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세포암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담낭에 전이된 신세포암: 증례 보고 (Gallbladder Metastasis of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 김창건;김시형;조승현;염현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59-963
    • /
    • 2021
  • 담낭은 신세포암이 드물게 전이되는 장기이다. 신세포암의 담낭 전이에 대한 컴퓨터단층촬영(이하 CT) 소견의 증례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담낭의 원발성 병변처럼 보였으나 조직학적으로 신세포암의 담낭 내 전이로 확인된 55세 남성의 담낭 내 용종성 종괴의 CT 소견과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신절제술 20년 후에 발생한 신세포암종의 단발성 기관지 내 전이 (Solitary,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20 Years after Nephrectomy)

  • 김민주;김정임;원규연;이한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94-999
    • /
    • 2021
  • 수술 이후 10년 이상이 경과된 후 발생하는 후발성 전이와 더불어 기관지 내 전이는 신세포암의 특징적인 소견이다. 본 증례 보고는 신절제술 20년 후에 세분절 기관지에서 발생한 신세포암의 단일성 기관지 내 전이의 사례를 보고하고 문헌을 고찰하고자 한다. 71세의 남자가 폐렴을 주소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흉부 단순촬영에서 우하폐야의 다발성 결절성 병변을 보여 흉부 컴퓨터단층사진을 촬영하였고 우폐의 염증성 침윤과 함께 우하엽에 4.3 cm 크기의 경계가 좋은 길쭉한 고형성 종괴를 발견하였다. 포함된 상복부에 우측 신절제술의 흔적으로 20년 전에 투명 신세포암으로 우측 신장 절제술을 받았던 기왕력을 확인하였다. 병변은 폐우하엽 절제술로 제거하였고, 병리학적으로 기관지 내 전이성 투명신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신세포암의 병력이 있다면 절제술 후 수십 년이 지난 후라도 기관지 내 종양에 대하여 신세포암의 기관지 내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4세 남아에서 발견된 Xp11.2 염색체 재배열/TFE3 유전자 융합 연관 신세포 암의 영상 소견: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Imaging Findings of Renal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Xp11.2 Translocation/TFE3 Gene Fusion in a 4-Year-Old Male: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김현지;이미정;이사라;김명준;홍창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1호
    • /
    • pp.41-46
    • /
    • 2013
  • 신세포암의 여러 종류 중 Xp11.2 염색체 재배열/TFE3 유전자 융합 연관 신세포암은 드물며 소아나 젊은 성인에서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증례보고는 병리학적으로 확인된 4세 남자 환자의 Xp11.2 염색체 재배열/TFE3 유전자 융합 연관 신세포암에 대한 것이다. 본 증례에서 종양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우측 신장에 2.5 cm 크기의 경계가 불명확한 종괴로 보였으며, 초음파상 고에코 병변으로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종괴 캡슐의 조영증강과 함께 종괴의 확산 제한이 보였다. 저자들은 이 드문 신세포암의 영상 소견에 대해 증례를 보고하고 문헌을 고찰하는 바이다.

근치적 신절제술 후 7년만에 기관지내 전이로 발견된 신세포암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7 Years after Nephrectomy)

  • 김도현;김선혜;김동환;나형중;이주현;이선민;김정주;기정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5호
    • /
    • pp.496-500
    • /
    • 2006
  • 신세포암은 원발 부위의 수술적 절제를 하더라도 전이를 자주하는 질환으로 이에 따라 5년간의 추적조사가 권장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신세포암으로 신적출술 이후 통상적인 5년간의 추적조사기간동안 전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7년후 폐렴으로 내원하여 조사중에 발견한 신세포암의 기관지내 전이를 수술적인 방법으로 제거하여서 보고하는 바이다.

CT상 고혈관성 위용종으로 보이는 전이성 신세포암: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Manifesting as a Gastric Polyp on C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김현진;박범진;성득제;김민주;한나연;심기춘;이유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425-431
    • /
    • 2022
  •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이하 RCC)으로 인한 위전이는 매우 드물며, 모든 신세포암 사례의 0.2%에서 발생한다. 낮은 유병률로 인해 영상 소견은 아직 정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로 RCC로 인한 위전이는 영상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70세 여성에서 발생한 RCC의 위전이 사례와 영상 소견을 보고하고,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을 검토하여 영상 소견을 정리하였다. 위에 고조영 증강 용종이나 종괴가 새로 보이는 경우, 신세포암에 의한 전이암의 감별이 필요하다.

골스캔상 신세포암의 골전이 양상과 신장섭취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attern of Skeletal Metastases and Renal Uptakes on Bone Scan in Renal Cell Carcinoma)

  • 천혜경;양승오;신중우;원경숙;최윤영;류진숙;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4-531
    • /
    • 1996
  • 목적 : 골스캔에서 신세포암의 골전이 빈도, 호발 부위 및 전이 양상을 알아보고, 신세포암이 있는 신장의 섭취 형태를 분류하여 신세포암 환자에서 골스캔의 부가적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수술과 조직 검사상 신세포암으로 진단된 158명의 골스캔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골스캔상 병변은 방사선학적인 검사와 추적 골스캔, 조직 검사 소견을 통하여 골전이를 확인하였다. 골스캔상 전이 병소의 위치는 두개골, 척추, 견관절, 흉골, 늑골, 골반, 사지의 장골등 7개의 해부학적 위치로 나누었고, 각 병변은 열소와 냉소로 분류하였다. 신세포암을 가진 신장은 섭취 형태에 따라 정상, 광자결손병소, 크기가 커져 있으면서 약한 섭취를 보이는 경우 크기가 커져 있으면서 불규칙한 섭취를 보이는 경우, 초승달 모양으로 밀려 있는 경우 그리고 섭취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 등 여섯 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158명의 환자중 20명(12.7%)에서 71개의 골전이 병변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전체 병변의 약 80%는 구간 골격에 위치하였다. 병변중 55개(77.5%)는 열소로, 16개(22.5%)는 냉소로 보였다. 첫 골스캔을 시행하기 전에 신절제술을 받은 20명의 환자를 제외한 138명의 환자중 70명 (50.7%)에서 비정상 신섭취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중 골전이가 있는 17명(3명은 첫 골스캔 전에 신절제술을 받았음)의 환자중에서는 14명(82.4%)에서 비정상 신섭취를 관찰할 수 있었다. 비정상 신섭취를 보이는 70명중에서 가장 흔한 두 가지 형태는 광자결손병소와 크기가 커져있으면서 약한 섭취를 보이는 경우로 각각 35명(50%)과 17명(24.3%)이었다. 그리고 골의 통증과 병적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4명의 환자에서는 골스캔상 비정상 신섭취와 골의 병소를 관찰함으로써 인식되지 못했던 원발 종양(신세포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결 론 : 골스캔상 신세포암으로부터의 골전이 병소의 양상과 신섭취 형태를 잘 이해함으로써 골전이 병소를 잘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발 종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신세포암으로 오인된 다방성 낭종 형태의 신장의 유상피 혈관근지방종: 증례 보고 (Multiloculated Cystic Type Renal Epithelioid Angiomyolipoma Mimicking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 김병수;서정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92-1296
    • /
    • 2021
  • 신장의 유상피 혈관근지방종은 혈관근지방종의 드문 변이형으로 현저한 유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유상피 혈관근지방종은 일반적으로 종양 내부의 출혈과 다양한 정도의 괴사 혹은 낭성 변화를 동반한 크기가 큰 불균일한 연조직 종괴로 나타난다. 우리는 64세 여성에서 발견된 신세포암으로 오인된 다방성 낭종 형태의 신장의 유상피 혈관근지방종에 대해 발표하려 한다. 낭종 내 다량의 출혈, 조영 전 검사에서 고음영의 벽과 격막, 그리고 비대된 종괴 내혈관들이 신세포암을 감별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

동측 신장에서 발생한 동시성 집합관세포암종과 요로상피세포암: 2예 보고 (Urothelial Carcinoma of the Renal Pelvis with Synchronous Ipsilateral Collecting Duct Carcinoma: Two Case Reports)

  • 배상빈;윤성국;나서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222-229
    • /
    • 2024
  • 신장의 동시성 악성종양은 드물게 발견되며, 신장 수술 후 진단된다. 신세포암과 요로상피세포암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보고 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신세포암의 아형은 투명세포형 신세포암이지만, 동시성 집합관세포암종과 요로상피세포암이 동반되는 경우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동측 신장에서 발생한 동시성 집합관세포함종과 요로상피세포암의 2건의 증례를 보고한다.

두경부에 다중전이된 신세포암 1례 (A Case of Multiple Head and Neck Metastases of Renal Cell Carcinoma)

  • 고중화;신지철;박승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2-216
    • /
    • 1999
  • Renal cell carcinoma is the third most common metastatic tumor to the bone and soft tissues of the head and neck. The common sites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in head and neck region ar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es, oral mucosa, gingiva, tongue, palate, lip as the favored site.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one patient with metachronous oral tongue, nasal cavity and suspicious brain metastases after 2 years of renal cell carcinoma nephrectomy. Also, the patient had history of total thyroidectomy for thyroid follicular carcinoma. Total excision of nasal cavity and tongue mass were performed. Therapeutic aspects are briefly reviewed in literature.

  • PDF

갑상선에 전이된 신세포암 1예 (A Case of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to Thyroid Gland)

  • 고영범;박기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2-64
    • /
    • 2013
  • The distant metastasis is found out in about 25-57% of the patients with renal cell carcinoma at the time of diagnosis. But, the incidence of metastases to the head and neck region, especially to the thyroid gland, is rare. Most of patients with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to the thyroid gland are asymptomatic at presentation as patients with primary thyroid carcinoma. In the presence of clear cell tumor of the thyroid gland, the diagnostic considerations must include metastatic renal cell carcinoma. We report a case of thyroid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at the time of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