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상옥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mparison of (1962) and (2005) - Focusing on the Collapse of Order (<폭군 연산>(1962)과 <왕의 남자>(2005) 비교연구 - 질서의 붕괴를 중심으로)

  • Kim, Hyunsu;Yi, Hyo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169-179
    • /
    • 2017
  • The historical film is complex genre that give various messages of directors besides a historical fact. Shin Sangok and Lee Joonik are important historical film directors. Their films show director's style by various method of historical reproduction. Sin Sangok and Lee Joonik portrayed same person Yeonsan, in and . They described identical person and historical fact in a different way. This is due to director's view of history, time of re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so forth.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analysis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n history.

조선시대 『옥추보경』(玉樞寶經) 중의 신장(神將)에 관한 연구

  • 인즈화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2
    • /
    • pp.133-275
    • /
    • 2014
  • 『옥추보경』(玉樞寶經)은 송대의 유명한 도교 경전으로 정식 명칭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설옥추보경』(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說玉樞寶經)이다. 송·원시대 이후 『옥추보경』은 중국 각 지역에 광범위하게 전해지면서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명나라의 세종(世宗)과 신종(神宗)은 『옥추보경』을 새로 간행하여 직접 서문을 쓰고 동시에 매우 숭앙하였다. 『옥추보경』의 집주본이 조선에 전해진 시기는 대략 명대 시기로 보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전해졌던 『옥추보경』 집주본은 융경(隆慶) 4년(1570)에 전라도 무등산(無等山) 안심사(安心寺)에서 최초로 발간되었다. 그러나 당시 안심사 판본은 첫 페이지와 경문 중의 또 다른 페이지가 없는 불완전한 판본이었다. 옹정(擁正) 11년(1733)에 송몽삼(宋夢三), 서두추(徐斗樞) 등의 제안에 따라 영변(寧邊) 묘향산(妙香山) 보현사(普賢寺)에서 『옥추보경』을 새로 간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또한 불완전한 판본이었으며, 병진년(1736)에 잃어버린 두 페이지를 우연히 찾게 되면서 완전한 판본을 이루게 되었다. 이후 광서(光緖) 무자년(1888)에 김흡(金潝)이 『옥추보경』을 새로 교정하였고, 계룡산(鷄龍山)에서 이를 다시 간행하였다. 명대의 『도장』에 수록된 『옥추보경』 집주본에는 신장도(神將圖)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 세 종류의 판본은 모두 신장도(神將圖)가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 간행본과 비슷한 판본으로 영국의 대영도서관 소장본과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의 소장본 및 중국 국가 도서관 고적관의 소장본이 있다. 그런데 안심사 판본은 41명, 보현사 판본은 47명, 계룡산 판본은 48명의 신장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대영도서관은 45명, 중국 국가 도서관은 45명 등으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판본들에 수록된 신상의 수가 다른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에 본문에서 필자는 먼저 계룡산 판본 『옥추보경』에 근거하여 48신장의 내력에 대한 초보적인 고찰을 진행하였다. 언어상의 문제로 『옥추보경』과 관련된 한국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는 못했지만, 『옥추보경』의 48장과 대순진리회의 『전경』에 등장하는 48장이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조명하는 데 유의미한 기초 작업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를 토대로 나아가 대순진리회의 48신상도와 『옥추보경』의 판본간의 형태적 특징에 주목하여 면밀한 상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와 『옥추보경』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haracter of MongYong in Original ChunHyang Jun Films of Shin Sang-Ok directed in North and South Korea - Political Sociological Aspect of Characterization (신상옥 연출 남북한 『춘향전』 원작 영화 속 몽룡 '들' -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성격화')

  • Ahn, Soong-Beum
    • Cross-Cultural Studies
    • /
    • v.42
    • /
    • pp.343-369
    • /
    • 2016
  • This is an attempt to analyze original films of ChunHyang Jun that Shin Sang-Ok filmed in North and South Korea,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MongYong. These films were made during political transition periods of North and South Korea. Sung ChunHyang was made during the second republic of South Korea,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collapse of Rhee SyngMan government; and Love, Love, My Love was made in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power transfer from Kim Il-Sung to Kim Jong-Un. Considering these political changes, the character of MongYong seems to represent the figure of authority North and South Korean society of the time had in mind. First, MongYong in Sung ChunHyang has a strong image of a lover who repays ChunHyang's devotion and sacrifice with romantic affection. As an authoritative figure, he has the aspect of a democratic leader or mediator. On the other hand, MongYong's image in Love, Love, My Love is a heroic authority figure of the revolutionary class. He is a subversive reformer who shows love for the people and treats them favorably, gaining public desi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inspire more studies on the meanings of hit movies based on classic literature under synchronic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