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6.169

Comparison of (1962) and (2005) - Focusing on the Collapse of Order  

Kim, Hyunsu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영화학과)
Yi, Hyoin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historical film is complex genre that give various messages of directors besides a historical fact. Shin Sangok and Lee Joonik are important historical film directors. Their films show director's style by various method of historical reproduction. Sin Sangok and Lee Joonik portrayed same person Yeonsan, in and . They described identical person and historical fact in a different way. This is due to director's view of history, time of re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so forth. Therefore this paper is going to analysis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n history.
Keywords
Shin Sangok; Lee Joonik; Tyrant Yeonsan; King and the Clown; The Historical Fil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유희, "한국 사극영화 장르 관습의 형성에 관한 일고찰," 문학과 영상, 제9권, 제2호, pp. 335-364, 2008.
2 이효인, 한국영화사 공부 : 1960-1970, 이채, p.117, 2004.
3 이효인, 한국영화사 공부 : 1960-1970, 이채, p.223, 2004.
4 황영미, "한국 사극영화 장르의 유형 연구 : 이준익 사극 영화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68호, pp. 287-312, 2016.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FormerBoxOfficeList.do?loadEnd=0&searchType=search&sMultiMovieYn=N&sRepNationCd=K&sWideAreaCd=
6 김경욱, 김려실, 김미현, 김선아, 김소연, 김소희, 김영진, 김재희, 김종원, 김혜준, 남인영, 민인기, 박지연, 박희성, 배수경, 변인식, 신강호, 안재석, 오영숙, 유지나, 이길성, 이상용, 이순진, 이연호, 이우석, 임상혁, 정성일, 조혜정, 주유신, 허문영, 한국영화사-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p.175, 2006.
7 박유희, "한국 사극영화 장르 관습의 형성에 관한 일고찰," 문학과 영상, 제9권, 제2호, p.345, 2008.
8 "영화제작계에 적신호," 동아일보, 제5면, 1962.11.21.
9 이기대, "연산군 관련 영화에 나타난 인물 형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미," 인문언어, 제13권, 제2호, 2011.
10 송인자, "조선시대 가족문화의 교육적 의미," 교육학연구, 제40권, 제3호, pp. 65-87, 2002.
11 연산군일기 47권.
12 이효인, 한국영화사 공부 : 1960-1970, 이채, p.19, 2004.
13 이효인, 한국영화사 공부 : 1960-1970, 이채, p.24, 2004.
14 장윤미, "영화 속의 연산군과 '불안'," 한국문화기술, 제18권, pp. 105-127, 2014.
15 전성철, "사극을 근간으로 하는 한국영화의 역사 재현에 관한 연구," 동서언론, 제15집, pp. 91-113, 2012
16 김남석, "역사극의 요건과 기준 - 극 장르 일반의 관점에서," 영상문화, 제17권, pp. 115-138, 2014.
17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역, 영화 사전 - 이론과비평, 한나래, p.317, 2012.
18 김시무, "사극(史劇)과 팩션영화의 경계 : 일제 강점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한 영화를 중심으로," 시민인문학, 제16호, pp. 13-42, 2009.
19 E. H. 카, 권오석 역, 역사란 무엇인가, 홍신문화사, 1988.
20 전평국, "영화의 역사화 범주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35호, pp. 11-45, 2008.
21 존힐, 파멜라 처치 깁슨, 안정효, 최세민, 안자영 역, 세계영화연구, 현암사, p.216, 2005.
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5936&cid=46665&categoryId=46665
23 나운규, "'개화당'의 제작자로서," 삼천리, 제4권, 제7호, 1932년 7월호, 특대호 판형.
24 김경욱, 김려실, 김미현, 김선아, 김소연, 김소희, 김영진, 김재희, 김종원, 김혜준, 남인영, 민인기, 박지연, 박희성, 배수경, 변인식, 신강호, 안재석, 오영숙, 유지나, 이길성, 이상용, 이순진, 이연호, 이우석, 임상혁, 정성일, 조혜정, 주유신, 허문영, 한국영화사-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p.139, 2006.
25 이효인, 한국영화사 공부 : 1960-1970, 이채, p.41,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