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 모델

Search Result 3,2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low,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인터넷 쇼핑몰에서 플로우, 신뢰, 만족, 충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Jeong Gwang-Jin;Jang Kyung-H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2
    • /
    • pp.247-266
    • /
    • 2003
  • 최근 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의 충성도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쇼핑몰 사용자의 경험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많은 연구에서 이를 플로우란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최적 경험으로서의 플로우와 그 동안 인터넷 쇼핑몰 관련 연구에서 고객 충성도와의 긍정적 관계에 대해 논의가 있어온, 신뢰와 만족과의 관계를 공분산 구조 분석을 통해 경쟁 모델화 하여 비교함으로써 우수 모델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플로우와 신뢰, 만족, 충성도간의 관계를 모두 고려한 포화모델이 우수한 모델로 도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Ensuring Trustworthi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ing - Focusing on eXplainable AI's Use Cases - (인공지능 모형의 신뢰성 확보 방안에 관한 고찰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의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 Kim, Yoon-Myung;Kim, Younam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54-85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설명가능한 머신러닝 모델과 관련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보고, 최근 각광받는 주제인 신뢰성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근래의 인공지능 모델은 설명력을 덧붙여 정보 장벽을 낮추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모형이 제공하는 정보량이 늘고 사용자 진화적 인 방식으로 바뀌면서 사용자층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데이터 분석 분야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연구 주체들이 다양해지면서, 해당 모델이나 데이터에 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한다는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인공지능 모델의 신뢰성의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력의 발자취를 따라가보면서 인공지능의 설명가능성에 관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그 과정에서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어보면서 신뢰성 활보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해보려고 한다.

A Study on Admissibility Framework for Establishing Trust in Digital Records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Trustworthiness Model for Public Digital Records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확립을 위한 증거능력 구현체계 연구 우리나라 공공 전자기록의 신뢰가치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Hyun, Moonsoo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3
    • /
    • pp.5-4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rustworthiness model for public digital records, as an admissibility framework for establishing trust. The trustworthiness model is deemed to used to identify the qualities of the digital records in their lifecycle, including the identity that could be identified at the time of the creation, integrity obtained from the chain-of-custodial management, the evidence of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activities and records, and the technical or cognitive accessi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ADEP model, it was decided to develop a model that could measure the trustworthiness of public digital records in the external measurement type, which are authenticity, reliability, and usability. In line with this direction, the model expanded measurement areas and indicators of the QADEP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ISO 16175-1:2020, and measuring metrics was also proposed so that it could be a measuring instrument for public digital records in Korea, after analysing NAK 19-3. It would be useful to expand the model and to test the approach of the trustworthiness model for public digital records.

Parameter Estimation of Reliability Growth Model with Incomplete Data Using Bayesian Method (베이지안 기법을 적용한 Incomplete data 기반 신뢰성 성장 모델의 모수 추정)

  • Park, Cheongeon;Lim, Jisung;Lee,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10
    • /
    • pp.747-752
    • /
    • 2019
  • By using the failure information and the cumulative test execution time obtained by performing the reliability growth tes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arameter of the reliability growth model, and the Mean Time Between Failure (MTBF) of the product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parameter estimation. However the failure information could be acquired periodically or the number of sample data of the obtained failure information could be small. Because there are various constraints such as the cost and time of test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This may cause the error of the parameter estimation of the reliability growth model to increase. In this study, the Bayesian method is applied to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the reliability growth model when the number of sample data for the fault information is smal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ion accuracy of Bayesian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that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respectively in estimation the parameters of the reliability growth model.

A Fuzzy Trust Model incorporating Dispositional Trust, General Trust, Situational Trust and Reputation (기질신뢰, 일반신뢰, 상황신뢰, 명성을 고려한 퍼지 신뢰모델)

  • Lee, Keon-Myung;Lee, Kyung-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6
    • /
    • pp.653-658
    • /
    • 2006
  • Trust can be defined as the level of subjective probability with which an agent will perform a particular action.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fuzzy trust model which incorporates dispositional trust, general trust, and situational trust and reputation information. In the model, the preference degrees for the interaction outcomes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criteria are expressed in a fuzzy set, and Sugeno's fuzzy integral is employed to aggregate the satisfaction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criteria which can be assigned in a way to preserve the properties of the ${\lambda}-fuzzy$ measure.

Reliable Hub Location Problems and Network Design (신뢰성에 기반한 허브 입지 모델과 네트워크 디자인)

  • Kim, Hy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540-556
    • /
    • 2009
  • The hub and spoke network is a critical network-based infrastructure that is widely applied in current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luding Internets, air transportation networks and highway systems. This main idea of hub location models is to construct a network system which achieves the economy of scale of flow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new hub location problems that take into account network reliability. Two standard models based on assignment schemes are proposed, and a minimum threshold model is provided as an extension in terms of hub network design. The reliability and interaction potentials of 15 nodes in the U.S. are used to examine model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 of models and reliability, hubs, and minimum threshold levels, relationships among the flow economy of scale, network costs, and network resiliency are analyzed.

  • PDF

다항지수 신뢰도 함수

  • Choi, Gyu-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108
    • /
    • 2007
  • 다항지수 신뢰도 함수(multinomial-exponential reliability function ; MERF) 는 소프트웨어의 고장/수정 공정을 세밀하게 수행하는 중에 개발되는 관계에 있다. 후에 MERF는 좀더 매우 단순화한 지수 신뢰도 함수(exponential reliability function ; EARF)로 근사화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MERF의 특성을 대부분 가지고 있어서 두 개의 함수가 하나의 신뢰도 함수로 단일화되도록 한다. 신뢰도 모델 MERF/EARF는 소프트웨어 고장 공정을 NHPP로, 수정공정을 다항분포로 고려한다. 이 모텔은 두 개의 공정 모두가 통계적 독립인 것으로 간주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의 이론적인 기준, 수학적 특성, 소프트웨어 신뢰도에의 응용을 검토한다. 이는 물리적 인 시스템을 검사하고 유지보수하는 선도적인 모델응용이다. 본 논문에는 소프트웨어 신뢰도 분석에 응용하는 하나의 수치 예를 포함한다.

  • PDF

A Study On The Delayed S Shaped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지연 S자형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모델에 관한 연구)

  • 문외식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 no.1
    • /
    • pp.195-210
    • /
    • 1996
  • For predicting the parameters and estimating the goodness of fit reliability growth model based on NHPP(Non Homogeneous Poission Process) among various reliability growth models, a Delayed S Shaped SRGM Tool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Implemented tool is applied to real software error data, and the result Is compared and annalized.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Level Ozone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Confidence Level Test (신뢰수준평가에 기반한 고농도 오존 예측모델의 성능평가)

  • 정재룡;안항배;송치권;배현;전병희;김성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195-198
    • /
    • 2002
  • 고농도오존이 발생되는 원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 신경회로 망과 같은 지능제어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어 왔다 분석과 모델링을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과 같은 최적화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고농도 오존이 발생되는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고, 비선형적이며, 패턴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고농도 오존의 예측 모델링에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뢰수준과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초농도 오존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서술하였다 예측값의 신뢰수준의 평가는 예측에 대한 실측값을 구하여 신뢰구간내의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테스트는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GMDH(Group Method of data handling)의 전형적인 알고리즘에 바탕을 두고 있는 DPNN(Dynamic Polynomial 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DPNN은 데이터 해석이 용이하고 비선형적인 동적 시스템 예측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A Study on Hybrid Trust Relationship Model and Recommendation Protocol for Peer-to-Peer Networks (Peer-to-Peer 네트워크 상에서 혼합형 신뢰도 관계성 모델 및 추천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 Kim, In-Ho;Yong, Whan-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5-138
    • /
    • 2002
  • Peer-to-Peer 네트워크 상에서 구성원과 구성원 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 각 구성원 및 구성원이 보유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Trust)를 측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구성원 사이에 신뢰도에 대한 관계성을 정의하는 기존의 신뢰도 관계성 모델의 한계점을 개선한 혼합형 신뢰도 관계성 모델을 제시하고, 신뢰도 추천 프로토콜과 신뢰도 측정에 대한 확장 및 개선점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