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뢰성 모형

Search Result 1,8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oretical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miconductor Yield and Reliability (반도체 수율과 신뢰성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 Kim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132
    • /
    • 2006
  • 전통적으로 반도체의 신뢰성을 추정하는 방법은 생산 완료 후 수명검사 자료나 고객 양도 후 제품고장 자료로부터 얻어지는 후인형이다. 90년대에 들면서 제품의 수율과 신뢰성이 상호관련이 있다는 실험자료가 얻어짐에 따라 수율로부터 신뢰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그 이후 제품 설계시에 수율에 기초하여 신뢰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도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수율과 신뢰성을 통합할 수 있는 모형에 기초하여 수율과 신뢰성 사이의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증명하고자 한다.

  • PDF

A Performance Comparative Evaluation for Finite and Infinite Failure Software Reliability Model using the Erlang Distribution (어랑분포를 적용한 유한 및 무한 고장 소프트웨어 신뢰모형에 관한 성능 비교 평가에 관한 연구)

  • Yang, Tae-Ji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9 no.4
    • /
    • pp.351-358
    • /
    • 2016
  • Science and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as more powerful softwar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ftware testing and reliability assessment by the difficulty increases with the complexity of the software features of the larger increases NHPP software reliability models for failure analysis can have, in the literature, exhibit either constant, monotonic increasing or monotonic decreasing failure occurrence rates per fault. In this paper, finite failure NHPP models that assuming the expected value of the defect and infinite failures NHPP models that repairing software failure point in time reflects the situation, were presented for comparing property.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software reliability based on Erlang distribution software reliability model finite failures and infinite failures were presented for performance comparative evaluation problem. As a result, finite failure model is better than infinite failure model effectively. The parameters estim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n the cour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ftware developers to identify software failure property be able to help is concluded.

Performance Evaluation of Measuring Instrument for Infra-Red Signature Suppression System Model Test (적외선 신호저감 장치 모형시험을 위한 계측기의 성능평가)

  • SeokTae Yo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6
    • /
    • pp.21-27
    • /
    • 2023
  • Modern naval ships install an Infra-Red Signature Suppression system (IRSS) in their exhaust pipe to reduce infrared signature emit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naval ships are strategic assets with a very long life cycle, so high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on board must be guaranteed. Therefore, equipment such as IRSS is evaluated for performance through model testing at the design stage. A variety of measuring instruments are used in IRSS model testing, and the reliability of these instruments must also be guaranteed.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equipment used in IRSS model testing. The test equipment and instruments used were a hot gas wind tunnel, pitot tube, digital differential pressure gauge, thermocouple sensor, and digital recorder. As the fan speed of the hot gas wind tunnel increased, the measurement deviation of the flow decreased, and the temperature output of the thermocouple sensor showed differences in response time and stability depending on the method used.

Analysis of safety and allowable capacity of storm sewer according to debris accumulation (토사적체에 따른 우수관의 허용용량 및 안전도 해석)

  • Kwon, Hyuk-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9-249
    • /
    • 2011
  • 본 연구에서 AFDA(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를 사용하여 하수관의 성능불능확률(Probability of capacity failure)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전국 여러 도시의 연 최대강우강도(Yearly Maximum Rainfall Intensity)를 이용하여 그 확률분포함수를 규명하였고 우수관(Storm sewer)의 성능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모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하여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적용도시의 강우자료를 면밀히 분석하고 연 최대강우강도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신뢰함수를 구축하였으며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 산정을 위한 신뢰성 모형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우수관에 적체되는 토사의 깊이에 따라 우수관의 용량을 산정하였다. 재현기간별 강우강도를 사용하여 청주와 춘천의 원형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한 결과, 재현기간의 증가에 따란 성능불능확률을 급하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년, 10년, 20년 재현기간에 따른 연 최대강우강도를 사용하여 청주와 춘천의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또한 토사의 적체에 따른 우수관 유효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두 도시의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하였다. 원형 우수관의 성능불능확률을 산정한 결과, 토사의 적체에 따라 우수관의 용량은 감소하여 성능불능확률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수관의 용량 감소를 막고 성능불능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수관에 적체된 토사의 양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적체된 토사와 콘크리트나 강관벽면이 복합된 우수관에 대한 조도계수를 보다 더 정확히 정량화 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Study for ENHPP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based on Burr Coverage Function (Burr 커버리지 함수에 기초한 ENHPP소프트웨어 신뢰성장모형에 관한 연구)

  • Kim, Hee-Che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4
    • /
    • pp.33-42
    • /
    • 2007
  • Accurate predictions of software release times, and estimation of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software product require quantification of a critical element of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 test coverage. This model called Enhanced non-homogeneous poission process(ENHPP). In this paper, exponential coverage and S-shaped model was reviewed, proposes the Kappa coverage model, which maked out efficiency application for software reliability. Algorithm to estimate the parameters used to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and bisection method, model selection based on SSE statistics and Kolmogorov distance, for the sake of efficient model, was employed. From the analysis of mission time, the result of this comparative study shows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Burr coverage model rather than exponential coverage and S-shaped model using NTDS data. This analysis of failure data compared with the Kappa coverage model and the existing model(using arithmetic and Laplace trend tests, bias tests) is presented.

  • PDF

The Study for ENHPP Software Reliability Growth Model Based on Kappa(2) Coverage Function (Kappa(2) 커버리지 함수를 이용한 ENHPP 소프트웨어 신뢰성장모형에 관한 연구)

  • Kim, Hee-Che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12
    • /
    • pp.2311-2318
    • /
    • 2007
  • Finite failure NHPP model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exhibit either constant, monotonic increasing or monotonic decreasing failure occurrence rates per fault. Accurate predictions of software release times, and estimation of th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f a software product require Release times of a critical element of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 test coverage. This model called Enhanced non-homogeneous Poission process(ENHPP). In this paper, exponential coverage and S-shaped model was reviewed, proposes the Kappa coverage model, which make out efficiency application for software reliability. Algorithm to estimate the parameters used to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and bisection method, model selection based on SSE statistics and Kolmogorov distance, for the sake of efficient model, was employed. Numerical examples using real data set for the sake of proposing Kappa coverage model was employed. This analysis of failure data compared with the Kappaa coverage model and the existing model(using arithmetic and Laplace trend tests, bias tests) is presented.

A Development of Downscaling Model for Sub-daily Rainfall Based on Bayesian Copula model (Bayesian Copula 모형을 활용한 시간단위 강우량 상세화 기법 모형 개발)

  • Kim, Jin-Young;So, Byung-Jin;Kwon, Duk-Soo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9-229
    • /
    • 2016
  • 현재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경우 일단위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 설계 및 계획 시 중요한 입력자료 중 하나는 시간단위 강우 자료이다. 이러한 시간단위 자료는 강우-유추 분석, 댐 설계 및 위험도 분석에 있어 중요한 입력 변수중 하나이므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선 신뢰성 있는 상세화 기법이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일단위에서 일단위로 상세화 하는 기법, 또는 공간상세화 기법 연구는 상당히 진행된바 있는 반면, 시간단위 상세화 기법 연구는 일단위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즉 일단위 상세화 기법의 경우 Weather generator, Weather typing 등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사례가 많지만, 시간단위 상세화 기법의 Poisson 기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Bayesian 기법을 도입하여 신뢰성 있는 시간단위 강우량을 생성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연대별로 산정된 결과는 빈도해석을 통해 미래 확률강우량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Bayesian Copula 모형은 기존 주변확률분포(marginal distribution) 매개변수와 Copula 매개변수 추정시 각각 다른 기법을 활용하여 추정하며, 각각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추정하지 못하는 반면, Bayesian Copula 모형의 경우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추정되는 확률강우량 역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for NHPP Software Reliability Model based on Kappa(2) distribution (Kappa(2) NHPP에 의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에 관한 연구)

  • Kim, Hee-Cheu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6 no.5
    • /
    • pp.689-696
    • /
    • 2005
  • Finite failure NHPP model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exhibit either constant, monotonic increasing or monotonic decreasing failure occurrence rates per fault. In this paper, Goel-Okumoto and Yamada-Ohba-Osaki model was reviewed, proposes the Kappa(2) reliability model, which can capture the nomotonic decreasing nature of the failure occurrence rate per fault. Algorithm to estimate the parameters used to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and bisection method, model selection based on sum of the squared errors and Kolmogorov distance, for the sake of efficient model, was employed. Analysis of failure using real data set, SYS2(Allen P.Nikora and Michael R.Lyu), for the sake of proposing two parameter of the Kappa distribution, was employed. This analysis of failure data compared with the Kappa model and the existing model using arithmetic and Laplace trend tests, bias tests is presented.

  • PDF

The Effects of SWAT Model Parameterization on the Prediction of Runoff Characteristics Including Flood and Drought Years (홍수 및 가뭄년의 유출특성이 SWAT 모형 매개변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 Kim, Da Rae;Lee, Ji Wan;Ahn, So Ra;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1-151
    • /
    • 2016
  • 하천 유역의 수자원관리에 있어서 홍수 및 가뭄 기간에 유출의 규모와 빈도와 같은 유출특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수문모형은 이러한 유역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예측을 위해 이용되며, 수문모형의 결과물은 수문순환 과정의 공간적 표출이나 매개변수 추정방법 등 다양한 요인에 매우 민감하게 반영된다. 대부분의 수문모형 매개변수들은 해당 유역의 특성이나, 홍수 및 가뭄과 같은 극단적 유출상황에 따라 설정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며, 이는 모형의 신뢰성 있는 보정 및 유출량 모의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하천 유출량을 모의함에 있어서 홍수 및 가뭄년, 평년의 유출특성이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안성천 유역($1,658.7km^2$)을 대상으로 유역 내 3지점의 기상관측소(이천, 수원, 천안)를 대상으로 40년(1976~2015)동안의 일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다. 홍수년 및 가뭄년, 평년을 포함하는 선별된 기간에 대하여 다양한 목적함수($R^2$, NSE, RMSE, PBIAS)를 활용하여 각각의 조합된 기간의 극단적 유출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홍수년 및 가뭄년, 평년을 포함하는 선별된 기간에서의 유출량의 규모와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를 도출하고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 PDF