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안군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6초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해빈사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y of Beach Sand in Jaeun Island, Shinangun, Chonranamdo)

  • 채수천;정지성;장영남;배인국;신희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302
    • /
    • 2007
  •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의 둔장해수욕장 해변으로부터 채취한 해빈사로부터 중광물 회수공정을 실시하여, 중광물의 특징 및 회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채취 시료는 깊이별로 상부, 중부 및 하부시료로 구분한 뒤 각각에 대하여 spiral separation을 실시하여 얻은 중광물군을 초기물질로 3차에 걸친 중광물 선별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역에서 배태되어 있는 중광물로 티탄철석, 저어콘, 금홍석, 아나타제, 모나자이트 및 제노타임 등이 관찰되었다. 3차에 걸친 Table separation을 실시한 결과, 맥석광물인 석영, 정장석, 알바이트 및 백운모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부가적으로 비중선별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수선을 통한 중광물의 선별을 실시한 결과, 각 중광물의 다양한 원마도 및 색깔을 보임으로써, 배태된 중광물들이 다양한 성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 김하송;오장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6
    • /
    • 2010
  • 본 조사는 2006년 6월 9일부터 2008년 12월 30일까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지역중 여수시 금오도, 거문도, 고흥군 외나로도, 완도군 청산도, 소안도, 보길도, 진도군 하조도, 신안군 우이도, 흑산도, 홍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5과 100종이 조사되었다.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82종이 조사되어 전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진도군 하조도에서 68종, 흑산도와 금오도에서 각각 52, 55종으로서 비교적 많이 분포하며, 신안군 우이도에서 34종이 홍도에서 42종이 나타나, 조사지역중에서 상대적으로 귀화식물이 적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오리새, 호밀풀, 큰이삭풀,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유럽나도냉이,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끼풀, 덩이괭이밥, 자주괭이밥, 코스모스, 개망초, 실망초, 망초, 개쑥갓, 큰방가지똥, 방가지똥, 도꼬마리 등 26종이 나타났다. 귀화식물 분포특성을 생육지의 특성에 따라 조림지역, 해수욕장, 항구, 공한지(나대지) 주변지역, 도로경계 주변지역, 도로절개지, 비탈면 주변지역, 폐경작지 지역, 쓰레기매립장 주변지역, 습지 주변 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주요 귀화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은 국립공원내의 독특한 자연경관, 생물종, 식생경관,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하여 귀화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일대 무인도서의 곤충상 (A Faunistic Study of Insects of Uninhabited Islands in the Docho-myeon, Sinan-gun, Jeollanam-do, Korea)

  • 조영호;김영진;임헌명;한용구;최민주;남상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73-684
    • /
    • 2011
  • 전라남도 신안군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총 1004개의 도서가 위치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대부분 섬들은 일정한 지역에 밀집이 되어있으나 각각의 섬들은 육지 또는 타도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생물상의 조사는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섬 생태계에서 곤충류의 종다양성은 조류를 포함한 상위포식자의 생태계 먹이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일대 28개 무인도서의 곤충상을 확인하여 무인도서의 보존 및 관리방안 설정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된 28개 무인도서의 곤충류 출현 양상은 총 12목 60과 122종 92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가도에서 9목 22과 32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정 곤충종의 출현 현황은 국내 미기록 1종, 남방계 특성종 3종, 해안사구 지표종 1종, 기후변화 지표종 1종이 조사되었다.

검은머리물떼새의 서식지인 서해안 일부 도서지역산 참굴의 참굴큰입흡충 (Gymnophalloides seoi) 피낭유충 감염상 (Discovery of GymnophcLloides seoi metacercariae in oysters from islands of the West Sea known as the habitats of paleartic oystercatchers)

  • 손운목;양용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3호
    • /
    • pp.163-170
    • /
    • 1998
  • 검은머리물떼새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는 서해안 일부 도서지역에서 채집한 참굴에서 참굴큰입흡 충 (Gwmophano쳐esseoi)의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은 전라남도 신안군의 압 해도, 충청남도 서천군의 유부도,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의 선유도, 무녀도, 장자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의 주문도, 볼음도 등 7개 지역이었다. 이 흡충의 고도 유행지인 압해도에서는 1995 년 8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매 월별 피낭유충 감염상을 조사하였다. 총 14차례 중 5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100%의 감염률을 나타내었고 감염된 굴의 월별 평균 피낭유충 감염량은 761-2,077 개 범위이었다. 감염밀도의 계절별 변화양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굴의 무게가 증가합에 따라 감염량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유부도산 굴은 조사한 총 63개에서 54개의 피낭유충이, 선유도산굴은 조사한 30개 중 25개 (83.3%)에서 1-66개 (평균 12.6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며 무녀 도산굴은 조사한 50개 모두에서 3 162개 (평균 53.5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주문도산 참굴 100개에서는 총 4개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으나 장자도산 55개와 볼음도산 50개의 굴에서는 피낭유충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참굴큰입흡충이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도에서는 지금도참굴을 중간숙주로 하여 농후하게 유행하고 있고,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의 무녀도와 선유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의 유부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주문도 등이 이 흡충의 새로운 유행지임을 확인하였다.

  • PDF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연도교와 선박간의 충돌사고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Collision Accidents Between Island Bridge and Ship Using an Image Processing Method)

  • 장다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11-1119
    • /
    • 2022
  • 신안군 해역의 섬을 통한 관광사업이 활발해지면서 도서 간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은 현재까지 총 13개가 완공되었다. 그러나 통항로에 설치된 해상교량은 선박통항에 있어 위험성을 주며, 특히 섬과 섬을 연결하는 연도교의 경우 수로의 폭이 매우 좁아 그 위험도는 더욱 높다. 본 연구는 신안군 해역의 연도교에 대한 해상교통조사를 토대로 교각과 선박의 충돌위험도를 항만수로의 위험도 평가 모델인 IWRAP(IALA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신안1교가 충돌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항선박의 대부분은 연안 여객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안1교는 대상해역의 교각 중 가장 충돌사고가 많이 발생한 곳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안1교 해역환경의 위성사진을 영상처리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해도에는 볼 수 없는 장애물이 교량 근처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장애물을 피해 교량의 통항유도방식인 양방향 통항과 달리 한 방향으로 통항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위험원인 분석방법은 향후 연도교의 위험요인 분석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도새우난초(난초과): 새우난초속의 한반도 미기록종 (First record of Calanthe (C. × kibanakirishima F. Maek., Orchidaceae) in Korea)

  • 홍행화;김종선;장길훈;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3-185
    • /
    • 2010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서 한반도 미기록종인 다도새우난초(Calanthe ${\times}$ kibanakirishima F. Maek.)를 발견하여 보고한다. 다도새우난초는 신안새우난초와 비슷하지만 화색이 다르고, 거가 짧고 더 굵다는 점에서 다르다. 국내의 다른 새우난초속 종들과는 잎의 뒷면에 털이 있고 거가 발달한다는 점에서 쉽게 구별된다.

신안군 임자면 일대 무인도서의 나비 종 다양성 양상 및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attern and Ecological Variables of Butterfly Species Diversity on 19 Uninhabited Islands around Imja-myeon, Shinan-gun, Jeonnam, Korea)

  • 안정섭;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185-192
    • /
    • 2012
  • 다도해지역인 신안군 임자면 임자도 일대 19개 무인도서에서 나비를 조사하여 총 5과 11속 14종을 확인하였다.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나비가 5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부전나비과 (Lycaenidae)가 4종, 흰나비과 (Pieridae), 네발나비과 (Nymphalidae)는 2종, 팔랑나비과 (Hesperiidae)는 1종이 나타났다. 본 조사의 우점종은 남방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푸른부전나비 (Celastrina argiolus), 먹부전나비 (Tongeia fischeri), 호랑나비 (Papilio xuthus), 청띠제비나비 (Graphium sarpedon)이며, 이들 중 청띠제비나비는 서남해안 일부지역에서만 서식하여 한반도 내에서 서식 분포가 매우 좁은 종이다. 나비의 분포는 섬의 면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공급원과의 거리나 최고 고도와 유의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변화에 따른 종의 확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신안군 임자도의 귀화식물 분포 변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Changes of Community of Naturalized Plants in Limja Island, Shinan Gun)

  • 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86-591
    • /
    • 2006
  • 본 조사는 해안 도서지방인 신안군 임자도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주요군락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1999년에는 14과(科) 45종(種), 2005년에는 14과(科) 54종(種)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에서 능수참새그령, 들묵새, 미국개기장, 창명아주, 유럽점나도나물, 어저귀, 비짜루국화, 큰금계국, 노랑코스모스 등 9종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따라서 미국자리공군락, 개보리군락, 개망초-망초군락, 달맞이꽃군락, 물참새군락, 들묵새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주요군락의 분포면적이 변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귀화식물군락의 주요 분포지역은 귀화식물의 서식지 특성상 인가와 도로주변의 인위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전남 신안군 압해도의 나방상 (A Faunistic Study of Moths (Insecta, Lepidoptera) on Is. Aphae-do, Sinan-gun, Jeollanam-do, Korea)

  • 임진택;김석이;김병운;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78-189
    • /
    • 2007
  • 도시화에 따른 도서지방의 생태계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 압해도 일대에 서식 분포하고 있는 나비목 곤충을 대상으로 2006년 3월부터 9월까지 13회 나방을 채집 확인하였다. 본 조사 결과 동정, 확인된 나비목 곤충은 총 16과 241속 339종이었다. 채집된 종중 밤나방과가 129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나방과(81종), 명나방과(38종) 순이었으며, 개체수로는 자나방과, 밤나방과, 명나방과, 갈고리나방과의 순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단 1회만 채집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등 201종(59.2%)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단지 한 개체만 채집된 종은 99종(29.2%)이었다. 본 연구는 도시화에 따른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는 압해도 일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ageodo in Korea)

  • 양선규;장창석;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7-612
    • /
    • 2013
  •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북위 $34^{\circ}02^{\prime}{\sim}34^{\circ}05^{\prime}$, 동경 $125^{\circ}05^{\prime}{\sim}125^{\circ}08^{\prime}$)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98과 258속 348종 3아종 31변종 4품종의 총 38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50분류군이었다. 가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30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