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2 no.2
    • /
    • pp.331-34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in bowling throw motions. For the data analysis, it was utilized by the method of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and obtained kinematical parameters of stride, COG position and ball position through the address and release mo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female bowling players, and obtain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Displacements of stride were not significance of success events, 4th and 5th phase stride were longer than failure. COG variation for height were less than failure, but there not significance between success and failure. The ball position of 3 th phase was lowest than other phases, and throw motions were stable by the small variations for upward downward.

Effect of Balance Board and Whole-body Vibration Stimulator Application on Body Muscle Activities during Static Squat Motion (정적 스쿼트 동작 시 발란스 보드와 전신 진동자극기 적용이 신체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You-Sin;Kim, D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4
    • /
    • pp.755-76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lance board and whole-body vibration stimulator application on body muscle activities during static squat motion. Twenty adult males(age, 21.90±0.36 years; height, 174.30±1.09 cm; body mass, 66.50±1.00 kg; and BMI, 21.90±0.31 kg/㎡)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Three types' static squat motions were performed(basic static squat motion, BSSM; static squat motion with balance board, SSBB; static squat motion with whole-body vibration stimulator, SSVS). We measured the right side's body muscle activities of the rectus abdominis(RA), internal oblique(IO), external oblique(EO), rectus femoris(RF), vastus lateralis(VL), and vastus medialis(VM).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higher RA, IO, and EO muscle activity of SSBB and SSVS(p=.001, p=.004, p=.000). And RF, VL, and VM muscle activities were greatest during SSVS(p=.000).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references for static squat motion applications in training programs for body muscle strengthening.

The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rough play activities of body movement changes (정신지체아동들의 동작놀이를 통한 신체움직임 변화 연구)

  • Kim, Mi-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9-240
    • /
    • 2012
  •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tion play on the change of the body movement of a mental disabled child. The motion play program was performed by 5times, 1 hour/week for 6 mental disabled children in a special school. As the result of study, there was difference in learning capacity and learn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but it was noted that the capacity of play, behavior and motility of the physical areas was developed, and the capacity related with expression depending on self-emotion, positive aspects of the self and expression activity was improved among social areas.

  • PDF

Hand Detection Using Motion Detection and Skin Detection (동작 검출과 피부색 검출을 이용한 손 검출)

  • Lee, Sang-Hyup;Son, Geum-Yeong;Kim, Sang-Min;Kim, Hy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97-29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동작 검출과 피부색 검출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단순히 피부색만을 이용하여 손을 인식하는 경우 피부색과 유사한 색상의 물체나 다른 신체 부위를 인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작 검출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만을 손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렇게 가정을 하고 피부색 검출과 동작 검출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경우 신체부위를 제외하고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인식된 영역마다 뼈대를 찾아 손을 검출한다. 조명이나 주변 환경에 최대한 영향을 적게 받기위해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단순 피부색 검출을 이용한 손 검출보다 좋은 성능을 발휘하며 손가락의 개수와 손 모양, 손 추적까지 응용할 수 있다.

  • PDF

Motion Generation of Human Body using Real-time Marker-Free Motion Capture (실시간 마커프리 모션캡쳐를 이용한 인체 동작 생성)

  • 이란희;김성은;박창준;이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59-56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마커프리 모션캡쳐 시스템으로 캡쳐된 동작자의 Root와 End-effector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생성하는 방법에 0해 기술한다. 동작자의 신체중심이 되는 Root와 머리, 손, 발과 같은 End-effector의 위치 데이터는 동작자의 전방 좌, 우에 위치한 동기화된 2대의 컬러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를 캡쳐한다. 영상으로부터 추출되지 않은 중간관절의 위치를 생성하기 위해 Root와 End-effector의 3차원 위치값들을 IK( Inverse Kinematics) 알고리듬에 적용하고, 생성된 위치값들에 다양한 신체의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정밀하게 계산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므로 서 20개 관절의 위치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관절의 위치값을 가상 캐릭터에 적용하므로 서 캐릭터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