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금융분야 AI의 윤리적 문제 현황과 해결방안

  • Lee, Su Ryeon;Lee, Hyun Jung;Lee, Aram;Choi, Eun Jung
    • Review of KIISC
    • /
    • v.32 no.3
    • /
    • pp.57-64
    • /
    • 2022
  • 우리 사회에서 AI 활용이 더욱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AI 신뢰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증가했다. 특히 최근 대화형 인공지능'이루다'사건으로 AI 윤리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졌다. 금융 분야에서도 로보어드바이저, 보험 심사 등 AI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AI 윤리 문제가 AI 활성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활용 도메인과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에 따라 나눈다. 금융 AI 기술 분야에 따른 윤리 문제를 분류했으며 각 분야별 윤리사례를 제시했고 윤리 문제 분류에 따른 대응 방안과 해외에서의 대응방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식을 소개하며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금융 AI 기술 발전에 더불어 윤리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금융 AI 기술 발전이 AI 윤리와 조화를 이루며 성장하길 바라며, 금융 AI 정책 수립 시에도 AI 윤리적 문제를 염두해 두어 차별, 개인정보유출 등과 같은 AI 윤리 규범 미준수로 파생되는 문제점을 줄이며 금융분야 AI 활용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Case Study of Pipe Leak Det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AI) 기반 상수도 누수탐사 사례 분석)

  • Tae Nam Moon;Chang Gun Shin;Bo Hya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6-496
    • /
    • 2023
  • 상수도관의 노후화 등으로 발생하는 누수는 안정적인 급수운영을 저해하고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지반 침하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수도관 누수는 배관 내·외부 부식으로 발생하는 핀홀(Pin Hole)로 인한 관통누수, 강관 용접 시 발생하는 시공불량, 볼트 및 고무패킹 등 부자재의 노후화, 굴착 등 작업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관 내부수가 관 밖으로 유출되어 발생하는 파열음, 유출수와 지반과의 마찰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청음식, 상관식 누수탐사와 같은 기존 누수탐사 방식은 전문가의 경험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으며, 기존 장비의 특성상 비금속관 및 대구경관 등 특정 환경에서는 적용이 어려우며, 효율적인 탐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 누수가 의심되는 구간을 대상으로 실시간 누수음 데이터 수집 및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조사방법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누수탐사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Software Development for Auto-Generation of Interlocking Knowledgebas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 (인공지능기법에 근거한 철도 전자연동장치의 연동 지식베이스 자동구축 S/W 개발)

  • Ko, Yun-Seok;Kim, Jong-S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a
    • /
    • pp.440-44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자연동장치의 확장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전자연동장치의 실시간 연동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동 지식베이스를 자동 생성, 구축할 수 있는 지능형 연동지식베이스 자동 구축 소프트웨어(IIKBAGS)를 개발한다. IIKBAGS의 추론부는 주어진 역 모델의 동적탐색하에서 휴리스틱 규칙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모든 진로를 탐색함은 물론 각 진로들에 대해 진로상 신호설비들간의 연쇄관계를 확인하여 연동패턴들을 자동생성하는 연동지식 자동생성기능을 가진다. 지식베이스는 전자연동장치상의 실시간 전문가 시스템이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연동도표 입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배제, 연동장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 PDF

A Research the literature on AI service security (AI 서비스 보안에 대한 자료 조사)

  • Juwon Kim;Jaek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03-606
    • /
    • 2023
  • 인공지능 (AI) 서비스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보안과 관련된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AI 서비스의 보안과 관련된 문제와 해결책을 조사하고자 한다. AI 서비스의 개요와 대표적인 상용 서비스를 간략히 소개 후, AI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와 Chat GPT를 중심으로 한 보안 문제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또한, 향후 AI보안 서비스 연구 분야와 적재적 기계학습 연구에 대한 전망을 살펴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utonomous Decision Right of Emotional AI based on Analysis of 4th Wave Technology Availability in the Hyper-Linkage (무한연결시 4차 산업기술의 이용 가능성 분석을 통한 감성 인공 지능의 자율 결정권에 관한 연구)

  • Seo, Dae-S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8
    • /
    • pp.9-19
    • /
    • 2019
  •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social science research as research on the impact on industry and changes in daily life, etc. This means that developing 'emotion AI' will prepare 'next-generation 3D-vector-sensitive AI'. This suggests the main keywords of the tertiary AI decision-making power. Particularly important results will be achieved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current unethical learn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decision-making systems that reflect ethical value judgments. This is a data based simulation, and required (1)Available data, (2)the technology for the goal of simulation. This takes into account the general content of the intended simulation based research. Currently, existing researches focus on meaningful research motivation, but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technology. So, empirical analysis is consistent with the decision-making power of each country vs. new technology firms for AI on ehtic responsibility. As a result, there is a need for a concrete contribution and interpretation that can be achieved for the ethic Responsibility, on the technical side of AI / ML. In AI decision making, analytic power of human empathy should be included tech own trust.

A Study on Policy Acceptance Intention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ublic Service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Perception & Digital Literacy Level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 정책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 개인의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Jang, Changki;Sung, WookJoo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1
    • /
    • pp.60-8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on the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ublic services. For empirical analysis,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planned behavior theory using survey data of 2017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ly, the pos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lays a role in reinforcing attitudes toward benefits and reducing concerns about public servic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Secondly,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reinforces both benefits and concern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use public services was reinforced through the benef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erceived by individuals, rather than privacy concern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benefits of individuals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inforced the intention to use public civil services, and privacy concerns nega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a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s opposed to privacy concerns, further reinforces the intention to use. Both citizens'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nstitutional complementation of responsibility for error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strengthened, and technical problems related to privacy protection are solved.

Comparative Study of AI Models for Reliability Function Estimation in NPP Digital I&C System Failure Prediction (원전 디지털 I&C 계통 고장예측을 위한 신뢰도 함수 추정 인공지능 모델 비교연구)

  • DaeYoung Lee;JeongHun Lee;SeungHyeok Ya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6
    • /
    • pp.1-10
    • /
    • 2023
  • The nuclear power plant(NPP)'s Instrumentation and Control(I&C) system periodically conducts integrity checks for the maintenance of self-diagnostic function during normal operation. Additionally, it performs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checks during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period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diagnose failures and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In this paper, we studied methods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function by utilizing environmental data and self-diagnostic data of the I&C equipment. To obtain failure data, we assumed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component features of the I&C equipment and generated virtual failure data. Using this failure data, we estimated the reliability function using representative artificial intelligence(AI) models used in survival analysis(DeepSurve, DeepHit). And we also estimated the reliability function through the Cox regression model of the traditional semi-parametric method. We confirmed the feasibility through the residual lifetime calcul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and diagnostic dat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School Report Document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생활기록부 작성 효율성 제고 향상 연구)

  • Seo, Jung-Ho;Kim,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09-41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대입수시전형에서 생활기록부 입력은 대한민국 입시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평가자료이다. 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교사들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 가장 많이 참고하는 자료로는 수행평가 결과물, 발표내용, 보고서, 감상문 등의 학습 결과물(90%), 학생들이 작성한 자기평가서(73.3%), 관찰 평가지(50%)로 나타났으며, 80%(24명)의 교사들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 고충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들이 느끼는 고충의 원인으로는 학생들의 개인별 특성 파악이 어려워 차별성있게 작성하는 것(76.7%)을 가장 힘들어 하였고, 작성해야 할 많은 수의 학생(60%), 문구를 만드는데 대해 부담(86.7%)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성 뿐만 아니라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작업도 많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고안을 내었다. 교사들 역시 반복적이고 일률적인 생활기록부 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유용하게 활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90%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데 있어 기계적이고 단순한 작업을 도와 주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탐구보고서, 토론, 발표, 감상문 등의 생화기록부 작성 참고자료들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추상요약(Abstractive Summarization)을 통해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기록부 작성 참고자료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과 추상요약을 할 수 있는 개방형 데이터셋까지는 확보하였다. 추상요약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추가연구가 필요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교육 본질에 더욱 충실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내실 있는 생활기록부 작성이 공교육 신뢰 제고에 밑바탕이 되고자 한다.

  • PDF

Deep Prediction of Stock Prices with K-Means Clustered Data Augmentation (K-평균 군집화 데이터 증강을 통한 주가 심층 예측)

  • Kyounghoon Han;Huigyu Yang;Hyunseung Ch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4 no.2
    • /
    • pp.67-74
    • /
    • 2023
  • Stock price prediction research in the financial sector aims to ensure trading stability and achieve profit realization. Conventional statistical prediction techniques are not reliable for actual trading decisions due to low prediction accuracy compared to randomly predicted result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mprove accuracy by learning data characteristics and fluctuation patterns to make predictions. However, predicting stock prices using long-term time series data remains a challenging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stable and reliable stock price prediction method using K-means clustering-based data augmentation and normalization techniques and LSTM models specialized in time series learning. This enables obtain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prediction results and pursuing high profits, as well as contributing to market stability.

Innovation Systems for Industrial Safety in 4th Industrial Evolution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안전혁신시스템)

  • Suh, Yongyoon;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71-1276
    • /
    • 2017
  • 산업이 고도화되고 기술발전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생산현장에서의 사고와 재해는 아직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시스템의 대규모화, 복잡화, 다양화 등에 따라 나타나는 불안전한 상태(unsafe condition)와 근로자의 안전불감증, 낮은 학습효과, 안전문화 비활성화 등을 포함하는 불안전한 행동(unsafe behavior)에 기인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인간과 기계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데이터 가용성과 알고리즘 우수성이 확보되면서, 산업현장에서도 시스템과 공정안전을 위해 최신 기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품질 관리, 고장분석, 작업환경관리, 보건관리 등 생산관리의 다양한 범위에 새로운 산업안전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드론,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의 사례를 통해 안전한 생산현장은 물론 신뢰성할 수 있는 공공 및 사회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