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신생아의 행동반응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1초

NICU Network Neurobehavioral Scale(NNNS, N'S)

  • 한경자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권
    • /
    • pp.17-19
    • /
    • 1998
  • NNNS는 정상, 고위험신생아의 포괄적 검사를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1) 중추신경계의 통합성을 반영하는 항목들 뿐만아니라 능동 및 수동 근육탄력성과 원초적 반사작용들을 사정하는 고전적 신경학적 항목; (2) 의식상태, 감각 및 상호작용 반응들을 포함하는 행동종목들; (3) 스트레스/위축항목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NNNS는 발달과 행동의 성숙, 중추신경계의 통합성 그리고 영아의 스트레스반응들을 사정한다.

  • PDF

신생아의 행동반응에 대한 실무교육이 간호사와 신생아와의 유희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of Newborn's Behavior Response on the Nurse-Newborn Play Interaction)

  • 양영옥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service education on the nurse-newborn play interaction. The research design adopted the pre-experimental design applied only for one pretest-posttest group and Barnard's mother-infant interaction model was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subjects were 26 nurses who were selected from 2 nurseries in general hospital in Pusan, and 52 healthy newborns who were after 4 days from birth during data collection period at the same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st to October 5th in 2001, by video-taping for the interactive behaviors between the nurse and the newborn, played for 5 minutes in nurseries 2 weeks before and after in-service education. The in-service education consisted of the newborn's behavior responses focused on the newborn baby's states, behavior, cues and state modulation, 3 times per 1 week, 90 minutes per 1 time, lecture, demonstration and hand out project. The experimental tool used for this research was Ha Young-Soo's Korean translation of the Maternal-Infant Play Interaction Scale by Thompson, Jody Baird, Sara Gordman, Bryant(1982), some parts of which were adapted to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other and baby scale by Wolke & James-Roberts(1987) was also modified and used as the criterion of nurse's perception of a newborn bab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is result supported the major hypothesis : After the intervention of in-service education, the nurse and newborn play interaction was promoted. 2. After intervention of in-service education, the nurse perception of newborn, especially the criteria of newborn's reaction was promo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firm that in-service education on the newborn's behavior responses such as states, behavior, cues and state modul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urse and the baby. It elevated the nurse's sensitivities to the baby's needs. Therefore, in-service education can change the conditions of current nursing practice mostly centered on physical care into a better one in which nurses consider the emotional, soci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stages of babies. Accordingly, in-service education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effective nurse-newborn play interaction so positively.

  • PDF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가 저출생체중아의 생리적 반응과 행동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Intervention - Mother's Song' on Physical Response and Behavioral State of Low-Birth Weight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박지선;홍경자;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98-206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저출생체중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 시내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대상자를 임의표출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총 48명의 영아중 실험군 24명, 대조군 24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받은 저출생체중아는 활력징후의 생리적 반응인 심박동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행동상태 점수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즉, 노래 들려주기 중재를 제공받은 저출생체중아는 행동상태가 안정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오랜 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저출생체중아를 위한 긍정적인 청각자극으로서 어머니의 노래 들려주기 중재를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중재를 통해 재원기간 동안 저출생체중아의 돌봄에 어머니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아와 부모 사이의 이른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간호실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모유경구투여가 발뒤꿈치 천자 시 신생아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breast milk on pain response of the neonates during heel lancing)

  • 김경화;박영임;김태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203-215
    • /
    • 2016
  • 신생아는 통증을 충분히 지각할 수 있는 해부학적 신경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출생초기 통증경험은 이후 통증자극 경험 시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장기적인 신경해부학적, 행동적 후유증을 동반한다. 따라서 신생아기 통증관리는 신생아 간호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유를 이용하여 통증이 동반되는 발뒤꿈치 천자 시 모유경구투여가 신생아의 통증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생아 통증관리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유경구투여는 통증을 수반하는 간단한 처치 시 신생아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모유의 통증완화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간호 실무에서 통증완화 중재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반복연구를 통한 경험적 근거의 축적과 더불어, 모유경구투여 중재가 독자적 간호중재로서 간호 실무에 적극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소아 난청의 조기진단을 위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에 대한 평가 (Investigation of Automated Neonatal Hearing Screening for Early Detection of Childhood Hearing Impairment)

  • 서정일;유시욱;공승현;황광수;이현정;김중표;최현;이보영;목지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06-710
    • /
    • 2005
  • 목 적 : 출생 후 3세까지는 언어와 청각신경로의 발달의 가장 중요한 시기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서 선천성 난청의 조기 진단은 청력 손실로 인한 언어장애를 최소화 하고 언어 발달을 위한 재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정상적인 언어 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충분한 통계가 없지만 미국의 경우 정상 신생아의 1,000명당 2-7명이 선천성 영구적 난청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2세 이전에 난청이 발견되어 치료하지 않는다면 언어발달의 중요한 시기를 놓치게 되어 행동장애나 학습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통해 신생아 난청의 빈도를 파악하여 신생아 청력검사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 2003년 5월 20일부터 2004년 5월 19일까지 좋은문화 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2,755명 중 부모의 동의를 얻은 1,718명을 대상으로 생후 1개월 이내 내간유발반응검사(AABR. ALGO-3)를 이용하여 35 dB의 소리를 주어 시행하였다. 난청의 위험요소가 있는 군과 위험요소가 없는 군으로 구분하였고 1차 청력검사에서 통과된 경우 'pass'군 통과되지 않는 경우 'refer'군으로 하였다. 생후 1개월내 청력검사에서 'pass'되지 않았으면 1개월 뒤에 재검사를 받도록 하였고 재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 난청 클리닉에 의뢰하여 난청을 확진하였다. 결 과 : 총 1,718명 중 'pass'군과 'refer'군 사이의 분만형태 출생체중 재태연령에는 차이가 없었다. 1차 검사에서 'refer'가 나온 경우는 총 45명(2.6%)이었으며 이중 35명이 재검사를 받았으며 10명은 재검사를 거절하였다. 재검사한 35명 중 6명(17.0%)이 재검사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모두 선천성 난청으로 진단되었다. 이는 전체 검사자 1,718명의 0.35%(1,000명당 3.5명) 해당되었다. 'refer'군에서 한 가지 이상 위험요소가 동반되는 경우는 45명 중 10명(22.2%) 'pass'군에서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는 1,673명 중 263명(15.7%)으로, 위험 요소가 있으면서 'refer'가 나온 군이 위험요소가 없으면서 'refer'가 나온 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신생아기의 난청의 빈도가 1,000명 당 3.5명으로 외국 통계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천성 대사질환보다 월등히 빈도가 높으며, 태어나는 신생아에서 반드시 신생아 청력선별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가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리적 반응, 수면행동상태 및 체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ring Recorded Mother's Voice on Physiological Reactions and Behavioral State of Sleep, Weight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미향;강인순;김영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85-195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극소저체중출생아를 대상으로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 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D대학교의료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대상자를 임의표출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총 22명의 영아중 실험군 11명, 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녹음된 엄마 목소리 들려주기를 제공받은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생리적 반응인 심박동수, 호흡수와 산소포화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면행동상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안정된 상태를 보였다. 또한 일일체중증가의 변화량이 실험군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극소저체중출생아 자기 엄마의 녹음된 엄마목소리 들려주기는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초기 양육환경 조성에 매우 긍정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입원기간 동안 영아와 부모 사이의 상호작용 증진의 기회를 제공하여 극소저체중출생아 돌봄에 엄마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간호 실무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자녀양육에 대한 국내 간호학분야 연구논문 분석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Child Rearing in Korea)

  • 이동원;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64-27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수행된 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추후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설정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KoreaMed, 한국학술정보,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과학기술학회 마을, 한국교욱학술정보원의 5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2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개념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별(기술적, 설명적, 처방적 지식)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설계는 실험연구가 27.3%, 비실험연구가 72.7%였고, 연구대상자는 양육자로는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36.0%), 피양육자로는 신생아가 가장 많았다(29.6%). 양육속성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이 가장 많았고(49.9%), 양육지식 영역이 가장 적었다(2.2%). 양육속성의 하위영역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효능감 양육태도 등의 순이었고, 양육실제 영역에서는 애착, 부모-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양육실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장/발달/행동 영역에서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 행동/건강 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식체 유형별로는 설명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55.2%), 처방적 지식(30.0%), 기술적 지식(14.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식체가 개발되었으나 처방적 지식의 개발이 미흡하며, 발달단계별 양육과 어머니 외의 다른 양육자 대상 연구가 부족하였고, 양육의 실제적인 측면보다는 양육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연구가 더 많았다. 따라서 양육의 공동 책임자인 아버지와 대리 양육자 대상의 연구, 아동의 발달 단계별 건강을 위한 아동간호학의 차별화된 지식 개발 연구, 양육실제를 유도하는 처방적 지식을 개발하는 연구와 아동양육의 국가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아동양육정책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프래더 윌리 증후군의 유전학적 발병 기전에 따른 표현형 및 성장 호르몬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Phenotype-genotype correlations and the efficacy of growth hormone treatment in Korean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 배근욱;고정민;유한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315-322
    • /
    • 2008
  • 목 적 : PWS의 두 가지 대표적 유전형인 미세결실형과 mUPD (15)형에서, 유전형에 따른 표현형의 차이와 성장 호르몬 투여 효과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15번 염색체의 미세 결실에 대한 FISH 검사 및 메틸화-특이 PCR 검사를 통해 PWS로 확진된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시 부모의 연령, 출생 체중, PWS의 주요 표현형인 신생아 시기의 저긴장증, 수유 문제, 남아의 경우 잠복 고환, 발달 지연 및 정신 지체, 저신장, 저색소증, 사시, 척추측만증 등의 유무, 성장 호르몬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미세결실형 군과 mUPD(15)형 군으로 나누어 유전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유전학적 검사상 53명의 대상 환아 모두 미세결실형 또는 mUPD(15)형으로 진단되었으며, 미세결실형은 39명, mUPD (15)형은 14명이었다. 평균 진단 연령은 $4.51{\pm}5.19$세였다. 출생 당시 부모의 연령은 mUPD(15)형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01), 저색소증(P=0.0001)과 신생아기의 수유 부전(P=0.049)은 미세결실형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나, 그 외의 조사된 표현형에서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성장 호르몬은 20명의 환아[미세결실형 14명, mUPD(15)형 6명]에게 평균 $27.9{\pm}11.9$개월 동안 투여되었다. 두 유전형 간에 성장 호르몬 치료 전 및 치료 후의 신장 SDS, 체중 SDS, 체질량지수, IGF-1, IGFBP3, 신장 증가 속도, 체중 증가 속도의 값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PWS의 주요한 두 유전형의 비교에서, 부모의 연령은 mUPD(15)형에서 의미 있게 높았으며 신생아기 수유 부전과 저색소증은 결실형에서 의미 있게 많았다. 성장 호르몬의 치료 효과에서는 두 유전형 간에 의미 있는 반응의 차이는 없었다. 향후 두 유전자형과 다른 표현형들(예를 들면 행동, 발달, 지능 등) 과의 연관성에 관한 전향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