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생아 간호사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 강현주;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52-26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을 이해하고 개인의 생생한 경험의 전체적인 의미 구조를 기술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S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면서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이 있는 간호사로서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되었으며 자료가 충분히 포화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까지로 정하여 총 8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참여자와의 개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근거로 분석되었다. 결과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의 구조는 '사투하는 환아의 생명존중과 안위존중의 갈림길', '환아의 죽음에 대한 정서적 고통', '환아의 죽음에 대처하며 적응하기', '임종 환아 돌봄에 대한 새로운 기대'의 4개의 주제모음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질적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을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하면서 환아의 임종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이 느끼는 정서적인 갈등과 어려움을 다루고 지지해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종 환아 돌봄에 대한 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임종 환아의 부모와 의료인을 위한 시간과 공간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으면 한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라진숙;채선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76-84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모유수유 특성에 따른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활동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과 대전, 대구의 총7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153명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결과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은 59.3%의 정답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모유수유에 대한 태도는 5점 척도에서 평점 $3.70{\pm}0.41$으로 다소 긍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모유수유 간호활동은 중간정도로, 평점 $3.26{\pm}0.74$이었다. 모유수유 지식은 모유수유 태도(r=.554, p<.001) 및 모유수유 간호활동(r=.203, p=.002)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모유수유 태도와 간호활동도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243, p=.00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 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위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신생아집중치료실 캥거루케어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 (Perception of Nurses and Physicia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n Kangaroo Care)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230-237
    • /
    • 2011
  • Purpose: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kangaroo care in nurses and doctors work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in Korea. Methods: One hundred forty-nine nurses and nineteen doctors working in the NICU from six university hospital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Results: Most agreed that Kangaroo care promoted attachment and parental confidence as well as physical health of the infant. However, nurses and doctors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in providing kangaroo care for premature infants under 1,000 grams or within several hours after birth. Major barriers for kangaroo care were worrying about extubation and safety problems of premature infants. Married or senior nurses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others. Also nurses who worked in hospitals where kangaroo care was provided had a lower barrier perception than other nurses. Conclusion: Nurses and doctors working in NICU worried about adverse effects of kangaroo care even though they perceived positive effects. Standard education programs and manuals should be developed before dissemination of kangaroo care in Korea.

간호사의 신생아 통증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eonate Pain Management Performed by Nurses)

  • 노인숙;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90-19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eonatal pain management by nurses in order to provide evidence-based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ient neonatal pain care program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o survey 204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nd nurseries in Busan.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to September 2010. General knowledge of pain and pain scale, pain intervention, neonatal pain management, and barriers to pain management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7.0. Result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affecting neonatal pain management by nurses, the unit where the nurse worked was the most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education level, and barriers from medical personnel in that ord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our variables accounted for 42.0% of neonatal pain management.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knowledge of neonatal pain management for nurses caring for neonates. Also, plans for reduction of obstacle factors in medical personnel should be prepared.

산후조리원 내 신생아를 위한 원격 관리 시스템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Newborns In Postpartum Care)

  • 정이진;고지연;위다연;이혜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9-1021
    • /
    • 2022
  •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 내 신생아를 위한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시스템들은 공기질 문제만을 해결하거나, 모니터링 문제만을 해결하는 등 단순한 동작과 감시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제안하는 시스템은 실내와 신생아 주변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를 통하여 공기질을 포함한 실내 환경과 신생아를 모니터링하여 간호사와 산모가 쉽게 신생아의 건강을 웹과 엡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으로 관리한다. 또한,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얼굴을 인식하고 표정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고 있다.

신생아실 의료인력의 적정성 및 신생아관리료의 타당성 분석 (Adequacy of Medical Manpower and Medical Fee for Newborn Nursery Care)

  • 박정한;김수용;감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4호
    • /
    • pp.531-548
    • /
    • 1991
  • 신생아의 질적 관리를 위해 신생아실 의료인력과 의료수가의 타당성을 파악하고자 영남지역내 24개 소아과 수련병원 가운데 신설병원과 모(母)병원의 수련프로그램에 의존해 있는 병원을 제외한 20개 병원의 신생아실을 대상으로 1991년 7월 29일에서 8월 14일 사이에 각 병원을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신생아실 대장에서 1991년 6월 한달동안 입.퇴원한 정상 및 환아수를 조사하고 신생아실 수간호사와 소아과 의사를 면담하여 정상신생아 관리에 소요되는 최소한의 간호시간, 인력현황, 인력의 적정성, 그리고 인력확보의 문제점을 조사하였고 자 병원 보험심사과에서 정상 질분만시와 제왕절개분만시 산모 1인당 평균 산모 및 신생아관리분의 의료비를 조사하였다. 정상신생아 1명당 하루에 필요한 최소한의 간호시간은 평균 179.5분(${\pm}58.6$)이었고 대학병원은 202.3분(${\pm}50.7$), 종합병원은 164.2분(${\pm}60.5$)이었다. 최소한의 간호 요구시간 대 제공가능한 간호시간 비는 평균 1.42였고 환아에 대한 간호 요구량을 감안했을 때는 평균 비가 2.06으로 간호인력이 매우 부족하였다. 미국 소아과학회가 권장한 신생아실 간호인력을 기준으로 할 경우 간호사는 31%, 간호조무사는 17%가 충원된 상태였다. 신생아실 수간호사의 90%와 소아과 의사의 85%가 간호사가 부족하다고 했고 간호조무사는 각각 75%가 부족하다고 했다. 간호인력 보충이 안 되는 주된 이유는 재정사정이라고 하였다. 간호조무사의 경우는 인력구하기 힘든 것이 재정사정 다음으로 중요한 이유였다. 그러나 국립대학병원의 경우는 의사와 간호사는 T.O.의 제한이 주된 이유라고 했다. 정상 질분만으로 2박 3일만에 퇴원하는 경우 총 의료비는 평균 219,430원이었고 이 중 신생아분은 20,323원(9.3%)이었으며, 제왕절개분만으로 6박 7일만에 퇴원할 경우 평균 732,578원이었고 이 중 신생아분은 76,937원(12.0%)이었다. 원가계산방식에 의한 신생아관리에 대한 최소한의 원가는 3차진료기관의 경우 1일 16,141원, 기타 종합병원은 14,576원으로 원가가 의료보험수가의 각각 5.0배, 4.9배나 되었다. 오늘날의 의료인력의 인건비 수준과 병원시설 및 관리비를 감안할 때 현행 의료수가로 양질의 신생아관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에서 신생아 중환자실의 현황 (Current statu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 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43-247
    • /
    • 2008
  • 대한신생아학회에서 실시한 세 차례의 조사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신생아 중환자실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신생아 중환자실의 면적은 다소 향상되었으나 아직 집중치료를 위한 수준의 면적의 60% 정도에 머물러 있으며, 가스송출구 등의 설비도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신생아 집중치료에 중요한 인공환기기 등의 장비의 보유 숫자는 증가하였으나, 환자를 담당할 인력의 부족 현상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신생아 중환자실 담당 전문의는 1.2명, 전공의는 1.7명으로 1999년 보다 감소하였으며, 간호인력의 부족도 오히려 악화되었다.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수는 평균 7,7명으로 많은 부담이 되어 집중치료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신생아 집중치료에 대한 비현실적으로 부족한 건강보험수가 때문에 의료기관들이 시설이나 장비 부족에 대해서는 다소 개선을 하였으나 인력 투입에 매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전국적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의 병상 규모는 필요병상수의 71.1% 정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신생아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Neonatal Nurse'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ehavior to Protect Patient Privacy)

  • 유미;김미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4-433
    • /
    • 2012
  • Purpose: With the rapid increase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medical environment, protection of patient's privacy is a crucial issue to hospital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neonatal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behavior to protect patient priv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ere 182 nurses in nursery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using EMR or OCS in November, 2011. Results: Perception and performance averaged 4.61 and 4.04 (out of 5)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score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2.73 (out of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performance. The performance of behaviour to protect patient priv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key determinants of performance were recognition of necessity of patient privacy educa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erception, and these explained 36% of the total variance of performance.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 a need to establish policy to protect privacy of neonates and their familie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neonatal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이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for Multidrug Resistant Organism on Infection Control by NICU Nurses)

  • 임지희;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72-18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for multidrug resistant organism (MDRO). Methods: One group pre-post time series design was us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for MDRO infection was provided to nurses workin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Knowledge and recognition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Hand hygiene compliance, MDRO isolation rate and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CLABSI) rate were used as outcome variables. Data from 45 nurses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General knowledge about MDRO increased (p=.011).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image of MDRO and MDRO management tended to change in a positive direction (p=.046). Hand hygiene compliance was 100% at pre-test, 79.5% during education period and 98.4% at post-education period. MDRO isolation rate was 6.83 per 1,000 patient days at pre-test, 10.24 during education period and 6.68 at post-education period. CLABSI rate was 3.76 per 1,000 central line days at pre-test, 6.84 during education period and 4.71 at post-education period.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he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knowledge about MDRO in NICU nurses. However, more reliable indicators should be used to determine long-term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